동기간 성과 폭력 6장, 누가 내 의자에 앉아 있었던 거지? 25. 7. 9. 노그래
2025. 7. 9. 사회심리학 세미나 발제문동기간 성과 폭력> 6장, 누가 내 의자에 앉아 있었던 거지? 이것은 보편성을 제안하는 그 어떤 이론에서건 중대한 도전이다. 그것은 레비-스트로스 못지않게 정신분석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정신분석의 경우에는 햄멜의 비판이 종종 유효하다고 해도, 어느 정도까지 잘못은 임상 자료를 관찰하는 것과 그것을 이론으로 변형하는 것 사이의 빈틈에 놓여 있는 것 같다. (p.213) *구조주의와 정신분석의 ‘보편자’ 개념 비교항목구조주의 (레비-스트로스)정신분석 (프로이트)주장되는 보편 구조이원적 논리오이디푸스 콤플렉스해석 대상신화, 문화, 언어개인의 행동, 무의식, 욕망작동 방식보편 구조로 각 문화 설명보편 심리로 각 개인 설명햄멜의 비판이 적용되는 지점이항 대립이 관찰자의..
세미나 발제문/심리학
2025. 7. 9. 00:26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레비스트로스
- 의식과사회
- 로마사논고
- 무엇을할것인가
- 알튀세르
- 생산관계
- 공화국
- 헤게모니
- virtù
- 야생의사고
- 계급투쟁
- 스피노자
- 딘애치슨
- 루이 알튀세르
- 집단심리
- 마키아벨리
- 신학정치론
- 개인심리
- 한국전쟁의기원
- 브루스커밍스
- 안토니오그람시
- 생산양식
- 이탈리아공산당
- 그람시
- 옥중수고
- 루이알튀세르
- 옥중수고이전
- 검은 소
- 이데올로기
- 프롤레타리아 독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