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인간무늬연마소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인간무늬연마소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313)
    • 튜빙겐 업무관련 (0)
      • 박사 수업 및 논문 관련 (0)
    • 프로그램 안내 (78)
      • 인무연 공지사항 (78)
    • 세미나 발제문 (1033)
      • 철학 (227)
      • 심리학 (188)
      • 인류학 (67)
      • 역사 (65)
      • 맑시즘 (61)
      • 과학 (20)
      • 경성콤 (18)
      • 사회학 (4)
      • 미셸 푸코 (206)
      • 한나 아렌트 (57)
      • 랑시에르 & 포스트모던 (29)
      • 헤겔 & 가라타니 고진 (35)
      • 페미니즘&Queer (27)
      • 공동체 (18)
      • 종교학 (6)
      • 신적폭력 (3)
    • 프로그램 아카이브 (82)
      • 영어인문학 (58)
      • 아카이브; 발췌록 (6)
      • 아카이브; 사진 (18)
    • 자유게시판 (120)
      • 단행본 원고 (21)
      • 우정의 전당 (3)
      • Critique (7)
      • 좋아하셈 (56)
      • 유학준비 (5)
  • 방명록

한국전쟁의기원 (4)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2-Ⅱ』 13장 연설, pp49-93 / 2024.05.09. 테츠(哲)

부 1950년 6월의 서곡>13장 “연설”: 프레스 클럽에서 제시한 애치슨 방식의 억제1949년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은 공산주의에 대한 봉쇄와 반격, 일본의 위치, 중국의 팽창 등을 정책적으로 고려하며 ‘동아시아 봉쇄의 확대,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에 대한 군사 원조 제공, 중화인민공확국 불승인, 아시아 배후지를 일본 경제의 필요와 연결하는 패권적 구상, 한국 전쟁에서 봉쇄와 반격의 변증법’(51) 등 미국 정부의 필요에 의한 정책적 구상 아래에서 진행되고 있었습니다.하지만 1950년 1월 12일의 애치슨의 프레스 클럽 연설에 대해 공화당과 매카시로부터 ‘김일성에게 보여준 애치슨의 “청신호”’(52)라는 비난을 하며 연설이 억제력의 실패 사례로서 언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애치슨의 남한의 정치적․전략적 가..

세미나 발제문/역사 2024. 5. 9. 17:49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2-Ⅱ』 12장 적절한 간격, pp11-48 / 2024.05.02. 테츠(哲)

부 1950년 6월의 서곡>12장 적절한 간격: 미군 철수, 38도선 일대의 전투, 유격대 진압미국과 한국 우익의 역사에서 맥아더는 한국의 영웅이고, 애치슨은 유럽에 집착하여 공산 세력에 공격의 기회를 제공한 평가에 대해서 진실은 그 반대라는 말로 시작합니다. 오히려 미군 철수를 밀어붙인 사람이 맥아더와 국방부 관료들이고, 미 국무부는 이승만 정권의 안정화를 위해 철수시기를 늦추려 하지만 결국 압력에 미군 전투부대가 1949년 철수합니다. 미국이 이승만 정부군의 작전 지휘권을 보유하지 않은 상황에서 주변 동맹국과 적국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해야 했고, 애치슨은 ‘어려운 방어와 억제 계획’(14)을 고안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입니다.1947년 트루먼 독트린의 입안 이후, 미국 군대는 점진적으로 철수하고..

세미나 발제문/역사 2024. 5. 2. 19:34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2-Ⅰ』 9장 북한의 체제, pp427-470 / 2024.04.25. 테츠(哲)

9장 북한의 체제남한이 미국의 ‘복제된 자유주의’의 형식주의라 평하면서, 북한에 대해서도 동유럽의 ‘인민 민주주의’의 일종으로 이해하려 했고 ‘스탈린주의의 이식이자 “응축된 형태’”(429)로 보면서 북한이 가진 정통성과 민족주의 이념을 거부되어왔다 하고 있습니다. 북한을 소련의 위성국으로 보는 시선이 일반적인 가운데, 로버트 C. 터커는 북한이 동유럽의 동독 유형과 일치하는 “강요된 유형”(430)으로서 자생적이지 않다고 평가하였으며, 북한의 정치와 “김일성주의”가 ‘스탈린주의의 동양적 경향의 끔찍한 과잉’(430)이라는 견해가 일반적인 것으로 보입니다.하지만 북한에서는 한국전쟁 이후 스탈린주의 특징인 ‘모든 인민 계급을 상대로 한 집단적 폭력이나 전형적인 대규모 “숙청”이 일어났다는 증거가 없다’(4..

세미나 발제문/역사 2024. 4. 25. 19:13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2-Ⅰ』 7장 남한 체제에 대한 저항, pp357-395 / 2024.04.18. 테츠(哲)

7장 남한 체제에 대한 저항“2차 세계대전 직후 국가기구가 무너지면서 모든 곳에서 정치적 공간이 생겨났다. 좌익은 중앙에서 주변부까지, 서울에서 가장 작은 향촌까지 모든 행정 단위에서 자신들의 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하향식 관료주의화는 자발적이고 활발한 정치활동의 폭을 축소시켰다. 치안 유지 기관은 기능을 회복하자 곧장 서울 인민위원회를 폐지하면서 우선 중앙에서 권력을 공고히 한 뒤 곧이어 국가기구의 하부에 있는 좌익을 척결하기 시작했다. …… 좌절감에 기반한 봉기는 앞을 내다보지 못하고 1945년의 무너진 희망으로 되돌아갔다. 봉기는 철저히 탄압되었고, 참가한 대중은 도피할 곳을 찾았지만 아무 데도 발견할 수 없었다. 그 결과 1946년 좌익은 참패했고 우익은 활력을 ..

세미나 발제문/역사 2024. 4. 18. 17:36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인무연(인간무늬연마소) 2019년 1월 프로그⋯
  • [전사연 세미나 시즌3] 관종사회에서 개인으로⋯
  • 푸코를 읽다 세미나원 모집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인무연 인스타그램
  • 노들장애학궁리소
  • 문탁네트워크
  • 한승훈
  • 건강의집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 임태훈
  • 철학오피스
TAG
  • 한국전쟁의기원
  • 프롤레타리아 독재
  • 계급투쟁
  • 무엇을할것인가
  • 생산관계
  • 그람시
  • 딘애치슨
  • 로마사논고
  • 알튀세르
  • 생산양식
  • 레비스트로스
  • 개인심리
  • 야생의사고
  • 스피노자
  • 루이 알튀세르
  • 옥중수고
  • virtù
  • 의식과사회
  • 안토니오그람시
  • 집단심리
  • 헤게모니
  • 브루스커밍스
  • 공화국
  • 루이알튀세르
  • 마키아벨리
  • 신학정치론
  • 검은 소
  • 옥중수고이전
  • 이탈리아공산당
  • 이데올로기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250x250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