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에 이르는 병 -키르케고르/1편 II장 절망의 보편/25.03.19/용용이
제 1편 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병이다 II 절망의 보편성 조금이라도 절망하지 않고 있는 인간은 한 사람도 없다. 이런 고찰은 어둠이 아니다. 오히려 인간은 정신이어야 한다는 인간에 대한 최고 요구의 관점에서 모든 사람을 고찰한 것이다. 그에 반하여 절망에 관한 통상적인 고찰은 피상적인 고찰에 불과하다. 모든 인간은 자신이 절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스스로 가장 잘 알고 있으리라 전제한다. 그 결과 절망은 비교적 드문 현상이 된다. 그런데 절망은 사실 아주 일상적인 것이다. 진실로 절망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드문 것이다. 절망하지 않았다는 것, 다시 말하면 자신이 절망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식하지 못하는 것도 진실로 절망의 한 형태라는 것을. (의사가 환자의 말만 듣고 병을 판단하지 않는 것처럼) 심리학자의 ..
세미나 발제문/철학
2025. 3. 19. 22:04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개인심리
- 마키아벨리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루이 알튀세르
- 계급투쟁
- 공화국
- 의식과사회
- 집단심리
- 브루스커밍스
- 안토니오그람시
- 신학정치론
- 딘애치슨
- 검은 소
- 로마사논고
- 그람시
- 생산관계
- 옥중수고
- 이데올로기
- 루이알튀세르
- 헤게모니
- 레비스트로스
- 무엇을할것인가
- 알튀세르
- 야생의사고
- virtù
- 옥중수고이전
- 스피노자
- 생산양식
- 이탈리아공산당
- 한국전쟁의기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