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심리학과 자아 분석] / 테츠 / '21.01.27
지그문트 프로이트, 『문명 속의 불만』(2020 신판), P75-169, 본문 : 집단 심리학과 자아 분석 원문 : Massenpsychologie und Ich-Analyse(1921) ※시작하기 앞서, 독일어“Masse"가 ‘집단’보다는 ‘군중’ or ‘대중’이 적합하지만, 일관성 유지를 위해 집단이라는 번역어를 사용하고 있음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1. 머리말 “개인 심리학과 사회 심리학 또는 집단 심리학 사이에는 언뜻 보아 중요한 차이가 있는 듯싶지만, 좀 더 면밀히 검토해 보면 뚜렷한 차이가 거의 사라진다.”(77)는 문장으로 이 논문을 시작하고 있는 것에서, 그리고 이런 내용을 담은 구절이 머리말 군데군데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논문의 목표는 명확해 보입니다. 사회적 현상 속에서 관계를 맺고..
세미나 발제문/심리학
2021. 1. 27. 19:1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계급투쟁
- 야생의사고
- 레비스트로스
- 이탈리아공산당
- 루이 알튀세르
- 브루스커밍스
- 공화국
- 옥중수고이전
- 개인심리
- virtù
- 무엇을할것인가
- 옥중수고
- 집단심리
- 알튀세르
- 헤게모니
- 안토니오그람시
- 한국전쟁의기원
- 의식과사회
- 딘애치슨
- 그람시
- 로마사논고
- 생산양식
- 이데올로기
- 스피노자
- 마키아벨리
- 검은 소
- 루이알튀세르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생산관계
- 신학정치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