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ing Ethnographic Fieldnotes』「4. Writing Fieldnotes II: Multiple Purposes and Stylistic Options」이 장에서는 민족지 필드노트 작성의 다양한 목적과 스타일을 검토함. 단순히 관찰 내용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 연구자의 입장, 예상 독자, 관점 선택, 시간적 시각, 내러티브 구성, 분석적 메모 작성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필드노트의 내용과 표현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고 있음. Ethnographers have multiple purposes in writing fieldnotes; these goals both shape and reflect their choices about styles of writing. (8..
Part3. Producing Ethonographies Theory, Evidence And Representationp281 현장 연구자는 특정 지역에서 관찰한 경험과 인상을 그 사람과 사건들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는 독자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학문적 전통과 개념을 잘 활용해서 일관된 텍스트로 구성해야 한다. 사회적 세계를 글로 재현하는 과정은 세 가지 상호 연관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1) "이론적 지식이 해당 사회에 대해 무엇을 시사하며, 나아가 사회적 삶 자체에 대해 무엇을 밝히는가." : 사회적 삶의 일반적 패턴과 규칙성 식별, 이론적 진술(Theretical statements)개발 필요. 2) 연구 대상자의 관점을 반영한 정확한 이론적 설명 : 다양한 형태의 증거를 조합하여 특정 주장 뒷받침,..
- Total
- Today
- Yesterday
- 마키아벨리
- 계급투쟁
- 개인심리
- virtù
- 옥중수고이전
- 로마사논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공화국
- 옥중수고
- 루이 알튀세르
- 검은 소
- 이탈리아공산당
- 생산관계
- 의식과사회
- 야생의사고
- 이데올로기
- 무엇을할것인가
- 신학정치론
- 집단심리
- 스피노자
- 알튀세르
- 생산양식
- 헤게모니
- 그람시
- 루이알튀세르
- 딘애치슨
- 브루스커밍스
- 한국전쟁의기원
- 안토니오그람시
- 레비스트로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