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2. Does the Other Exist? 타자는 존재하는가? 1. Ethics according to Levinas 레비나스에게 윤리란 The Law, indeed does not tell me what is, but what is imposed by the existence of others.(19) For Levinas, ethics is the new name of thought, thought which has thrown off its ‘logical chains(the principle of identity)’ in favour of its prophetic submission to the Law of founding alterity. p18 : brush 스침, depose..
SONNET 12When I do count the clock that tells the time, And see the brave day sunk in hideous night; When I behold the violet past prime, And sable curls all silver'd o'er with white; When lofty trees I see barren of leaves Which erst from heat did canopy the herd, And summer's green all girded up in sheaves Borne on the bier with white and bristly beard, Then of thy beauty do I question make, T..
SONNET 1 From fairest creatures we desire increase, That thereby beauty's rose might never die, But as the riper should by time decease, His tender heir might bear his memory: But thou, contracted to thine own bright eyes, Feed'st thy light's flame with self-substantial fuel, Making a famine where abundance lies, Thyself thy foe, to thy sweet self too cruel. Thou that art now the world's fresh o..
by Percy Bysshe Shelley(1792-1822) ⅠO wild West Wind, thou breath of Autumn's being,Thou, from whose unseen presence the leaves deadAre driven, like ghosts from an enchanter fleeing,Yellow, and black, and pale, and hectic red, Pestilence-stricken multitudes: O thou,Who chariotest to their dark wintry bedThe winged seeds, where they lie cold and low,Each like a corpse within its grave, until Th..
사변적 실재론은 철학 자체를 제한하는, 의미의 작은 섬인 상관주의자 그룹에서 벗어나려는 힘찬 충동을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마치 17세기 이래로, 과학에 겁먹어왔던 사상[의 위상]을 보여주는 것 같다. 그러나 과학은 그저 [객관적] "해석"을 위해 [도구로서만] 요구되어 왔던 것은 아니다. -그리고 PR 목적을 위해서 과학에 인류애가 필요하다고 논의될 만큼, 요즘 인류애가 얼마나 고양되어 과학을 저지하는 방어선으로 작동하는지는 하늘도 아신다. 이것[인류애]을 넘어선다고 해서, 과학은 그게 무엇인지에 대해 잘 아는 것도 아니다. 신다윈주의에 의하면, 현실은 메커니즘[장치]이고 알고리즘의 절차일뿐이다. 분자물리학에서의 사물은 매우 다를 것이다. 현실은 아마도 상황주의의 한 형식을 필요로 할 것이다: 코펜하겐..
이것은 딱 관념론은 아니지만, 그런 식으로 되기 쉽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는 낭만주의 시기 훨씬 전으로 넘어가며, 근대 초기로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라투르와는 다르게, 나는 우리가 "근대인이었다'고 믿는다. 그리고 이 사실은 인간과 비인간에게 영향을 미쳐 왔다.) 이 수수께끼를 풀기 위한 철학자들의 시도는 유럽적인 사고방식에 얽매여 제한되어 있었다. 왜냐하면 최소한 물질을 보는 학문적 견해 있어서는 '사건들로 장식된 덩어리들' 같은 데카르트의 비판력없는 유산들을 물려받았기 때문이다. 데카르트의 혁명적인 합리주의-그의 (의심스러운) 정신 능력들 안에서 생긴 자신감으로부터 기인한 멋진 현실-에도 불구하고, 데카르트는 스콜라 철학을 존재론이라는 가장 중요한 영역에 무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그의 작품을 ..
- Total
- Today
- Yesterday
- 야생의사고
- 알튀세르
- 계급투쟁
- 생산관계
- 루이 알튀세르
- 브루스커밍스
- 신학정치론
- 로마사논고
- 검은 소
- 이데올로기
- 안토니오그람시
- 루이알튀세르
- 의식과사회
- 무엇을할것인가
- 레비스트로스
- 공화국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생산양식
- 옥중수고이전
- 집단심리
- 이탈리아공산당
- 헤게모니
- virtù
- 그람시
- 스피노자
- 옥중수고
- 마키아벨리
- 한국전쟁의기원
- 딘애치슨
- 개인심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