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Mn2rs/btrYIcm8TuP/a5anxEqdYPFK6BCR21buw1/img.jpg)
루이 알튀세르, 「아미앵에서의 주장」 中, & (pp.57-74)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적 진영은 『자본론』의 이론들을 형이상학적 테제로 치부하면서 자신들의 ‘진부한 이야기들’(57)을 반복하고 재생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프롤레타리아는 자본주의 착취의 메커니즘에 의해 희생되고 있는 당사자로서 현실에서 겪고 있는 모든 형태의 노동, 임금, 실업의 양상들에서 『자본론』을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이들, ‘계급투쟁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알기 위해 자본주의 사회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58)를 시도하고 있는 ‘지식노동자’(58)들도 『자본론』의 열렬한 독자입니다. 저는 어떤 위치에서 『자본론』을 읽어 나갔고, 읽고 있는지 생각해보면서 발제를 시작합니다. 두 가지 곤란 『자본론』을 읽어나가는 과정에..
세미나 발제문/맑시즘
2023. 2. 9. 13: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루이 알튀세르
- 옥중수고이전
- 신학정치론
- 안토니오그람시
- 헤게모니
- 스피노자
- 이데올로기
- 야생의사고
- 이탈리아공산당
- 검은 소
- 딘애치슨
- 공화국
- 옥중수고
- 로마사논고
- 개인심리
- virtù
- 레비스트로스
- 브루스커밍스
- 루이알튀세르
- 계급투쟁
- 한국전쟁의기원
- 생산양식
- 그람시
- 알튀세르
- 의식과사회
- 무엇을할것인가
- 생산관계
- 마키아벨리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집단심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