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Citizen Subject: Response to Jean- Luc Nancy’s Question
“Who Comes After the Subject?”
Both following Hegel and opposed to him, Heidegger proposes Descartes as the moment when the “sovereignty of the subject” is established (in philosophy), inaugurating the discourse of modernity. This supposes that man, or rather the ego, is determined and conceived of as subject (subjectum).
헤겔을 추종하는 동시에 그에 반대하는 하이데거는 데카르트를 (철학에서) 근대성 담론이 시작된 '주체의 주권'이 확립되는 순간으로 제시한다. 이것은 인간 더 정확히 말해서 자아가 주체(subjectum)로 결정되고 파악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Doubtless, from one text to another, and sometimes even within the same “text” (I am primarily referring here to the Nietz sche of 1939–46), Heidegger nuances his formulation.
At one moment he positively affirms that, in Descartes’s Meditations (which he cites in Latin), the ego as consciousness (which he explicates as cogito me cogitare) is posited, founded as the subjectum (that which in Greek is called the hypokeimenon). This also has the correlative effect of identifying, for all modern philosophy, the hypokeimenon and the foundation of being with the being of the subject of thought, the other of the object. At another moment he is content to point out that this identification is implicit in Descartes, and that we must wait for Leibniz to see it made explicit (“called by its own name”) and re' ected as the identity of real ity and representation, in its difference with the traditional conception of being.
의심할 여지 없이, 한 텍스트에서 다른 텍스트로, 때로는 같은 "텍스트" 내에서도(나는 여기서 주로 1939-46년의 Nietz sche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Heidegger는 그의 공식에 미묘한 차이를 부여합니다.

그는 어떤 때에는 데카르트의 <성찰>(그가 라틴어로 인용함)에서 '의식으로서의 자아'(데카르트는 이를 cogito me cogitare로 설명함)가 기체(그리스어로 hypokeimenon이라고 불리는 것)로 확립되어 있다고 단언합니다. 이것은 또한 모든 현대 철학에서 존재의 토대와 하이포케이메논을 사유의 주체, 객체의 타자의 존재와 동일시하는 상관적 효과를 갖는다고 말한다. 또 그는 다른 때에는 이러한 동일시가 데카르트에게 함축되어 있으며, 우리는 라이프니츠가 기존의 존재 개념과 다르게, 그것을 명시적으로("자신의 이름으로 불림") 실재의 동일성으로 반영할때까지 기다려야 했다고 지적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