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hael Burawoy의 "Revisits: An Outline of a Theory of Reflexive Ethnography"[초록] 이 논문은 민족지학자가 이전 연구 장소를 다시 방문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집중 재방문(focused revisit)"이라는 기술을 탐구한다. 사회학에서는 드문 접근법이지만, 인류학에서는 흔히 사용된다. 초기 연구와 후속 연구 간의 차이는 주로 다음 네 가지 요인에 기인할 수 있다.관찰자와 참가자 간 관계의 변화민족지학자가 현장에 적용한 이론의 차이연구 현장 내부에서의 변화연구 현장 외부의 요인집중 재방문은 일반적으로 이 네 가지 중 하나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네 가지 설명의 한계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이 네 ..
Making the Theoretical Case: Case Studies and Generalizations in Social Science - John Walton이 글은 사례 연구의 이론적 토대와 방법론적 함의를 논의합니다. 사례 연구가 특수성을 넘어 일반화 가능한 지식을 생성하는 과정, 즉 특정 사례를 통해 보편적 사회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춥니다. 저자는 기존의 사례 연구 접근 방식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론과 사례 연구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새로운 이론을 형성하는 과정을 제시하며, 캘리포니아 오웬즈 밸리의 물 분쟁 사례를 통해 이러한 주장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합니다. 결론적으로, 사례 연구는 단순한 기술이 아닌, 이론 구성의 중요한 도구임을 강조합니다.사례 (Case)표현: CaseWa..
Two Cases of Ethnography: Grounded Theory and the Extended Case MethodIddo Tavory와 Stefan Timmermans는 사회학적 민속지(ethnography) 연구에서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론, **근거이론(Grounded Theory, GT)**과 **확장 사례 방법(Extended Case Method, ECM)**을 비교하며, 이들의 이론적 기반과 사례 구성 방식을 분석합니다.에세이 주제GT와 ECM의 인식론적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각 접근 방식의 장단점을 논하세요.GT와 ECM에서 '서사'가 갖는 의미와 역할을 비교 분석하고, Hayden White의 서사 비판이 두 접근 방식에 미친 영향을 논하세요.사회학 연구에서 '사례'를 구성..
But if this is what the subject is from the first (both historically and logically), then the answer to Nancy’s question is very simple, but so full of consequences that it might be asked whether it does not underlie every other interpretation, every reopening of the question of the subject, including the subject as transcendental subject. Here is the answer: After the subject comes the citizen...
The Myth of the “Cartesian Subject” Is this nuance decisive? The fact is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find the slightest reference to the “subject” as subjectum in the Meditations, and that in general the thesis that would posit the ego or the “I think/I am” (or the “I am a thinking thing”) as subject, either in the sense of hypokeimenon or in the sense of the future Subjekt (opposed to Gegenst..
Citizen Subject: Response to Jean- Luc Nancy’s Question “Who Comes After the Subject?” Both following Hegel and opposed to him, Heidegger proposes Descartes as the moment when the “sovereignty of the subject” is established (in philosophy), inaugurating the discourse of modernity. This supposes that man, or rather the ego, is determined and conceived of as subject (subjectum). 헤겔을 추종하는 동시에 그에 반대..
Anti-Oedipus and the Political Philosophy of the Third World Alex Taek-Gwang Lee It has been 50 years since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published Anti-Oedipus in 1972. In his review, which appeared right after the publication of Anti-Oedipus, Jean-François Lyotard wrote that ‘contrary to all expectations, or in fact because the shattering title works an illusory effect, what the book subve..
Chapter 4. The Ethic of Truths 진리들의 윤리 Q : Why he use ‘Ethic’ instead of ‘Ethics’? Being, event, truth, subject 존재, 사건, 진리, 주체 p40 : Composing of a subject is the passing of a truth along its path. This is when the human animal is convoked to be the immortal that he was not yet. (41) It is clear that what there is (the ordinary state of relation to the other, before a loving encounter) cannot de..
- Total
- Today
- Yesterday
- 생산양식
- 루이알튀세르
- 마키아벨리
- 의식과사회
- virtù
- 검은 소
- 무엇을할것인가
- 레비스트로스
- 딘애치슨
- 브루스커밍스
- 스피노자
- 생산관계
- 신학정치론
- 헤게모니
- 공화국
- 루이 알튀세르
- 안토니오그람시
- 로마사논고
- 옥중수고이전
- 계급투쟁
- 그람시
- 옥중수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집단심리
- 야생의사고
- 개인심리
- 한국전쟁의기원
- 이데올로기
- 이탈리아공산당
- 알튀세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