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케고르의 이것이냐 저것이냐 읽기 / 4-6장 / 25.02.26 / 노그래
4장 인생의 비극적 측면과 불행과 행복의 역설전체적으로 ‘비극’이라는 매우 무겁고 어두운 인생의 부정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지만 또한 역설적으로 심미적인 실존의 한계를 충분히 체험한 사람만이 ‘도약’을 감행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희망’을 말해주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p. 90) 마찬가지로 인생의 비극적인 측면을 극복한 사람만이 두려움 없이 비극을 정면으로 응시할 수 있고, 비극이 가진 진정한 의미를 조명할 수가 있다. 키르케고르가 비극을 다루면서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p. 92) 그리스적 비극의 특징: 국가, 혈족 그리고 운명 등의 현실적인 범주들이 주인공의 행위를 결정하는 동기가 되고 그는 이러한 현실적인 범주와 독립하여 행동하지 못한다. (p. 94) 고대의 작품에서 ..
세미나 발제문/심리학
2025. 2. 26. 17:35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집단심리
- virtù
- 옥중수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공화국
- 루이 알튀세르
- 이데올로기
- 이탈리아공산당
- 무엇을할것인가
- 레비스트로스
- 개인심리
- 스피노자
- 로마사논고
- 헤게모니
- 딘애치슨
- 신학정치론
- 의식과사회
- 그람시
- 마키아벨리
- 계급투쟁
- 검은 소
- 알튀세르
- 생산양식
- 한국전쟁의기원
- 브루스커밍스
- 안토니오그람시
- 생산관계
- 루이알튀세르
- 옥중수고이전
- 야생의사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