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6주차]The Political in Political Ethnography/Timothy Pachirat/2025.02.09./태정
fairliar 2025. 2. 9. 18:39정치적 민족지(정치문화기술지)에서 ‘정치적인 것’
『The Political in Political Ethnography』,
Timothy Pachirat, 2009
발제: 태정
저자 소개
Thimothy Pachirat는 Thai-American. 현재 메사추세츠 애머스트 대학 비교정치학과 교수로, 어렸을 때부터 오레건주 소, 양, 알팔파를 키우는 목장에서 일하면서 폭력의 문제에 관심이 많아 산업화된 폭력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 받음. 대표작은 2011년 출판된 『Every Twelve Seconds:Industrialized Slaughter and the Politics of Sight』로 네브래스카의 산업화된 도축장에서 6개월 가까이 일하며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권력과 폭력에 대해 고찰.
사회, 정치학자들 중 Norman Elias나 Michel Foucault 영향을 많이 받음. (인간, 비인간까지) 확장된 의미에서 폭력을 연구하며, 사람들이 폭력이나 억압에 대한 인식이 있음에도 왜 의견이나 태도, 행동이 바뀌지 않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음. 사회적 피해에 대한 개인의 책임과 사회적 피해에 대한 집단적 책임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음.
저자 연구 분야 소개 자료
youtube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2V3mGPsOR_s
저자는 정치적 민족지에서 ‘정치적’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관해 질문을 던지면서 정치적 민족지의 정의와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고, ‘정치적인 것’의 두 가지 의미를 제시한다. 글에서는 두 번째 의미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를 이어간다.
정치적 민족지(Political Ethnography)란?
정치적 민족지는 정치학 연구에서 양적 연구나 전통적 방법을 보조하는 방법으로 인식됨
그러나 민족지적 연구는 참여 관찰과 심층적인 몰입을 통해 인간의 행위와 살아있는 경험, 내부자의 관점과 의미를 포착하게 하면서, 풍부한 묘사와 해석을 통해 정치에 대한 지식을 얻는데 기여할 수 있음
“The extend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ustained immersion of political ethnography encourages an emic perspective that reemphasizes human agency and lived experiences, captures insider perspectives and meanings, and privileges rather than suppresses conflicting interpretations and descriptions (Shehata 2006; Bayard de Volo and Schatz 2004; Kubik, this volume; Wedeen, this volume).” (143-144)
Q. What is the meaning of the “political” in political ethnography?
→‘정치적인 것(the political)’의 두 가지 의미가 있음
- 첫 번째 의미: 위에서 설명한 정치적 민족지의 정의와 관련. 정치에 대한 지식에 기여할 수 있음 ⇒ 즉, 단순히 정치적 주제를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 과정 자체가 권력 관계와 사회적 불평등을 드러내는 행위이며, 전통적 정치학 연구 방법론이나, 기존의 이해에 도전하면서(challenge established conceptions)정치적 현상들을 조명하고 그를 넘어설 수 있는 독특한 잠재력이 있기 때문에 정치적이라고 할 수 있음
“the unique contributions that ethnographic research can make to our knowledge about politics.” (143)
“It also carries with it the capacity to challenge the very boundaries of the political (Scott 1985; Jourde, this volume). Political ethnography is political precisely because of its unique potential to both iluminate politics and challenge established conceptions of its boundaries.” (143-144)
- 두 번째 의미: Timothy Pachirat이 강조하고자하는 의미로, 민족지적 연구 자체가 정치적인 행위라는 의미임. ⇒ 왜냐하면, 연구자는 필드워크를 통해 권력의 네트워크 안에 자동으로 위치하게 됨. 연구자의 자아가 연구 과정과 지식 생산 도구가 됨(Shehata 2006) ⇒ 따라서, 연구자의 편향을 고려해야하며, 연구자가 기존의 참여관찰에서처럼 ‘보되 뵈이지 않는 존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 반성을 통해 연구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이론화 해야함(Haraway 1991)
”I advance a second meaning that recognizes the embodied nature of ethnographic research and the relationships among perspective, power, and the ethnographic voice that this entails. … the ethnographic process itself is political insofar as fieldwork inevitably locates the ethnographer within networks of power.” (144)
연구자의 성찰성(reflexivity)에 대한 학문별 태도와 사례
- 인류학(Clifford & Marcus 1986; Geertz 1988; Tsing 1993)과 사회학(Burawoy 1998)에서는 민족지 연구에서 성찰성이 핵심적으로 논의됨
- 그러나 정치학에서는 Shehata(2006)를 제외하면 성찰성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며 부정적인 경향이 강함
- 정치학 내에서는 민족지 연구의 첫 번째 의미(정치 연구로서의 가치)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두 번째 의미(연구자의 역할 이론화)는 무시되거나 민족지 연구의 정당성을 해치는 요소로 간주됨
- 성찰성의 필요에 대한 사례
- 미국 Great Plains 지역의 산업화된 도살장에서 수행한 현장 연구
- 사례를 통해 연구자가 연구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분석하는 성찰성이 우연적이고 부수적인 부산물이 아니며, 오히려 성찰성이 연구 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것이며, 생산적이고 필수적인 성찰과 분석의 원천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할 예정
“My fieldwork demonstrates that reflexivity—defined as explicit attention to the role of the ethnographer in the ethnography—is not merely incidental to ethnographic research, an unavoidable and unfortunate byproduct of the fact that in ethnography the ethnographer is the primary instrument of research. To the contrary, it shows that the role of the ethnographer in the ethnography can be a productive and necessary source of reflection and analysis, rather than a short coming to be silenced or downplayed.”(144-145)
Context and Aims: The First Meaning of the Political
연구 배경 및 수행 과정
- 2004년 6월~2006년 5월: 미국 그레이트 플레인즈 지역의 산업화된 도살장에서 위장 취업, 현장 연구
- 첫 5개월 반 동안 도살장의 킬 플로어에서 주 56일, 하루 912시간 노동
- 이후 18개월 동안 공동체 및 노조 조직자, 도살장 노동자, USDA 육류 검사관, 목장주, 소규모 도살장 운영자와 인터뷰 및 참여관찰 진행
- 연구 대상: 중남미, 동남아, 아프리카 출신의 이민자 800명 이상이 근무하는 도살장(하루 약 2,500命 도축)
연구 주제 및 핵심 질문
- 연구 제목: Killing Work: Industrialized Slaughter and the Politics of Sight (Yale University Press 출간 예정) → 2011년 11월 Every Twelve Seconds로 출판됨
- 산업화된 도살장을 일상적이지만 은폐된 폭력 노동의 대표적 사례로 탐구 (Flyvbjerg 2001)
- 정치적·경제적으로 소외된 소수 집단이 대다수 인구를 위해 반복적인 폭력 노동을 수행하는 구조적 문제를 분석
- 폭력적 노동의 위임 및 수행 방식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의 권력 작동 방식 이해
‘정치적인 것’의 첫 번째 의미로서 연구를 통해 생산된 ‘정치적’ 지식
- 노동 분업과 권력에 관한 지식
- 기존 연구는 노동 분업을 효율성 관점(lens of efficiency)에서 다루었으나, 연구자는 이를 사회적 권력 작동 메커니즘의 핵심을 놓치는 것이라 여김 (lens of power)
- 도살장을 노동과 공간의 분업이 현대 사회에서 권력을 어떻게 조직하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공간으로 간주
- 혐오(repugnance), 감금(confinement), 폭력의 정상화 및 반복적 수행(normalization and routinization of violence) 간의 관계를 탐구
- 시야의 이중적 지리학(twofold geography of sight) 개념 도입
- 첫 번째 층위: 도살장과 사회의 관계에서 폭력이 물리적·사회적으로 차단되어 보이지 않도록 작동
- 두 번째 층위: 도살장 내부에서 노동과 공간이 미세하게 분할되어 폭력에 대한 물리적·도덕적 거리 차이를 형성
- ‘시야의 정치(politics of sight)’ 개념 제시
- 지역사회 조직 운동이 도살장의 은폐된 폭력을 가시화하고 정치·사회적 변화를 유도하려는 시도를 분석
- 정치적 민족지 연구의 확장 가능성
- 장기간의 현장 몰입과 참여관찰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이지만 혐오스러운 폭력이 어떻게 조직되고 규율되는지를 밝힘
- 산업화된 도살장을 국가가 위임한 폭력 노동의 공간으로 재서술하여, 일상적으로 정상화된 권력 관계를 문제화하는 작업 수행
- 전통적으로 정치적이라 간주되지 않은 도살장을 분석해서 정치적 연구의 경계를 확장하려 시도
Perspective, Power, and the Ethnographic Voice: The Second Meaning of the Political
- 산업화된 도축장의 구조적 특성
- 도축장은 수평적으로 세분화(세밀한 노동 분업, 물리적 공간 분할)
- 수직적으로도 엄격한 권력 계층 구조(예: 안전모 색상으로 구분)
- 연구자는 이러한 분절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며 연구 수행
- Timothy는 위와 같은 도축장의 수평적 분업 구조와 수직적 권력 계층을 경험하며, 연구자의 위치가 연구 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
- 연구 전략: 세 가지 접근 전략 및 직접 접근
- 공식적 접근: 도축장 관리자 승인 후 연구 수행
- 대리 접근: 도축장 근무자와 인터뷰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구
- 직접 접근: 입문 직급 근로자로 취업하여 내부에서 연구 수행
- 실제 노동자 경험 체험 위해 직접 취업 및 노동자로 참여
- 취업 과정과 개인적 배경 영향:
- 언어 능력, 법적 신분 등의 요소로 다른 노동자들과 차별점(취업 용이하게함)을 가짐
- 피부색, 출신 지역, 노동 경험 등의 요인으로 쉽게 동화됨
“The hiring process itself quiddy disabused me of any romanticized notions of unproblematic identification with the majority of slaughterhouse workers. I spoke fluent English. I had a valid U.S. driver's license and social security card, giving me a large advantage over many of the thirty or so others who milled around nervously with me in the plant's dingy employment trailer. At the same time, certain autobiographical aspects helped me to blend in. I had brown skin, I was born and raised in Southeast Asia and had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as a young adult, I was a young male, and I had previous experience with manual labor in industrial settings. These autobiographical characteristics helped the management in charge of hiring to code me as typical entry-level slaughterhouse material.”(148)
- 권력 관계와 연구자의 위치
- 도축장 내부에서 연구자의 위치는 선택이 아닌 구조적 요소에 의해 결정됨
- 도살장 내에서 매우 세분화된 노동 분업과 계층 구조를 종횡으로 이동하며 연구 수행
- 연구 진행 과정에서 즉흥적 적응(bricolage, improvisation)이 필요했음
- 도축장 내 연구자의 역할 변화
- 세 가지 직무를 수행하며 시각과 권력 관계에 대한 통찰을 얻음
- 간(肝) 걸기 노동자 (liver hanger) → 초기 입문 직급
- 가축 유도 작업자 (chute worker) → 수평적 이동을 경험
- 품질 관리 직원 (quality-control personnel) → 계층 상승을 경험하며 더 넓은 관점을 가짐.
⇒ 역할 변화에 따라 연구자의 시각과 연구 방향도 변화함을 확인
Liver : 산업화된 도축과 공간적 분리
작업환경과 초기 경험
- 저자는 도축장의 도살(slaughter)과 가공(fabrication) 구역 사이에 위치한 간 처리 구역에서 근무하며 가축의 간을 분리, 세척, 포장하는 반복적인 작업(첫날부터 같은 통로를 이용해 냉장고로 이동, 하루 9~10시간 동안 간을 철제 갈고리에 걸어 놓는 작업)을 수행
- 간 처리 작업은 다른 공정과 분리된 추운 냉장 공간에서 이루어짐. 공간이 매우 좁음. (제한된 공간)
- 작업자들이 다른 구역의 노동자들과 분리되어 있어 상호작용이 제한됨 ⇒ 노동자들은 자신이 수행하는 작업이 전체 도축 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경험적으로 이해하지 못한 채 단순 반복 작업을 함 ⇒ 공간적 분리와 노동 분업이 노동자들이 감각적으로 도살 과정에 깊이 개입하지 않도록 만드는 구조를 형성
- 반복적이고 기계적인 작업으로 인해 노동자들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제한
⇒ 이같은 방식으로 노동의 조직과 분할 방식이 작업자들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노동과 공간의 수평적 분할, 동시적이고 반복적 작업(몰입), 제한된 작업 공간 등
Chute: 노동 분업과 공간적 분리
작업 환경 변화와 직위, 위생 개념 분리를 통한 도축 과정 정상화와 일상화 경험
- 두 달간 간 걸기 작업 후 슈트(chute) 구역으로 (수평적 이동)이동하여 가축을 도살장으로 몰아넣는 작업을 함
- 작업복과 안전모 색이 변경되며, ‘깨끗한(clean)’ 구역과 ‘더러운(dirty)’ 구역 간의 공간적, 경험적 분리가 존재. (위생 개념을 기반으로 한 구역 구분을 경험함) ⇒ 연구자 통찰: 이런 공간 분리가 도축 과정의 정상화와 일상화 촉진
- 하루 9-10시간씩 계속해서 소를 전기 충격기를 사용하여 knocking box로 몰아넣는 역할을 맡음 → 가축의 고통(비명, 경련, 분비물 등)을 목격하는 과정에서 감정적으로 힘듦과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
- 작업이 지연되면 감독자들의 강한 압박과 해고 위협을 받음. → 동료들과 전기 충격기 사용 정도에 대한 의견 충돌 → 초반에는 최소한의 사용을 고수하려 했으나, 작업 환경과 압박 속에서 점차 자주 사용하게 됨 ⇒ 일정한 속도로 가축을 몰아야 하는 환경에서 전기 충격기의 사용이 필수적이 됨 → 연구자 통찰: 이 과정에서 동물을 기계처럼 다루는 태도를 받아들이거나 배워야함
- 상사의 지시를 따르며 도축 과정의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압력을 받음 → 도축장의 권력 관계를 보여주며, 슈트 작업자들은 가장 낮은 위치에 있고 자율성이 제한됨
⇒ 도축장에서 폭력이 일상화되는 과정과 동물의 대상화 과정을 이해하게 됨
Quality Control
승진과 위계 변화에 따른 관계 변화
- 슈트 작업 후 3개월간 품질 관리 업무를 담당(도축된 가축의 위생 상태를 검사하고 위생 규정 준수를 점검 ) → 녹색 헬멧 착용 ⇒ 개인 라디오를 지급받아 관리자 및 감독관 간의 무전 통신에 접근 가능해짐, 또한 자유롭게 공장을 돌아다닐 수 있어, 단순 반복 작업에서 벗어나 공간적 이동성 증가 체험
- 품질 관리 업무를 통해 도축장 내 다양한 직급과 권력 관계와 관리자와 작업자 간의 의견 차를 경험
- 기존에는 제한된 공간에서 노동하며 하향적(bottom-up) 시각을 가졌으나, 이제는 도축장 전반과 사무실, 가공 부서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에 놓임
- 연방 육류 검사관과 도축장 경영진이 하나의 단일한 권력체가 아니라, 내부적으로 갈등과 분열이 존재함을 배움
- 품질 관리 역할을 수행하면서 고위층의 ‘숨겨진 대화(hidden transcripts)’에 접근할 수 있게 됨
- 노동자들과의 관계 변화 및 소외
- 이전 동료들과의 관계 유지하려 했으나, 위계 구조 변화로 인해 거리감이 생김
- 특히 라몬과는 근무 일정 차이로 인해 함께 출퇴근하지 않게 되었으며, 점심시간에도 예전처럼 편하게 대화하지 않게 됨
- 다른 노동자들은 연구자를 경계하기 시작했으며, 대화가 갑자기 끊기거나, 과장된 존댓말을 사용하는 등의 태도 변화가 나타남
- 품질 관리 역할이 가진 (연방 검사관을 회피하게 하거나 노동자들을 감시해야 하는 등) 윤리적 딜레마
- 노동자들 간의 관계가 단순하지 않으며, 직책이 수직적으로 나뉘어 있지만 실제로는 복잡한 관계가 형성됨을 이해하게 됨
- 위와 같은 경험을 통해서 위생과 효율성 사이의 긴장이 도축 과정의 윤리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보게 됨
- 이러한 상황이 견디기 어렵다고 판단해 2004년 12월 도축장을 퇴사
- 이후에 라몬을 비롯한 노동자들과 연방 검사관들과 연락을 유지하며, 연구의 초점을 도축장 내부에서 노동조합, 소규모 도축장 운영자, 목축업자 인터뷰로 확장함
결론: 네 가지 교훈
첫 번째: ‘아래로부터의 시각’의 복잡성과 한계
- 사회적 약자의 시각은 단순하고 일관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정체성이 교차하는 방식으로 구성됨
- 특정 집단(정체성)의 입장에서 바라볼 경우, 하위 집단 간의 복잡한 권력 관계를 간과할 위험이 있음
- 본질적이고 순수한 ‘아래로부터의 관점’은 존재하지 않으며, 연구자는 연구 현장에서 이러한 복합성을 고려해야 함
두 번쨰: 연구자의 외적 특성이 연구 과정에 미치는 영향
- 연구자의 신체적 특징(성별, 피부색, 머리색, 언어, 태도 등)은 타인에게 특정한 인상을 주며, 연구자가 연구 대상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를 결정함 → ex, 취업 용이, 여성 동료와 교류 어려움
- 연구자의 배경과 습관(habitus)이 현장에서의 상호작용 방식에 영향을 주고, 연구 결과에도 반영됨
- 연구자는 연구 대상의 시선 속에서 자신이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인지하고, 이를 연구 과정에서 고려해야 함
세 번쨰: 연구자와 노동자로서의 이중적 역할과 그에 따른 긴장
- 연구자는 도축장에서 노동자로 일하면서도 연구자로서 기록하고 분석해야 하는 이중적 역할을 수행해야 했음 → 낮에는 노동자로 동료들과 함께 일하지만, 밤에는 연구자로서 노동 경험을 분석해야 하는 긴장이 발생
- 연구자의 특권적 위치((연구자는 연구를 중단하고 떠날 수 있지만, 동료 노동자들은 그런 선택권이 없음)가 연구 윤리와 연구 대상과의 관계에 대한 윤리적 고민을 불러일으킴
네 번째: 연구 결과가 연구 대상에게 미치는 영향과 책임
- 연구가 출판되거나 공유될 때, 연구 대상의 삶과 권력 관계에 예측할 수 없는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
- 연구가 현실에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지만, 반대로 학문적 논의에서만 소비되고 실제 영향력을 가지지 못할 수도 있음
- 연구자는 연구가 학문적 의미를 넘어 실제 세계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민해야 하며, 연구 결과의 정치적 함의를 인식해야 함
정치적 민족지학의 의미와 연구자의 역할
- 정치적 민족지학은 단순히 정치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 과정 자체가 정치적이라는 점 인식 필요
- 연구자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성찰적 접근이 폭력과 권력 관계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됨
- 연구자가 중립적 관찰자가 될 수 있다는 환상을 버리고, 연구 과정에서 자신의 위치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함. → 연구자의 위치성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권력과 정치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가능하게 함.
- 정치적 민족지학에서 ‘정치적’이라는 개념은 연구 대상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연구 과정 자체에도 적용되어야 하며, 이 두 가지 의미는 분리될 수 없음.
'프로그램 아카이브 > 영어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otal
- Today
- Yesterday
- 계급투쟁
- 옥중수고
- 개인심리
- 집단심리
- 알튀세르
- 생산양식
- 브루스커밍스
- 이탈리아공산당
- 의식과사회
- 야생의사고
- 무엇을할것인가
- 검은 소
- 생산관계
- 딘애치슨
- 루이 알튀세르
- 헤게모니
- 그람시
- 루이알튀세르
- 레비스트로스
- 마키아벨리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스피노자
- 안토니오그람시
- 신학정치론
- 이데올로기
- 로마사논고
- 공화국
- 옥중수고이전
- virtù
- 한국전쟁의기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