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원리 제 11장 주의력에 대한 브리핑 문서개요:이 문서는 "심리학 원리" 제 11장 "주의력"에서 제시된 핵심적인 내용과 아이디어를 분석하고 요약합니다. 이 장에서는 주의력의 본질, 종류, 작용 메커니즘,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한 심도 깊은 고찰을 제공합니다. 특히 경험주의 심리학에서 주의력 개념이 간과된 이유, 주의력과 경험의 상호작용, 다양한 형태의 주의력, 주의력의 생리학적 기반, 주의력 훈련의 교육적 함의 등이 주요 논점으로 다뤄집니다. 이 브리핑은 원문의 주요 구절을 인용하여 핵심 아이디어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독자가 주의력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주요 테마 및 핵심 아이디어:1. 경험주의 심리학의 주의력 간과:영국 경험주의 학파는 마음이 '경험'의 수동적 산물이라..
제 11장 주의(注意)내가 경험하는 것은 내가 주의할 것을 동의한 항목들뿐이다. 내가 주의하는 항목들만 나의 정신을 만들고 선택적 관심이 없다면 경험은 완전히 혼돈 자체일 것이다. (724)누구나 주의가 무엇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의식이 초점화되고 집중되는 것이 주의의 본질이다. 이때 주된 대상이 의식 초점에 나타나고 나머지 대상들은 일시 억제된다. (728)-> 인간은 끊임없이 선택적 주의를 한다. 수많은 감각들이 모두 내 경험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내가 주의를 기울인 것들이 나의 경험이 된다. 그 외 나머지 대상들은 의식 초점에서 억제된다. 한번에 우리는 몇 개 사물에 주의할 수 있는가?만약 한꺼번에 몇 개 관념인 사물에 주의할 수 있는가라는 본래의 과제가 전혀 연결이 없는 개념 체계나 과정이 ..
자기 변이 (The mutation of the self)자기 변이는 다음과 같은 주된 두 개 범주로 나누어진다.기억 변용현재의 신체적 자기와 정신적 자기의 변용 기억 변용은 기억 상실과 잘못된 기억이다. 이 경우 모두 나(me)가 변한다. (656) 잘못된 기억은 우리 대부분에게 결코 드문 일이 아니며 잘못된 기억이 나타날 때에는 언제나 나(me)에 관한 의식이 왜곡된다. (658) 기억 변용을 넘어 현재 자기에 있는 비정상적 변용에 이르러 우리는 더욱 심각한 장애에 빠지게 된다. - 정신 이상적 망상 - 교대 자기 : (665) 교대성격(alternating personality)의 단순한 국면은 기억 상실, 이중 성격, 다중인격 - 영매 또는 홀림 : (689) 영매(mediumship)나 신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aiMJR/btsLVLXyqDL/rx9DXT5pnEHsKZa6JDCIm1/img.png)
더보기자아 (Self)의식의 흐름 속에서 지속적인 동일성을 유지하는 주체.나 (Me)경험적 자아. 객관적으로 인식되는 자아의 구성 요소들 (신체, 감정, 기억, 소유물 등).나-개념 (Me-concept)개인이 자신에 대해 갖는 모든 생각과 신념의 집합.지각 (Perception)감각 기관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인상 (Impression)흄 철학에서 감각적 경험이나 감정, 생각 등 직접적으로 의식되는 모든 것.관념 (Idea)인상의 희미한 복사본. 기억, 상상, 사고 등에서 사용되는 정신적 표상.연상 (Association)관념들이 서로 연결되어 떠오르는 현상.심리학자의 오류 (Psychologist's Fallacy)심리학자가 자신의 내적 경험을 바탕으로 타인의 내적 경험을 추..
2025년 1월 15일 발제 전주 ‘인간무늬연마소’ 사회심리학 연구모임주제: 윌리엄 제임스 지음, 정양은 옮김 심리학의 원리 I, 제10장 자기 의식: 순수자아 – 순수자기 또는 개인통일성의 내적원리 펴낸 곳 아카넷 2022, 568-608쪽영어책으로는 10장의 두 소절 What Self is Loved in ‘self-Love’ 그리고 The Pure Ego. (Pdf Page197-210) [발제 : 콩빠] 요약 인용 및 발표 I. 텍스트인용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0장 자기 의식: 순수자아 – 순수자기 또는 개인통일성의 내적원리자기애(自己愛)에서는 어떤 자기가 사랑되는가? (What self is loved in Self-love?) 순수 자아 (The Pure Ego)개인정체감 (..
20250108_발제_10장_자기의식_심리학의원리1_발제(빛이/비치) 제 10장 자기 의식 ■ 경험적 자기 또는 나 - 경험적 자기는 나(me)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싶어지는 모든 것이다. p.525- 우리의 명성, 자식, 내가 손수 이룬 업적 p.526- 같은 대상도 때로는 자신의 부분으로 취급되고… 때로는 자신과는 전혀 관계 없는 것처럼 취급되기도 한다. p.526- 한 사람의 자기는 그의 것이라 부를 수 있는 모든 것의 총체 - 정신 능력 뿐 아니라 의복, 집, 처자식, 선조와 친구들, 명성과 업적, 토지와 가축, 요트와 은행 예금 등. p.526- 자기는 세 부분으로 구분할 것이며 자기는 , 구성 성분들이 일으키는 , 구성 성분들이 촉발하는 과 관계되고 있다. p.527 1. 자기의 구성 성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PP4r/btsLBqTPIYd/l76C12rvSVzrQ4UHkvu2uk/img.png)
제 9장 사고의 흐름 (p.409-524)p. 411 사고의 5개 특성1) 모든 사고는 개인 의식의 부분이 되기 쉽다.2) 각 개인 의식 속에서 사고는 항상 변하고 있다.3) 각 개인 의식 속에서 사고가 계속된다는 것이 감지된다.4) 사고는 항상 사고 자체와는 관계없는 대상들을 다루는 것 같이 보인다.5) 사고는 대상들의 어떤 부분에만 관심이 있고 다른 부분은 제외하며 언제나 관심을 가지는 부분을 환영하거나 거부한다---한마디로 대상들 중에서 선택한다. p.483-5244) 인간 사고는 그 사고 자체와는 다른 대상들을 다루는 것 같이 보인다. 즉 인간 사고는 인지적이거나 또는 지식을 얻는 기능을 갖고 있다. 사고 대상들의 복사물이 외부에 존재한다고 우리 모두가 믿는 이유는, 동일한 대상에 대한 많은 각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IDuSr/btsLAW6DOmW/KiPsPuEcChpKDFSAAuYAL0/img.png)
제 9장 사고의 흐름 (p.409-524)p. 411 사고의 5개 특성1) 모든 사고는 개인 의식의 부분이 되기 쉽다.2) 각 개인 의식 속에서 사고는 항상 변하고 있다.3) 각 개인 의식 속에서 사고가 계속된다는 것이 감지된다.4) 사고는 항상 사고 자체와는 관계없는 대상들을 다루는 것 같이 보인다.5) 사고는 대상들의 어떤 부분에만 관심이 있고 다른 부분은 제외하며 언제나 관심을 가지는 부분을 환영하거나 거부한다---한마디로 대상들 중에서 선택한다.p.483-5244) 인간 사고는 그 사고 자체와는 다른 대상들을 다루는 것 같이 보인다. 즉 인간 사고는 인지적이거나 또는 지식을 얻는 기능을 갖고 있다.사고 대상들의 복사물이 외부에 존재한다고 우리 모두가 믿는 이유는, 동일한 대상에 대한 많은..
- Total
- Today
- Yesterday
- 알튀세르
- 안토니오그람시
- 계급투쟁
- 헤게모니
- 무엇을할것인가
- 집단심리
- 루이알튀세르
- 공화국
- 개인심리
- 마키아벨리
- 생산관계
- 딘애치슨
- 검은 소
- 야생의사고
- 이탈리아공산당
- 옥중수고이전
- 루이 알튀세르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생산양식
- 로마사논고
- 옥중수고
- 그람시
- 한국전쟁의기원
- 이데올로기
- 의식과사회
- 스피노자
- 신학정치론
- 브루스커밍스
- 레비스트로스
- virtù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