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인간무늬연마소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인간무늬연마소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313)
    • 튜빙겐 업무관련 (0)
      • 박사 수업 및 논문 관련 (0)
    • 프로그램 안내 (78)
      • 인무연 공지사항 (78)
    • 세미나 발제문 (1033)
      • 철학 (227)
      • 심리학 (188)
      • 인류학 (67)
      • 역사 (65)
      • 맑시즘 (61)
      • 과학 (20)
      • 경성콤 (18)
      • 사회학 (4)
      • 미셸 푸코 (206)
      • 한나 아렌트 (57)
      • 랑시에르 & 포스트모던 (29)
      • 헤겔 & 가라타니 고진 (35)
      • 페미니즘&Queer (27)
      • 공동체 (18)
      • 종교학 (6)
      • 신적폭력 (3)
    • 프로그램 아카이브 (82)
      • 영어인문학 (58)
      • 아카이브; 발췌록 (6)
      • 아카이브; 사진 (18)
    • 자유게시판 (120)
      • 단행본 원고 (21)
      • 우정의 전당 (3)
      • Critique (7)
      • 좋아하셈 (56)
      • 유학준비 (5)
  • 방명록

프로그램 아카이브 /영어인문학 (58)
[week10] W E F / Ch 6. Coding and Memoing / 25.03.23 / 오은

6. Processing Fieldnotes: Coding and MemoingRevisit the fieldwork note and memoscoherent and focused analyses172–199 (missing 192-199)1/ READ2/ Analytical coding= line-by-line categorization of notes- Open Coding- Focused CodingReading → Coding and reviewing → Code memos → integrative memosfrom how Grounded theory approach – as a tool for qualitative data “analytic categories directly from the ..

프로그램 아카이브 /영어인문학 2025. 3. 24. 08:46
[week10]Writing ethnographic fieldnotes /ch5. pursuing members meanings /25.03.23 / 태정

프로그램 아카이브 /영어인문학 2025. 3. 23. 23:51
[10주차]Reconstucting Social Theories-Burawoy /25.03.23 / 화니짱

(8페이지)사회과학에서 객관성에 대한 **전승, 전통(lore)**은 지적 산물과 그것이 생성되는 과정 간의 분리를 기반으로 한다. 잘못된 경로들, 끝없는 노력들, 이리저리 돌아가는 방향 전환들, 버려진(abandoned) 이론들, 수집되었지만 결코 발표되지 않은 데이터들—이 모든 것은 완성된 결과물 뒤에 숨겨져(concealed) 있다. 논문이든, 책이든, 텍스트든 그것은 그 자체의 가치로 평가받으며, 어떻게 그것이 생겨났는지는 고려되지 않는다. 우리는 발견의 과정을 정당화(justification)의 과정과 혼동하지 않도록 교육받는다. 전자는 참된 과학이고, 후자는 직관적이고(intuitive), 암묵적이며(tacit), 형언할 수 없는(ineffable) ‘사회학적 상상력’의 영역이라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 아카이브 /영어인문학 2025. 3. 23. 22:49
Writing Ethnographic Fieldnotes - Emerson/ ch4 / 태정 /25.03.16

『Writing Ethnographic Fieldnotes』「4. Writing Fieldnotes II: Multiple Purposes and Stylistic Options」이 장에서는 민족지 필드노트 작성의 다양한 목적과 스타일을 검토함. 단순히 관찰 내용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 연구자의 입장, 예상 독자, 관점 선택, 시간적 시각, 내러티브 구성, 분석적 메모 작성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필드노트의 내용과 표현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고 있음. Ethnographers have multiple purposes in writing fieldnotes; these goals both shape and reflect their choices about styles of writing. (8..

프로그램 아카이브 /영어인문학 2025. 3. 16. 21:38
Contemporary Field Research / Ch3 (281-316) / Robert Emerson / 화니짱 / 25.03.16

Part3. Producing Ethonographies Theory, Evidence And Representationp281 현장 연구자는 특정 지역에서 관찰한 경험과 인상을 그 사람과 사건들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는 독자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학문적 전통과 개념을 잘 활용해서 일관된 텍스트로 구성해야 한다. 사회적 세계를 글로 재현하는 과정은 세 가지 상호 연관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1) "이론적 지식이 해당 사회에 대해 무엇을 시사하며, 나아가 사회적 삶 자체에 대해 무엇을 밝히는가." : 사회적 삶의 일반적 패턴과 규칙성 식별, 이론적 진술(Theretical statements)개발 필요. 2) 연구 대상자의 관점을 반영한 정확한 이론적 설명 : 다양한 형태의 증거를 조합하여 특정 주장 뒷받침,..

프로그램 아카이브 /영어인문학 2025. 3. 16. 20:28
[7주차] Can There Be a Feminist Ethnography? Judith Stacey/ 25.02.16. /오은

Can There Be a Feminist Ethnography? Judith Stacey여성 민족지학이 가능할까 ? 주디스 스테이시 저자 소개 주디스 스테이시 Judith Stacey 는 1943년 생으로 젠더, 가족, 성적지향성, 페미니스트, 퀴어 중심 사회학 및 문화 분석 연구자로 뉴욕대 석좌교수이다. Unhitched 라는 저서를 통해 남아프리카의 폴리가미 가족, 중국 서남부 소수 민족인 모계사회 전통의 모수오 Mosuo 족, LA 지역 게이 부모의 경험 등을 다루며 서구적 모델로서의 결혼에서 벗어나는 여러 형태를 연구했다. "(How) Does the Sexual Orientation of Parents Matter? 부모의 성적 지향성이 중요한가 ?  " 라는 글에서는 (게이나 레즈비언 부모에..

프로그램 아카이브 /영어인문학 2025. 2. 16. 19:36
[7주차] The Moral Fix/ John Van Maanen/ 25.02.16./ 태정

도덕적 어려움: 현장 연구 윤리에 관하여 『The Moral Fix: On the ethics of Fieldwork』, John Van Maanen, 1983 발제: 태정  저자 소개John Van Maanen은 1943년생 미국 MIT 슬로안 경영대학원의 명예교수로 조직이론가임. 주로 조직 행동과 이론을 다루며 민족지 방법을 활용해 경찰, 어부, 디즈니랜드, 런던 형사 등 다양한 직업군을 대상으로 그들의 업무 세계에 대한 장기적인 참여연구를 진행Academic group: Work and Organizaqtion StudiesAcademic Area: Behavioral and Policy Sciences주요 출판물Career Anchors Reimagined: Finding Direction and..

프로그램 아카이브 /영어인문학 2025. 2. 16. 19:17
[7주차] The sociologist as Partisan / Alvin Gouldner / 25.02.16. / 화니짱

The sociologist as Partisan: The myth of a value-free sociology(라는 책의 2장 )Alvin Gouldner  1961년, 한 학술 모임에서 (이 책의 1장에 다시 실려 있음),나는 당시 사회학자들의 지배적인 직업적 이데올로기로 보였던 것을 비판했다.그것은 바로 "가치중립적(value-free)" 사회과학의 원칙을 옹호하는 경향이었다.그러나, 6년이 지난 지금(1967년),나는 또 다른 불편한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내 주장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지만,동시에 내 비판이 너무 강력해서 오히려 문제를 야기한 것은 아닌가 고민하게 되었다.나는 두 가지 상반된 감정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다.나를 지지해준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표하고 싶다.하지만, 이 논쟁은 단순한..

프로그램 아카이브 /영어인문학 2025. 2. 15. 01:10
이전 1 2 3 4 ··· 8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인무연(인간무늬연마소) 2019년 1월 프로그⋯
  • [전사연 세미나 시즌3] 관종사회에서 개인으로⋯
  • 푸코를 읽다 세미나원 모집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인무연 인스타그램
  • 노들장애학궁리소
  • 문탁네트워크
  • 한승훈
  • 건강의집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 임태훈
  • 철학오피스
TAG
  • 이데올로기
  • 공화국
  • 레비스트로스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생산관계
  • 옥중수고
  • 루이 알튀세르
  • 무엇을할것인가
  • 한국전쟁의기원
  • 마키아벨리
  • 개인심리
  • 야생의사고
  • 스피노자
  • 루이알튀세르
  • 신학정치론
  • 생산양식
  • 집단심리
  • virtù
  • 검은 소
  • 로마사논고
  • 안토니오그람시
  • 알튀세르
  • 의식과사회
  • 그람시
  • 계급투쟁
  • 이탈리아공산당
  • 헤게모니
  • 옥중수고이전
  • 딘애치슨
  • 브루스커밍스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250x250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