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에르케고르, 1편 3장 B의 (a) / (b)의 (1)의 중간까지. /25.04.23/ 노그래
b. 자신이 절망 상태에 있음을 알고 있는 절망. 그래서 여기에서는 사람은 자신이 자아(어떤 영원적인 것)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식한다. 그리고 절망하여 자기 자신이려고 하지 않든가 또는 자기 자신이려고 한다. 자신의 절망을 의식하고 있는 사람이 과연 절망에 대한 참된 관념을 가지고 있는가 가지고 있지 않은가를 구별해야 한다(p.106). 의식적인 절망에는 한편으로 절망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참된 관념이,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 자신의 상태에 대한 명료성이 요구된다(p.107). 현실의 인생은 단순히 절망을 의식하고 있지 않은 무의식적인 절망과 자신의 절망을 완전히 의식하고 있는 의식적인 절망이라는 추상적인 대립 사이에 움직이고 있는 것 같은 그런 단순한 것은 아니다(p.107). 한순간에는 자신이 절망해..
세미나 발제문/철학
2025. 4. 23. 15:36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검은 소
- 알튀세르
- 생산양식
- 헤게모니
- 한국전쟁의기원
- 신학정치론
- 스피노자
- 의식과사회
- 로마사논고
- 계급투쟁
- 브루스커밍스
- 안토니오그람시
- 루이 알튀세르
- 딘애치슨
- 무엇을할것인가
- 옥중수고
- 이데올로기
- 옥중수고이전
- 마키아벨리
- 야생의사고
- 이탈리아공산당
- 루이알튀세르
- 생산관계
- 개인심리
- 레비스트로스
- 그람시
- 집단심리
- 프롤레타리아 독재
- virtù
- 공화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