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PW4q/btsMcg9Z7lc/EyOFk92dcfbEf6sooMbY5K/img.png)
「자연법」자연법에 대한 학적 취급방식들, 실천철학에서 자연법의 지위와 실증법학과의 관계에 대하여&Ⅰ pp. 63 – 85 정리자연법은 단순한 경험적 법칙이 아니라, 철학적으로 깊이 연구해야 하는 개념임경험과 철학은 다르며, 철학적 사고 없이는 법과 도덕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음칸트의 철학을 비판하며, 자연법이 현실과 연결된 개념이어야 한다고 주장법과 도덕은 시대에 따라 발전해야 하며, 철학을 통해 그 원리를 탐구해야함 자연법에 대한 학적 취급방식들, 실천철학에서 자연법의 지위와 실증법학과의 관계에 대하여 Philosophy and its parts: 철학과 학문의 분리 전통적으로 자연법, 역학, 물리학 등은 철학의 한 부분이었으나 ‘철학적인 것’이 형이상학에만 국한되면서 이러한 학문들은 철학으로부터 ..
정치적 민족지(정치문화기술지)에서 ‘정치적인 것’『The Political in Political Ethnography』, Timothy Pachirat, 2009발제: 태정더보기저자 소개Thimothy Pachirat는 Thai-American. 현재 메사추세츠 애머스트 대학 비교정치학과 교수로, 어렸을 때부터 오레건주 소, 양, 알팔파를 키우는 목장에서 일하면서 폭력의 문제에 관심이 많아 산업화된 폭력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 받음. 대표작은 2011년 출판된 『Every Twelve Seconds:Industrialized Slaughter and the Politics of Sight』로 네브래스카의 산업화된 도축장에서 6개월 가까이 일하며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권력과 폭력에 대해 고..
- Total
- Today
- Yesterday
- 집단심리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마키아벨리
- 헤게모니
- 루이알튀세르
- 야생의사고
- 스피노자
- 딘애치슨
- 한국전쟁의기원
- 무엇을할것인가
- 이데올로기
- 의식과사회
- 알튀세르
- 옥중수고이전
- 개인심리
- 브루스커밍스
- 안토니오그람시
- 신학정치론
- 이탈리아공산당
- 로마사논고
- 공화국
- 생산관계
- 계급투쟁
- 그람시
- 루이 알튀세르
- 레비스트로스
- 생산양식
- 옥중수고
- virtù
- 검은 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