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요 사건 타임라인

주의 (Attention) 관련 사건:

  • 자발적 주의의 발생:어린아이가 처음에는 재미없어하던 읽기에 인위적인 동기를 부여하여 자발적 주의를 발달시킴.
  • 어린아이가 피아노 연주와 독일어 학습에 자발적 주의를 기울이게 되는 사례. 이때 동기는 엄마를 기쁘게 하려는 공감적 감정에서 비롯됨.
  • 주의 집중을 돕는 방법:읽거나 강연을 들을 때 스스로 소리 내어 읽거나 듣는 것이 주의 집중을 깊게 함.
  • 교사는 새로운 내용을 학습자의 기존 지식 기반(Apperceptionsmasse)에 연결해야 함.
  • 주의가 결과인가, 원동력인가?:주의를 뇌세포의 활동 결과로 보는 견해와, 감정이 뇌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보는 견해의 대립.
  • 주의가 물리적 법칙에 의해 결정되는지, 아니면 자유의지를 포함하는 영적인 힘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철학적 논쟁.
  • 감각적 주의와 파생적 주의:즉각적인 감각적 주의는 대상이 우리를 끌어당기는 결과로 보임.
  • 자발적인 노력이 없는 파생적 주의는 대상이 다른 흥미로운 것과 연결되어 관심을 끄는 결과임.
  • 마음에 이미 있는 생각들과 연결되어 강화되는 주의 (Apperceptive attention).
  • 자발적 주의와 노력:자발적 주의는 노력으로 인해 유지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연합 과정에 의해 고정되는 것일 수 있음.
  • 마음속의 갈등이 있을 때 노력의 감정이 생기며, 이는 에너지의 소모와 연결되어 있음.
  • 주의는 단순히 결과일 뿐이며, 의지적 노력은 인위적인 개념일 수도 있다는 주장.
  • 무관심 (Inattention):일상적인 소리, 시각적 이미지, 신체 감각 등에 대한 무관심은 감각 기관의 무뎌짐 때문이 아니라, 습관과 관련 있음.
  • 주의를 기울이면 언제든 다시 의식할 수 있음.
  • 무관심은 인지 센터가 다른 것에 집중할 때 자극이 다른 경로로 우회되는 현상임.
  • 집중을 위해 무의미한 움직임을 하는 이유가 외부 감각을 차단하기 위함일 수 있다는 가설.

개념 (Conception) 관련 사건:

  • 동일성 감각:마음은 연속적인 생각 흐름 속에서 동일한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전 생각과 현재 생각이 동일한 대상을 의미함을 인식할 수 있음.
  • 동일성 감각은 생각의 핵심이며, 자아 동일성뿐 아니라 외부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함.
  • 마음이 동일성을 가정하는 것이 반드시 외부 세계의 실제 동일성을 반영하는 것은 아님.
  • 개념의 정의:개념은 정신 상태와 그 의미 사이의 관계를 의미하며, 정신 상태 자체가 아니라 의미를 부여하는 기능임.
  • 하나의 정신 상태가 여러 개념을 담을 수 있으며, 복합 개념을 구성할 수 있음.
  • 개념은 구체적인 대상, 사건, 성질뿐만 아니라 허구, 추상적인 것도 포함할 수 있음.
  • 개념의 기능은 명확해야 하며, 특정 대상을 지칭할 뿐만 아니라 다른 대상을 배제해야 함.
  • 개념의 불변성:개념은 영원히 동일하며 결코 변하지 않음. 개념이 변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이 다른 상태와 의미를 가질 뿐임.
  • 개념은 플라톤의 이데아와 같이 불변적인 세계에 속함.
  • 추상적 개념:추상적 개념은 부분적인 요소만 생각하는 것으로, 전체를 생각할 필요가 없음.
  • 버클리와 명목론자들은 추상적 개념을 부정하지만, 마음은 특정 색깔 없이 색깔을, 특정 키 없이 키를 의미할 수 있음.
  • 밀은 구체적인 전체를 생각하지만, 집중을 통해 일부분만 의미할 수 있다고 주장.
  • 보편 개념:보편적 개념은 전체 클래스나 클래스에 속한 것을 의미함.
  • 유명론자와 전통적 개념론자는 보편 개념이 정신 속에서 어떻게 가능한지 논쟁.
  • 유명론자는 개별적 아이디어들의 모임으로, 개념론자는 순수 지성 활동으로 보편 개념을 설명.
  • 개별적 개념과 보편적 개념을 이해하는 데는 유사한 복잡한 뇌 과정이 필요함.
  • 개념의 적용:개념은 단수, 특수, 무한, 보편의 의미를 모두 가질 수 있음.
  • 사물은 항상 다른 정신 상태에서 생각되며, 동일한 사물을 반복해서 생각할 때마다 생각의 내용이 달라짐.
  • 사고의 목적은 판단을 내리는 것이며, 이 판단을 통해 동일한 사물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됨.
  • 개념은 지각적 경험을 개념적 세계로 변환시키는 도구임.

등장인물 및 간략한 전기 정보

  1. M. B. Perez:
  • 저서 "L'Enfant de trois à sept Ans"에서 어린아이의 자발적 주의 발달 사례를 제시한 프랑스 심리학자. (구체적인 생애 정보는 자료에서 제공되지 않음)
  1. Herbart (헤르바르트):
  • 19세기 독일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 주의 집중과 관련된 '앱퍼셉션마세(Apperceptionsmasse)' 개념을 제시함. 교육학에도 큰 영향을 미침.
  1. Hobbes (홉스):
  • 17세기 영국의 철학자. "Semper idem sentire ac non sentire ad idem revertunt" (항상 동일한 것을 느끼고, 느끼지 않는 것은 동일한 상태로 되돌아간다)라는 문구로 감각의 무뎌짐을 표현함.
  1. Helmholtz (헬름홀츠):
  • 19세기 독일의 물리학자이자 생리학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현상에 대한 일반 법칙을 제시함.
  1. G. E. Müller (뮐러):
  • 19세기 독일의 심리학자. 주의에 대한 연구에서 자극이 억제되는 메커니즘을 제시함.
  1. Sir W. Scott (월터 스콧):
  • 18-19세기 스코틀랜드의 소설가이자 시인. 어린 시절 수업 시간에 버튼을 만지는 습관으로 유명함.
  1. Adrian Leonard:
  • 19세기 프랑스의 동물 교육에 관한 에세이를 쓴 저자.
  1. Waitz (바이츠):
  • 19세기 독일의 심리학자. 교육의 어려움을 강조하며, 특히 청각 장애인과 정신 지체아 교육의 어려움을 설명.
  1. Bain (베인):
  • 19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 주의에 대한 이론을 제시함.
  1. Jevons (제번스):
  • 19세기 영국의 경제학자이자 논리학자. 주의의 지속시간 실험을 실시.
  1. Cattell (카텔):
  • 19세기 미국의 심리학자. 주의 집중 실험을 통해 주의 시간, 자발적 주의와 방해의 영향 등을 측정함.
  1. Wundt (분트):
  • 19세기 독일의 심리학자. 반응 시간 측정, 지각과 주의 연구에 많은 기여를 함.
  1. Dietze (디체):
  • 분트의 제자. 듣기 과정에서 스트로크 수를 그룹화하는 실험을 수행.
  1. Bechterew (베히테레프):
  • 19세기 러시아의 신경생리학자이자 심리학자. 동시 발생 메트로놈 스트로크를 비교하는 연구 수행.
  1. Bessel (베셀):
  • 18-19세기 독일의 천문학자. 개인적 차이의 관찰에 영향을 미친 천문 관측을 실시.
  1. v. Tschisch (폰 치쉬):
  • 분트의 제자. 주의 측정 연구에 대한 관찰을 제공.
  1. Helvetius (엘베시우스):
  • 18세기 프랑스 철학자. 주의와 천재성에 대한 주장을 함.
  1. Buffon (뷔퐁):
  • 18세기 프랑스 박물학자. 천재성을 끈기라고 함.
  1. Cuvier (퀴비에):
  • 18-19세기 프랑스 박물학자. 천재성을 지적인 끈기라고 함.
  1. Chesterfield (체스터필드):
  • 18세기 영국의 정치인. 주의 집중의 중요성을 강조함.
  1. Ulrici (울리치):
  • 19세기 독일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 주의에 대한 철학적 논의에 참여.
  1. Lotze (로체):
  • 19세기 독일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 주의의 중요성을 강조.
  1. Fechner (페히너):
  • 19세기 독일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 정신물리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주의와 관련된 신체적 감각에 대한 견해를 제시.
  1. Stumpf (슈툼프):
  • 19세기 독일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 주의와 음악적 지각에 대한 연구를 수행.
  1. Exner (엑스너):
  • 19세기 오스트리아의 생리학자. 반응 시간 관련 경험 공유.
  1. Obersteiner (오버슈타이너):
  • 19세기 오스트리아의 신경학자. 주의에 대한 연구를 함.
  1. Mach (마흐):
  • 19세기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이자 철학자. 주의를 육체적 활동과 연결시켜 설명.
  1. Hering (헤링):
  • 19세기 독일의 생리학자. 주의와 눈의 움직임 간의 관계에 대한 주장을 함.
  1. F. H. Bradley (브래들리):
  • 19-20세기 영국의 철학자. 주의의 활동성을 비판하는 입장을 취함.
  1. Lipps (립스):
  • 19-20세기 독일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 주의의 활동성에 대한 의견 제시.
  1. James Ward (제임스 워드):
  • 19-20세기 영국의 심리학자. 주의에 대한 반론 제기.
  1. Delbœuf (델보프):
  • 19세기 벨기에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 무관심 관련 개인적인 경험을 이야기함.
  1. Locke (로크):
  • 17세기 영국의 철학자. 감각과 개념에 대한 견해를 제시함.
  1. Plato (플라톤):
  •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이데아론을 통해 불변하는 세계의 개념을 제시함.
  1. Berkeley (버클리):
  • 18세기 아일랜드의 철학자. 추상적 관념에 반대하는 주장을 펼침.
  1. James Mill (제임스 밀):
  • 18-19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역사가. 추상적 관념의 형성에 대한 견해를 제시함.
  1. John Mill (존 스튜어트 밀):
  • 19세기 영국의 철학자. 유명론적 관점을 유지하면서도 추상 개념의 존재를 인정하는 입장을 취함.
  1. E. Caird (케어드):
  • 19세기 스코틀랜드의 철학자. 객체와 마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주장을 함.
  1. Spencer (스펜서):
  • 19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 상상할 수 없는 것과 명확하게 상상할 수 없는 것의 차이를 구분함.
  1. G. H. Lewes (루이스):
  • 19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비평가. 주의에 대한 연구를 언급함.
  1. G. H. Schneider (슈나이더):
  • 19세기 독일의 심리학자. 주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
  1. W. B. Carpenter (카펜터):
  • 19세기 영국의 생리학자. 주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
  1. Cappie (캐피):
  • 19세기 영국의 생리학자. 주의에 대한 과혈증 이론을 발표함.
  1. J. Sully (설리):
  • 19세기 영국의 심리학자. 주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
  1. M. L. Marillier (마릴리에):
  • 19세기 프랑스의 심리학자. 주의에 대한 감각적, 운동적 이미지의 관련성에 대해 논쟁함.
  1. Chr. Wolff (크리스티안 볼프):
  • 18세기 독일의 철학자. 주의 현상에 대한 설명을 제공.
  1. Sir W. Hamilton (해밀턴 경):
  • 18-19세기 스코틀랜드의 철학자. 주의에 대한 정의와 의견을 제시.
  1. Adrian Leonard (아드리안 레오나르):
  • 19세기 프랑스의 작가. 동물 교육에 대한 에세이를 썼음.
  1. Reid (리드):
  • 18세기 스코틀랜드의 철학자. 화이트 색깔에 대한 개념을 예로 사용함.
  1. Thomas Davidson (토마스 데이비슨):
  • 19세기 미국의 철학자. 로스미니의 철학 체계 서문을 썼음.
  1. Rosmini (로스미니):
  • 19세기 이탈리아의 철학자. 개념에 대한 견해를 제시.
  1. Prof. Dewey (듀이):
  • 19-20세기 미국의 철학자이자 교육학자. 추상과 보편성에 대한 전통적 개념을 따랐음.
  1. Hodgson (호지슨):
  • 19세기 영국의 철학자. 지각적 경험이 개념적 질서로 변환되는 과정을 설명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