β. 필연성의 절망은 가능성의 결핍에 존재한다.인간적 실존이 가능성이 결핍되는 데까지 끌려가는 경우 그것이 절망 상태이다(p.86) 결정적인 것은 신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신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믿는 의지가 있는지 없는지가 그때 문제가 된다(p.86). 누군가가 절망하려고 할 때는, “가능성을 만들어라! 가능성을 만들어라!” 하고 외칠 것이다. 신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것만이 구원이 된다. 즉 신앙이 문제이다(p.87). 자신이 어떻게 구원받을 수 있을까 하는 것을 신에게 전부 맡겨버린다. 그는 오직 신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믿고 있다. 사람들은 한 번도 자기의 오성을 동원하여 구원을 발견하려고 노력하는 일조차 없이 구원은 불가능하다고 비명을 지른다. 신앙인은 ..
3장 절망의 모든 형태b. 가능성과 필연성의 규정하에 볼 수 있는 절망 자아는 실로 자유롭게 자기 자신이 되어야 한다. 자아에는 무한성과 유한성이 귀속된 것처럼 가능성과 필연성이 귀속되어 있다. 아무런 가능성도 가지지 못한 자아는 절망해 있다. 아무런 필연성도 가지지 못한 자아도 역시 절망해있다.(81)α. 가능성의 절망은 필연성의 결핍에 존재한다.무한성이 유한성에 의해 제한되는 것처럼 가능성은 필연성에 의해 견제된다. (자아가) 그 자신일때에는 그것은 필연적이고 그 자신이 될 수 있는 것일 때에는 그것은 가능성이다. 가능성이 필연성을 포기하고 아무런 필연적인 것을 가지지 않을 경우 이것이 가능성의 절망이다. 자아는 추상적인 가능성이 된다. - 자아는 가능성 속에서 발버둥 쳐 피곤해질 뿐 그 장소에서 밖..
Ⅲ. 절망의 모든 형태절망의 형태들은 종합으로서의 자기(자아)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반성함으로써 추상적으로 도달될 수 있다. 자기(자아)는 무한성과 유한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 종합은 하나의 관계이다. 그리고 이것은 파생적이기는 하지만, 자기 자신과 관계하는 관계이고 자유이다. 자기는 자유이다. 그런데 자유는 가능성과 필연성의 범주들의 변증법적 양상이다. 그렇지만 절망은 의식의 범주 안에서 고찰되지 않으면 안 된다. 절망이 의식되어 있는가 되어 있지 않은가 하는 것이 절망과 절망 사이의 질적 차이를 나타낸다. 그렇다 하더라도 모든 절망은 개념적으로 본다면 의식되고 있다.A. 절망을 의식하거나 의식하지 않거나를 문제 삼지 않고 고찰되는 경우의 절망, 따라서 여기서는 종합의 모든 계기(유한성과 무한성..
제 1편 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병이다 II 절망의 보편성 조금이라도 절망하지 않고 있는 인간은 한 사람도 없다. 이런 고찰은 어둠이 아니다. 오히려 인간은 정신이어야 한다는 인간에 대한 최고 요구의 관점에서 모든 사람을 고찰한 것이다. 그에 반하여 절망에 관한 통상적인 고찰은 피상적인 고찰에 불과하다. 모든 인간은 자신이 절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스스로 가장 잘 알고 있으리라 전제한다. 그 결과 절망은 비교적 드문 현상이 된다. 그런데 절망은 사실 아주 일상적인 것이다. 진실로 절망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드문 것이다. 절망하지 않았다는 것, 다시 말하면 자신이 절망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식하지 못하는 것도 진실로 절망의 한 형태라는 것을. (의사가 환자의 말만 듣고 병을 판단하지 않는 것처럼) 심리학자의 ..
G. W. F. Hegel, Natural Law, p. 92 appears accordingly as the completely equal positing of the determined on both its sides.Applied to punishment, for example, this means that retribution alone is rational in it; for by retribution the crime is subjugated. A state of affairs +A brought about by the crime is complemented by the bringing about of −A, and so both are annihilated. Or, looked at pos..
헤겔은 이 부분에서 형식주의(?)를 다루고자 한다. 헤겔은 앞 부분에서 주로 다루었던 경험주의와 이 형식주의를 비교하며 무한성에 대해 고찰한다. 혼합동요안정경험적 억견잡다한 것단순한 것→→절대적 개념무한성 헤겔은 무한성의 “본질은 자기 자신의 무매개적 반대, 부정적으로 절대적인 것, 형식의 추상”이라고 한다. 무한성순수한 동일성순수 비동일성순수한 이념성순수한 실재성무한한 것절대적으로 유한한 것무규정성절대적 규정성 순수이성잡다한 존재/유한성, 다수성에 대한 부정으로서의 무한성긍정적으로는 순수한 통일로서의 무한성(?) 이론이성양자의 존립긍정적 관련대립 존속→다수성 존속이념적 이성실천이성양자의 파괴태(소멸)부정적 관련대립 부정→통일 존속실제적 이성 헤겔이 지적하는 선험적 형식주의의 한계는 말과 행동이 일치하..
핵심 용어 정의경험주의 (Empiricism): 경험을 지식의 근원으로 보는 철학 사상. 감각적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을 중시하며, 추상적인 사변이나 선천적인 지식을 배제하려는 경향이 있다.선험주의 (A Priorism): 경험에 앞서 인식할 수 있는 지식이나 원리가 존재한다고 보는 철학 사상. 칸트와 피히테의 철학이 대표적이다.무한 (Infinity): 끝이 없는 것, 경계가 없는 것. 헤겔에게 무한은 단순히 끝이 없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과의 끊임없는 대립과 변화를 통해 정의되는 개념이다.이론 이성 (Theoretical Reason): 객관적 세계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이성. 사물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고, 논리적인 판단을 내리는 데 사용된다.실천 이성 (Practical Reason): 도덕적인..

「자연법」자연법에 대한 학적 취급방식들, 실천철학에서 자연법의 지위와 실증법학과의 관계에 대하여&Ⅰ pp. 63 – 85 정리자연법은 단순한 경험적 법칙이 아니라, 철학적으로 깊이 연구해야 하는 개념임경험과 철학은 다르며, 철학적 사고 없이는 법과 도덕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음칸트의 철학을 비판하며, 자연법이 현실과 연결된 개념이어야 한다고 주장법과 도덕은 시대에 따라 발전해야 하며, 철학을 통해 그 원리를 탐구해야함 자연법에 대한 학적 취급방식들, 실천철학에서 자연법의 지위와 실증법학과의 관계에 대하여 Philosophy and its parts: 철학과 학문의 분리 전통적으로 자연법, 역학, 물리학 등은 철학의 한 부분이었으나 ‘철학적인 것’이 형이상학에만 국한되면서 이러한 학문들은 철학으로부터 ..
- Total
- Today
- Yesterday
- 알튀세르
- 계급투쟁
- 옥중수고이전
- 집단심리
- 신학정치론
- 그람시
- 프롤레타리아 독재
- 공화국
- 생산관계
- 의식과사회
- 생산양식
- 검은 소
- 마키아벨리
- 이데올로기
- 개인심리
- 안토니오그람시
- 루이 알튀세르
- 야생의사고
- 무엇을할것인가
- 한국전쟁의기원
- 로마사논고
- 루이알튀세르
- 헤게모니
- 스피노자
- 브루스커밍스
- 딘애치슨
- 레비스트로스
- virtù
- 이탈리아공산당
- 옥중수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