β. 필연성의 절망은 가능성의 결핍에 존재한다.인간적 실존이 가능성이 결핍되는 데까지 끌려가는 경우 그것이 절망 상태이다(p.86) 결정적인 것은 신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신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믿는 의지가 있는지 없는지가 그때 문제가 된다(p.86). 누군가가 절망하려고 할 때는, “가능성을 만들어라! 가능성을 만들어라!” 하고 외칠 것이다. 신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것만이 구원이 된다. 즉 신앙이 문제이다(p.87). 자신이 어떻게 구원받을 수 있을까 하는 것을 신에게 전부 맡겨버린다. 그는 오직 신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믿고 있다. 사람들은 한 번도 자기의 오성을 동원하여 구원을 발견하려고 노력하는 일조차 없이 구원은 불가능하다고 비명을 지른다. 신앙인은 ..
3장 절망의 모든 형태b. 가능성과 필연성의 규정하에 볼 수 있는 절망 자아는 실로 자유롭게 자기 자신이 되어야 한다. 자아에는 무한성과 유한성이 귀속된 것처럼 가능성과 필연성이 귀속되어 있다. 아무런 가능성도 가지지 못한 자아는 절망해 있다. 아무런 필연성도 가지지 못한 자아도 역시 절망해있다.(81)α. 가능성의 절망은 필연성의 결핍에 존재한다.무한성이 유한성에 의해 제한되는 것처럼 가능성은 필연성에 의해 견제된다. (자아가) 그 자신일때에는 그것은 필연적이고 그 자신이 될 수 있는 것일 때에는 그것은 가능성이다. 가능성이 필연성을 포기하고 아무런 필연적인 것을 가지지 않을 경우 이것이 가능성의 절망이다. 자아는 추상적인 가능성이 된다. - 자아는 가능성 속에서 발버둥 쳐 피곤해질 뿐 그 장소에서 밖..
Ⅲ. 절망의 모든 형태절망의 형태들은 종합으로서의 자기(자아)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반성함으로써 추상적으로 도달될 수 있다. 자기(자아)는 무한성과 유한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 종합은 하나의 관계이다. 그리고 이것은 파생적이기는 하지만, 자기 자신과 관계하는 관계이고 자유이다. 자기는 자유이다. 그런데 자유는 가능성과 필연성의 범주들의 변증법적 양상이다. 그렇지만 절망은 의식의 범주 안에서 고찰되지 않으면 안 된다. 절망이 의식되어 있는가 되어 있지 않은가 하는 것이 절망과 절망 사이의 질적 차이를 나타낸다. 그렇다 하더라도 모든 절망은 개념적으로 본다면 의식되고 있다.A. 절망을 의식하거나 의식하지 않거나를 문제 삼지 않고 고찰되는 경우의 절망, 따라서 여기서는 종합의 모든 계기(유한성과 무한성..
제 1편 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병이다 II 절망의 보편성 조금이라도 절망하지 않고 있는 인간은 한 사람도 없다. 이런 고찰은 어둠이 아니다. 오히려 인간은 정신이어야 한다는 인간에 대한 최고 요구의 관점에서 모든 사람을 고찰한 것이다. 그에 반하여 절망에 관한 통상적인 고찰은 피상적인 고찰에 불과하다. 모든 인간은 자신이 절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스스로 가장 잘 알고 있으리라 전제한다. 그 결과 절망은 비교적 드문 현상이 된다. 그런데 절망은 사실 아주 일상적인 것이다. 진실로 절망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드문 것이다. 절망하지 않았다는 것, 다시 말하면 자신이 절망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식하지 못하는 것도 진실로 절망의 한 형태라는 것을. (의사가 환자의 말만 듣고 병을 판단하지 않는 것처럼) 심리학자의 ..
▶7장 결혼생활의 목적과 윤리적 실존의 의미1. 키르케고르의 결혼관과 결혼생활의 신성함.‘낭만적인 사랑은 결혼과 결합될 수 있고, 또 결혼 속에 존립할 수 있다는 사실과, 결혼이란 낭만적인 사랑의 성화라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 나의 과제다.(이것이냐2, 60)’ p180우선 키르케고르는 자신의 편지를 받는 이 벗을 심미적인 사랑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가정하고 있으며, 사랑과 관련하여 결혼에 대해서는 매우 ‘비관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설정하고 있다. p180심미적인 사랑에 머물고 있는 사람은 결국 ‘비애’의 쓴맛을 볼 수 밖에 없을 것이며, 반면 결혼생활에 진입한다는 것은 절대적인 주고나성이라는 ‘심미적인 사랑’의 범주에서 물러나 윤리적인 삶이라는 ‘객관성의 범주’로 나아가기 때문..
G. W. F. Hegel, Natural Law, p. 92 appears accordingly as the completely equal positing of the determined on both its sides.Applied to punishment, for example, this means that retribution alone is rational in it; for by retribution the crime is subjugated. A state of affairs +A brought about by the crime is complemented by the bringing about of −A, and so both are annihilated. Or, looked at pos..
4장 인생의 비극적 측면과 불행과 행복의 역설전체적으로 ‘비극’이라는 매우 무겁고 어두운 인생의 부정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지만 또한 역설적으로 심미적인 실존의 한계를 충분히 체험한 사람만이 ‘도약’을 감행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희망’을 말해주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p. 90) 마찬가지로 인생의 비극적인 측면을 극복한 사람만이 두려움 없이 비극을 정면으로 응시할 수 있고, 비극이 가진 진정한 의미를 조명할 수가 있다. 키르케고르가 비극을 다루면서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p. 92) 그리스적 비극의 특징: 국가, 혈족 그리고 운명 등의 현실적인 범주들이 주인공의 행위를 결정하는 동기가 되고 그는 이러한 현실적인 범주와 독립하여 행동하지 못한다. (p. 94) 고대의 작품에서 ..

1장. 의 구성매우 경건하고 신앙심 깊은 유복한 아버지가 사실은 자신의 하녀를 범하고 그 하녀의 몸에서 태어난 아이가 자신이었다는 사실은 키르케고르에게 어린 시절부터 큰 고뇌를 안겨주었다. (21)키르케고르의 사유는 점진적으로 하나의 단계에서 하나의 단계로 옮겨 갔다기보다는 그 출발점에서 이미 모두 한꺼번에 주어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26) 일반적인 분위기로는 시인(미학자)에서 철학자(사변가)로, 철학자에서 '믿음의 기사(그리스도인)'로 이동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27) 그는 윤리적인 삶으로 대체되어 버린 속화된 믿음에서 믿음의 순수성을 회복하고자 한 것이었다. 즉 믿음을 넘어서 이성으로서의 종교를 가지고자 했던 헤겔주의에 비해, 이성을 넘어서 진정한 믿음으로서의 종교를 회복하고자 노력하였던 것..
- Total
- Today
- Yesterday
- 그람시
- 로마사논고
- 스피노자
- virtù
- 루이 알튀세르
- 야생의사고
- 공화국
- 헤게모니
- 개인심리
- 의식과사회
- 루이알튀세르
- 이데올로기
- 레비스트로스
- 옥중수고
- 계급투쟁
- 알튀세르
- 옥중수고이전
- 생산관계
- 딘애치슨
- 신학정치론
- 한국전쟁의기원
- 브루스커밍스
- 안토니오그람시
- 생산양식
- 무엇을할것인가
- 검은 소
- 집단심리
- 마키아벨리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이탈리아공산당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