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But if this is what the subject is from the first (both historically and logically), then the answer to Nancy’s question is very simple, but so full of consequences that it might be asked whether it does not underlie every other interpretation, every reopening of the question of the subject, including the subject as transcendental subject. Here is the answer: After the subject comes the citizen. The citizen (defined by his rights and duties) is that “nonsubject” who comes after the subject, and whose constitution and recognition put an end (in principle) to the subjection of the subject.
그러나 이것이 (역사적이고 논리적인) 처음부터의 주체라면 Nancy의 질문에 대한 대답은 매우 간단하지만 결과가 너무 많습니다. 따라서 그것이 초월적 주체로서의 주체를 포함하여 주체에 대한 물음을 다시 여는 모든 다른 해석, 모든 해석의 기초가 되지 않는지 질문받을 수 있습니다. 대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체 다음에는 시민이 옵니다. 시민(그의 권리와 의무에 의해 정의됨)은 주체 뒤에 오는 "비주체"이며, 그의 구성과 승인은 (원리적으로) 주체의 종속을 종식시킵니다.
'프로그램 아카이브 > 영어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주차] John Walton, "Making the Theoretical Case" /25.01.12/화니짱 (0) | 2025.01.12 |
---|---|
[방법론 2주차] Two Cases of Ethnography: Grounded Theory and the Extended Case Method - Iddo Tavory, Stefan Timmermans (0) | 2025.01.05 |
Citizen Subject p19-20 (1) | 2022.12.28 |
Citizen Subject page19 (6) | 2022.12.23 |
Anti-Oedipus and the Political Philosophy of the Third World (0) | 2022.11.1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이탈리아공산당
- 신학정치론
- 계급투쟁
- 한국전쟁의기원
- 마키아벨리
- 루이알튀세르
- 생산관계
- 그람시
- 안토니오그람시
- 헤게모니
- 딘애치슨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레비스트로스
- 무엇을할것인가
- 옥중수고이전
- 옥중수고
- 이데올로기
- 알튀세르
- 야생의사고
- 검은 소
- 브루스커밍스
- 집단심리
- 공화국
- 로마사논고
- 루이 알튀세르
- 의식과사회
- 생산양식
- 개인심리
- virtù
- 스피노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