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8주차] Problems of Editing "First-Person" Sociology - Robert "Bob" Blauner /25.02.23 / 오은
인무연 2025. 2. 23. 22:05Problems of Editing "First-Person" Sociology - Robert "Bob" Blauner
“1인칭” 사회학을 편집할 때의 문제들 - 로버트 “밥” 블로너
저자 소개
1929년 생으로, 초기에는 노동, 소외의 문제에 대해 저술했고, 미국의 인종차별에 대해 쓴 저술은 내부식민주의 / 내재적 식민주의 internal colonialism 이론을 대중화시키며 race studies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외 어머니에 대한 애도, 매카시즘에 대한 반발 등을 주제로 한 주요 저술이 있다.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에서 가르쳤다.
"Blauner Hypothesis" 블로너 가설 :
식민지화로 인해 생성된 소수자 집단은 이민으로 생성된 소수자 집단보다 더 강한 편견과 (인종) 차별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첫번째 (식민지화로 인한) 집단의 불리한 지위는 두번째 (이민으로 인한) 집단의 불리한 지위보다 더 오래 지속되고 극복하기 어려울 것이다.
글에서 다루는 1960년대 후반과 1980년대에 각기 진행한 인터뷰를 활용한 책인 ”Black Lives, White Lives (1989) 흑인의 삶, 백인의 삶”은 시민의 권리 운동 시대 전후의 인종 관계를 묘사했다.
https://prabook.com/web/robert.blauner/1698034
« Robert Blauner wrote on factory workers and their work because he spent five years in factories as a communist in his twenties. He wrote three books on race in America because the issue of racial justice had spoken to him since he was seventeen. He wrote a "seminal" article on death because he had suffered from death anxiety at age thirty-two. He edited a book about the death of mothers because he wrote a great piece about his own mother three years after she had died. He also taught a course on men's lives for twenty years and found all the focus was on sons and fathers, nothing on mothers. … »
Quotations: "The subjects I've written on all come out of my life history, and this I know is true for everyone, even the most "scientific" scholars."
"제가 쓴 주제들은 모두 제 인생사에서 나온 것이며, 이는 모든 사람, 심지어 가장 "과학적인" 학자들에게도 동일할 것입니다."
개인적 접근
지금까지 읽은 글 중 사회학자 개인의 서술 중 개인적 호오가 아주 분명히 드러난 글 (그는 본문에서 “I like”라는 말을 사용한다!)로, 기술적인 문제와 현실적인 고민이 정직하게 담겨있었다. 실제로 생애사나 구술사 연구를 할 때 참조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10년의 기간을 사이에 둔 그의 연구는 Burawoy의"Revisits"의 한 전형으로 나타날 수 있을 것 같다.
영어라는 언어 안에서 논의되기 때문에, 사투리, 방언, 어눌함, 침묵 등의 특이성이 번역에 있어서는 어떻게 나타날 수 있을지 질문이 생긴다. (연구자들에게는 큰 문제가 아닐 수 있으나 대중에게는 어떻게 와닿을지?)
번역 용어
인터뷰어 : 연구자, 저자, 등 다양한 용어가 나오나 인터뷰어로 통일
인터뷰이 : 인터뷰 대상자, 연구 대상자 등 다양한 용어가 나오나 인터뷰이로 통일
배경
1987년 출판
60년대 후반 백인과 흑인의 삶의 경험에서 인종과 인종주의의 역할에 대한 연구
인터뷰를 통한 생애사적 접근
첫번째 인터뷰 양 : 264명 대상, 녹음, 기록 10,000페이지 400만 단어
- 첫 번째 독해를 완료하는 데 2년 이상 걸림
(”Black Lives, White Lives (1989)” 참고, 첫번째 인터뷰는 눈덩이 방식, 두번째 인터뷰는 첫번째 인터뷰 참여 대상 중 선정한 50명 대상 (결과적으로 40명), 세번째 인터뷰는 그중 연락 가능했던 30명 가량)
시간적 배경
-초기 연구 : 60년대 후반
-10년 후 연구 : 1978-1981년
-마지막 : 1986년
최초 전략 (이론적) : 이론에 합당할 수 있는 대표적 인터뷰를 골라 저자의 개입을 최소화 하여 출판
→ 불가능
1인칭 연구 first-person study 의 정의
= 인터뷰 대상의 서사나 기술이 기반이 된 책이나 글. 특정 개인(들)에 집중.
저자의 요약이나 분석이 주가 된 것이 아니라, "개인 문서 personal document" 자료를 제시한다.
예시 : Robert Coles, Thomas Cottle
반례 : 인터뷰 자료를 기반으로 한 분석, 개념적 주제를 뒷받침하는 자료로서의 인터뷰 Lillian Rubin “Worlds of Pain (1976)”, “Intimate Strangers (1983)”
기원 : Thomas and Znaniecki (1927), Shaw (1930, 1966) 등의 생애사 연구에서 뿌리.
그러나 저자는 생애사 연구가 개인을 지우고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인터뷰 내용보다) 분석이 주가 되는 경우가 많다고 느낌
세가지 문제
1. 어떻게 인터뷰이의 발화를 담아낼 것인가? (특히 표준어가 아닐 때 ?)
2. 어떻게 방대한 양의 기록이나 필사록을 편집할 것인가?
3. 어떻게 인터뷰이의 1인칭 목소리를 인터뷰어와 균형을 잡을 것인가?
편집 editing은 곧 분석 analysis
1. 발화를 담아내기
두가지 견해 : 보존주의 preservationist VS 표준화 standardize
보존주의 예시
구술사 연구자 Nell Painter (1979)가 앨라바마 공산당 지도자 Hosea Hudson의 자서전 서문 예시 : 대부분의 경우 발화자의 말 자체를 간직하지만 문법에서 어긋나보이는 경우라도 원 화자가 추구하는 바와 같았던 리듬을 최 우선으로 추구하며, 개인을 드러내도록, 표준 철자로 변형하지 않음
ex. “I'd 'ave been in jail,"이라는 말은 “I’d of been in jail,"로 화자의 특이한 화법이 드러남
표준화 예시
반면Robert Coles 은 저소득층, 저학력 인터뷰어들의 말을 표준 중산층 영어로 “번역”
- 독자가 생소한 용어와 속어에 주의가 산만해질 것을 걱정하여, 내용 content에 중점을 두고 형식style 은 희생 그러나 그 당위성에 대한 의문을 스스로도 제기 ->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선택한 저자의 “번역”이 오히려 잘못된 메시지를 전달 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
표준화를 택한 Coles 에 대한 저자의 비판
내용과 형식 style은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의미는 우리가 말하는 방식 안에 함축encapsulated 됨
언어의 뉘앙스나 형식은 개인적인 것으로 개개인의 개성
John Gwaltney, 흑인의 이중언어사용 bilingualism (ex/ “code-shifting” from Standard English to black speech
patterns) 은 이중문화bi-culturalism 와 연관이 있으며, 미국 사회 안에서 인종적 긴장이 (인종 차별적 세계와 그렇지 않은 세계라는 두 가지 세계에서) 그들의 언어 사용에서 드러나게 된다고 증언
예시 : 저자의 인터뷰이 중 1966년과 1978년에 인터뷰한 Frank Casey (p 165, p306) 의 경우
a. 다양한 언어 (스타일) 사용
본인이 만족했던 직장에서 해고당했던 사건
백인 관리자들과의 갈등 : 소리가 크게 말하면 적대적인 것이라는 (오류가 있는) 이해
화자의 말 "They couldn't determinize distinctions from hostile to speaking their mind, because if you speak loud, you hostile."
번역/정서할 경우 “They couldn't distinguish between hostility and speaking one's mind, because to them talking loud is being hostile,"
이 경험을 이야기할 때 분노, 흥분 또한 혼란, 갈등이 표현. 그러나 이 말을 표준적인 영어로 번역/정서하면 사라지는 것들이 있고, 화자의 발화 스타일이 해고의 원인이 될 수 있었음을 짐작하게 함
b. 시간에 따른 태도 변화
66년 인터뷰 당시에는 “소울 soul”이라는 단어에 대해 질문하였으나, 스스로의 발화에 대한 인식 없음, “그냥 속어”로 이해
78년에는 다른 발화 스타일, 또한 “소울”과 흑인 문화에 대한 큰 변화. “민족적 거리 언어 Ethnic street language”는 과거와 달리 더이상 개인의 아이덴티티가 아님
다른 인터뷰이 역시 시간에 따라 변화 관찰 → 사회적 영향
저자의 태도
보존주의에 가까운, 인터뷰이의 말투를 최대한 정확히 전달해야 한다는 책임감 중시
편집자로서의 자유 : 사회학적 진실, 서사의 충실성, 통일성을 추구하며, “시적 허용 poetic license" 부여
예시 : 단어를 바꾸지 않으나 필요한 부분(단어, 문장, 문단) 제거, 자신의 말로 인터뷰이의 말을 변형시키지 않음. 자신의 말은 이탤릭체나 다른 문단으로 구별.
예외 : 맥락 상 단어를 넣지 않은 경우 괄호로 추가하거나 첨가. 인터뷰 대상 보호를 위해 개인 이름과 신원 변조.
반복의 경우
스타일의 독특함을 희생하지 않는 한도 내에, 내용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삭제 (절반 이상). 단 수사적인 음악적, 종교적 전통의 반복과 혼동하지 않을 것. 예시 : 마틴 루터 킹 “I have a dream” 반복.
2. 선택의 문제
편집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드러내는 지적이며 창조적인 행위
힘든 이유 :
-(인터뷰의 특성 상 자료는) 너무 많고 방대하므로, 그것을 읽을 수 있는 길이와 형태로 만들 선택 필요
-가장 좋은 부분을 고르고, 혼란스러운 내용을 조직적으로 골라 초점 focus 설정
-서로 상충될 수 있는 목표들 : 독자에게 경제적이고 명확하고 흥미롭고 원 인터뷰에 충실하고 특정한 실질적 주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 추구
-개방형 인터뷰의 특성 : 예상치 못했던 반전이나 전환 포함, 모호함은 이 방법론의 내재적 문제.
-인상주의적 해결책 : 사진에 대한 비유
“Just as two people will photograph the same event or person differently, so will two people develop and print the same photographic negative differently. One person will emphasize one quality of the photograph, the other will emphasize something else. In this personal emphasis, in this final artistic rendering-the period when editorial and substantive changes are made-lies the heart of the subjective inquiry, which is what the life study ... is ultimately about. We choose only certain photographs, select only certain portions of a particular conversation, remember only certain fragments of conversation. It has to be this way, even with mechanical recording devices. Data, no matter in what form, are reduced.
두 사람이 같은 사건이나 사람을 다르게 촬영하는 것처럼, 두 사람이 동일한 사진 음화를 다르게 현상하고 인화할 것이다. 한 사람은 사진의 한 가지 특성을 강조하고, 다른 사람은 다른 것을 강조할 것이다. 이러한 개인적인 강조에 - 편집과 실질적인 변경이 이루어지는 이 최종 예술적 결정에, 주관적 탐구의 핵심 - 궁극적으로 삶의 대한 연구의 핵심이 있다. 우리는 특정 사진만을 선택하고, 특정 대화의 특정 부분만 선택하고, 대화의 특정 단편만 기억한다. 기계적 기록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어떤 형태이든 데이터는 축소된다.”
저자가 일하는 방식
a. 현장 노트 참조, 테이프 듣고, 필기록 transcription 읽기
- 전체적, 직관적 이해 추구
- 인터뷰이에 대한 스스로의 태도, 동일시 (모호함 포함) 호불호 정의
<인터뷰 자체는 명확하지 않아도 가능하나 편집은 불가능>
b. 세부사항 중시하며 필기록 읽기
-흥미로운 부분 밑줄, 지루하거나 반복적인 부분 삭제 표시 → 50페이지를 10/15페이지로 줄임
-가능한 시작 지점 탐구
-그룹화, 요약, 다른 주제 연결 가능성 탐구
c. 글쓰기
-서론과 초안 작성
-개요 → (이 종류의 글쓰기에는) 효과가 없다
- 인터뷰 한 지점에서 시작하다 5-6페이지 쓴 후 폐기하고 다시 쓰기 반복 → 잘못된 시작은 초점을 찾는데 도움 (개인의 고유한 이야기 탐구)
팁
-개인의 독특한 이야기, 초점, 이슈 탐구 (어떤 인터뷰는 개입이 거의 필요 없을 정도로 집중적인 이야기가 있음)
-”스토리 라인story line” 탐구 : 초점을 찾고 (불필요한 내용을) 삭제하며 강조 emphasis (창조적인 편집자)
-저자는 어떤 작가들은 동일한 순서를 따라 인터뷰 서사들을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나 기계적이고 덜 흥미롭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음
-시간 경과에 따른 흐름은 기계적일 수도 있으나 역사적 측면에서 흥미로울 수 있음.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도 흥미로울 수 있움
- 인터뷰가 진행되는 순서 자체가 서사의 힌트가 될 수 있음 → 유기적인 흐름을 파악, 주제 자연스럽게 전환, 실제 만남의 즉각성 immediacy과 자연스러움 spontaneity 획득.
- 실제 인터뷰 진행이 유기적이지 않을 때 시퀀스를 편집하여 유기적인 흐름을 얻기 위해 변경 가능
- 혼란스러워 하는 인터뷰이 : 독자의 이해가 우선이므로 (신중하지만 개인에 대한 파악을 위해, 스타일 자체를 희생시키지는 않는) 개입
→ 그러나 개인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니라 어떤 맥락이나 어떤 특정한 질문이나 주제에서 혼란스러움이 지속되는 경우, 그것은 증상 symptomatic이므로 글에 포함되어야 함.
- 다른 사람들의 대표자이거나, 다른 이유로 산문적prosaic이고 지루한 dull 인터뷰이 : 간략하게 양을 줄이고 흥미롭게 읽을 수 있도록 하지만 (개인의 특성을 나타내는) 산문적 특성은 유지
선택과 초점에 대해
Theodore Rosengarten의 편집에 대한 세가지 기준
-인터뷰이의 개인적 발전 personal development과 관련이 있는가?
-역사적 쟁점 historical interest이 있는가?
-문학적 가치 literary merit 가 있는가?
저자의 관점 : Rosengarten의 기준은 도움이 되지만 광범위 → 번형
-연구에 가장 적합한 것은 ? what fits best the focus of your study,
-(연구자가)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것은 ? what interests you personally
→ 연구의 중점 focus이 무엇인가?
“When we're focused, we know exactly what we want to know. This sounds simple, but in actual practice there is nothing more difficult in designing research or scholarship than determining what it is that we really want to know.
우리가 집중할 때, 우리는 우리가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안다. 이것은 간단해보이지만, 실제로 연구나 학문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우리가 정말로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결정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 것은 없다.”
성공적인 중점 설계의 예 :
-Studs Terkel's Working (1974) : 노동이라는 주제, 구체적이고 제한적인 영역이나 동시에 개인생활의 광범위한 영역 포함 가능, 미국 사회에 대한 통찰
-Ronald Blythe's Akenfietd (1969) : 하나의 작은 마을에 제한하여 연구하였으나 삶의 전체 과정을 조망 가능
저자의 개인적 연구 초점의 변화
-현상과 인간은 분절된 부분이 아닌 통합적인 전체
-60년대 인터뷰 : 연구 초점은 인종 차별, 인종적 차이, 남성성과 여성성과 같은 특정 문제에서 구술사 방법론을 통해 1960년대의 인종적, 사회적 분위기 파악
→ 저자는 당시 정치적이고 구조적인 문제에 관심
-78년대 인터뷰 : 변화 그 자체 (미국 사회의 변화, 사람들의 변화, 삶과 사람들 사이의 상호 연결)
→ 저자는 당시 (60년대보다) 개인적이고 경험적인 문제에 관심
문제 : 60년대 했던 인터뷰를 현재 (변화한 스스로가) 편집해야 한다는 점 → 현재 인터뷰에 보다 “정치적인” 질문들을 더 포함시켜야 하는가?
-스스로를 리트머스 시험지로 판단하여 스스로에게 흥미가 있는 것이 다른 이에게도 흥미로울 수 있기를 희망하며, 그것이 궁극적으로 주요 주제와 연관될 것이라는 전망
3. 저자와 인터뷰어 : 섬세한 균형
Eva Salber의 노스캐롤라이나 시골 노인에 대한 1983년의 구술사 연구 : 본인의 직접적 진술은 서문에만 한정
인터뷰이의 목소리와 분석적 논평자/연구 참여자로서의 인터뷰어 사이의 균형잡기
다양한 전략들 :
-Eva Salver 서론 (저자 관점과 맥락 파악에 용이, 개인 진술과 큰 주제 연결)
-Studs Terket, Working (1974) (비판적 약점) : 일화와 인터뷰 인용으로 인상주의적
-Clifford Shaw, Jackroller (1966) : 인터뷰이 Stanley의 인터뷰 전에 그의 개인사와 가족 관계등을 제시
-Ronald Blythe, Akenfield (1969), Winter (1979) : 서문에 저자 견해 제시, 본문도 연결
--- Studs Terket의 약점이자 장점 : 독자들이 1인칭 목소리에 빠르게 몰입 가능
James Hoopes (1979) : 개인의 발언을 그들 각각 개인의 목소리로 담는다는 Salber 의 전략은 1>인터뷰의 맥락을 이해하게 하고 2> 개인을 역사적으로 위치시키고 3> 한 삶을 문화적이고 사회적인 구성 안에 위치시킴
이러한 도입lead-in 은 인터뷰 자체에 포함이 되지 않을 수 있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전체적인 초상을 그려 독자와 개인의 연결에 도움
3인칭 관점 :
-일반적 편집 과정이 어려울 경우 유용한 경제적 대안 (작가의 관점으로 요약하여 삭제될 수 있었던 정보 보관)
-구술사가들은 요약을 피하고, 서론에서 맥락을 확립한 후에는 서사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추세
-저자는 더 많이 개입하지만 인터뷰마다 다른 방식.
인터뷰어-연구자의 존재
인터뷰어의 존재는 어떻게 드러나야 하는가?
1 – 현장 연구자 Coles과 Cottle의 경우
Coles “개인간의 만남의 감각” 중시, 연구자 존재감
Cottle 수년간의 방문을 기반으로, 그 과정에서 관계가 발전하여 "일회성" 인터뷰가 아닌 친구와의 대화와 유사.이 교환에서 연구자의 발언 (질문, 코멘트, 의견)은 "대화 환경"의 중요한 차원
2 - 구술사가 Nell Painter의 경우
"내가 이 이야기에서 성공한다면, 내 손은 보이지 않을 것이다 If I succeed in this narrative, my hand will be invisible"
구술사가 : 사회학자나 심리학자와 달리, 데이터 수집은 목적이 아닌 수단. 목적은 실제 벌어졌거나 개인되는 "역사"의 가능한 한 정확한 재구성. “진실 truth” 파악
? 인터뷰의 과정,질문이 나타나야 하는가 ?
-사회학자의 “진실 truth” : 사회적 상호작용과 개인이 느끼는 자신의 삶에 대한 최종 견해 포함 → Painter 는 인터뷰이 Hosea Hudson과 작업하며 그의 견해가 바뀌며 off the record 였던 특정 이야기를 포함시키기 위해 노력했다고 언급 → 이러한 과정은 이야기에 포함되지 않지만 중요할 수 있음
-민족지 방법론학자에게 있어서 인터뷰어의 기여를 제거하는 것은 현실 왜곡
-사회학자는 전문가 독자를 위해 글을 쓸 때 질문 유지 가능성 높음 → 동료들은 질문에 관심
- 정치 기자 오리아나 팔라치의 경우 : 질문을 인터뷰에 넣음으으로 극적인 흐름과 만남의 직접성을 강조, 공격적이고 도발적인 인터뷰.
- Terkel : Working 과 American Dreams 에서 대부분의 질문 (100개중 1-2개 남김) 삭제, Hard Times and Division Street에서는 질문 포함
저자 : 인터뷰어 질문과 코멘트 제거. → 내러티브의 흐름 방해, 독자의 주의 산만.
그러나 하나의 질문을 유지하여 화자의 반응의 맥락을 확립
질문을 사용하는 방식 : 내러티브의 즉각성을 강화, 독자에게 만남의 형식 상기. 독백에 휴식이나 변화 제공.
질문이 필수적일 때 : 질문이 도발적이거나 어떤 대화가 극적이고 사회적으로 중요할 경우, 어떤 상태 요인 status factors (인종, 나이, 세대, 계층, 개인적이거나 정치적 스타일)이 현저할 때, 내용적으로나 서사의 흐름의 이해에 필요할 경우.
결론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매개체가 되려면 자신의 목소리를 억누르지 않으면 안 된다. To be a medium for the voices of other people, you have to suppress your own.”
1인칭 사회학은 모두를 위한 것은 아님, 주제에 따라 적합하지 않을 수 있음
1인칭 사회학의 장점 : 사회과학의 추상화, 일반화 경향과 대조적인 구체성, 생생함
-이들 증언의 직접성은 개인의 삶을 역사와 연결시키거나 C. Wright Mills (1959) 가 사회학자의 소명으로 본 것처럼 “개인적인 문제를 공적 사건에 연결 private troubles to public events" 하는데 기여
-개인이 세상을 바라보고 경험을 정리하며, 의식 consciousness 을 소통하는데 특히 적합
“마지막으로, 1인칭 사회학은 들리지 않는 목소리가 들릴 수 있는 기회를 준다. Finally, first-person sociology gives unheard voices a chance to be heard.”
개인적 독해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체르노빌의 목소리) : 예술성을 획득한 구술사, 다성성 기억 polyphonic memory
”Black Lives, White Lives (1989)” further reading + (Black lives matter 이후 오늘날 어떻게 읽히는가?)
학계 영상구술사와 현대 미술, 영화 사이의 관계 (혹은, 관계 “없음” ? 미흡 ? )
해상도와 가시성의 문제
도구 (연구 펀딩의 주체)로서의 연구 ?
'자유게시판 > 유학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 the Field: Participating, Observing, and Jotting Notes / 25.02.23. / 화니짱 (0) | 2025.02.23 |
---|---|
입학서류 관련 공증절차 (0) | 2024.12.09 |
웰컴센터 쪽과 주고받는 메일과 서류들. (0) | 2024.12.04 |
박사 대학행정 관련 제출 서류들 (내가 작성한 서류들) (0) | 2024.12.0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옥중수고이전
- 집단심리
- 헤게모니
- 이탈리아공산당
- 옥중수고
- 레비스트로스
- 루이알튀세르
- 공화국
- 딘애치슨
- 알튀세르
- 루이 알튀세르
- 로마사논고
- 이데올로기
- 마키아벨리
- 안토니오그람시
- 야생의사고
- 생산관계
- 한국전쟁의기원
- 그람시
- 계급투쟁
- 검은 소
- 신학정치론
- 무엇을할것인가
- 스피노자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의식과사회
- 개인심리
- 생산양식
- 브루스커밍스
- virtù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