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인간무늬연마소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인간무늬연마소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314)
    • 튜빙겐 업무관련 (0)
      • 박사 수업 및 논문 관련 (0)
    • 프로그램 안내 (78)
      • 인무연 공지사항 (78)
    • 세미나 발제문 (1033)
      • 철학 (227)
      • 심리학 (188)
      • 인류학 (67)
      • 역사 (65)
      • 맑시즘 (61)
      • 과학 (20)
      • 경성콤 (18)
      • 사회학 (4)
      • 미셸 푸코 (206)
      • 한나 아렌트 (57)
      • 랑시에르 & 포스트모던 (29)
      • 헤겔 & 가라타니 고진 (35)
      • 페미니즘&Queer (27)
      • 공동체 (18)
      • 종교학 (6)
      • 신적폭력 (3)
    • 프로그램 아카이브 (82)
      • 영어인문학 (58)
      • 아카이브; 발췌록 (6)
      • 아카이브; 사진 (18)
    • 자유게시판 (120)
      • 단행본 원고 (21)
      • 우정의 전당 (3)
      • Critique (7)
      • 좋아하셈 (56)
      • 유학준비 (5)
  • 방명록

생산관계 (3)
루이 알튀세르, <아미엥에서의 주장> B, pp156-178 / 2023.03.10 맑시즘 세미나 / 테츠(哲)

루이 알튀세르, , 두 번째 시간, pp 156~178 지난 시간은 맑스주의적 변증법을 토대로 한 관계의 해석을 바탕으로 경제적 최종심급의 이론적인 중요성을 강조한 알튀세르의 사유를 살펴 보았습니다. 그리고 단순 이론에 그치는 것이 아닌, 실제 정치적 역사적 의미에서의 계급투쟁의 의미성도 밝히는 과정이었습니다. 남은 챕터에서의 알튀세르의 사유는 이론적 실천으로 자신의 철학에 대해 전개합니다. 지식과정에 관하여 맑스주의의 지식이론적 기반으로서 스피노자의 이론의 중요성은 ‘사실상’(157)에 있다고 주장합니다. “우리는 하나의 올바른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고 우리는 그것이 올바르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157) 여기서 올바른 생각이란 것이 어디서 왔는지는 전혀 다른 문제이고, 하나의 ‘사실’에서..

세미나 발제문/맑시즘 2023. 3. 10. 21:46
루이 알튀세르, 『아미엥에서의 주장』 pp57-74 / 2023.02.10 맑시즘 세미나 / 테츠(哲)

루이 알튀세르, 「아미앵에서의 주장」 中, & (pp.57-74)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적 진영은 『자본론』의 이론들을 형이상학적 테제로 치부하면서 자신들의 ‘진부한 이야기들’(57)을 반복하고 재생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프롤레타리아는 자본주의 착취의 메커니즘에 의해 희생되고 있는 당사자로서 현실에서 겪고 있는 모든 형태의 노동, 임금, 실업의 양상들에서 『자본론』을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이들, ‘계급투쟁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알기 위해 자본주의 사회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58)를 시도하고 있는 ‘지식노동자’(58)들도 『자본론』의 열렬한 독자입니다. 저는 어떤 위치에서 『자본론』을 읽어 나갔고, 읽고 있는지 생각해보면서 발제를 시작합니다. 두 가지 곤란 『자본론』을 읽어나가는 과정에..

세미나 발제문/맑시즘 2023. 2. 9. 13:31
루이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 pp.379-410 / 2022.09.23 맑시즘 세미나 / 테츠(哲)

루이 알튀세르, , p379-410 / 이데올로기에 대하여 이하 부분 “자본주의적 사회 구성체의 생산 관계, 다시 말해 피착취자와 착취자 그리고 착취자와 피착취자의 관계는 특히, 지배 계급 이데올로기의 대대적인 주입 속에 포장된 몇몇 정해진 전문 지식으로 결국 귀결되는 내용을 통해서 재생산된다.”(377) 이데올로기에 대하여(379) 이데올로기(Ideology)는 ‘한 인간, 한 사회 집단의 정신을 지배하는 관념들이나 표상들의 체계’(379)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데올로기를 살펴보는 것은 ‘자신의 최초 직관’(379)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특정한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판단 혹은 행동을 하는 것의 시작점에 이데올로기가 작동하고 있음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알튀세르는 이 논문에서..

세미나 발제문/맑시즘 2022. 9. 23. 14:48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인무연(인간무늬연마소) 2019년 1월 프로그⋯
  • [전사연 세미나 시즌3] 관종사회에서 개인으로⋯
  • 푸코를 읽다 세미나원 모집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인무연 인스타그램
  • 노들장애학궁리소
  • 문탁네트워크
  • 한승훈
  • 건강의집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 임태훈
  • 철학오피스
TAG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알튀세르
  • 생산양식
  • 이탈리아공산당
  • 레비스트로스
  • 루이알튀세르
  • 옥중수고
  • 검은 소
  • 브루스커밍스
  • 신학정치론
  • 공화국
  • 무엇을할것인가
  • 로마사논고
  • 스피노자
  • 헤게모니
  • 생산관계
  • 루이 알튀세르
  • 의식과사회
  • 딘애치슨
  • 안토니오그람시
  • 야생의사고
  • 옥중수고이전
  • 개인심리
  • 집단심리
  • 한국전쟁의기원
  • 계급투쟁
  • 그람시
  • virtù
  • 마키아벨리
  • 이데올로기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250x250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