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자아의식의 여러 단계(‘신 앞에서’라는 규정하에 있어서) 우리가 이제까지 문제 삼아 온 자아의식의 상승은 ‘인간적인 자아’ 또는 ‘인간을 척도로 하는 자아’의 규정 내부에서 일어났다. 그렇지만 자아는 그것이 신에 대한 자아라는 사실에 의해 새로운 성질과 새로운 자격을 갖게 되는 것이다(p.164). 신이 관념이 많으면 많을수록 자아도 많으며 자아가 많으면 많을수록 신의 관념도 많다(p.167). 죄란 인간이 신 앞에 절망하여 그 자신이려고 하지 않는 것 또는 인간이 신 앞에 절망하여 그 자신이려고 하는 것이다(p.168), 신앙이란 자아가 자기 자신이며 동시에 자기 자신이고자 할 때 자기 자신을 자각적으로 신에 기초를 두게 하는 것이다(p.170). 죄의 반대는 신앙이다(p.171). 인간의 죄는..
B. 의식의 규정하에 볼 수 있는 절망 95p b. 자신이 절망 상태에 있음을 알고 있는 절망 106p α . 절망하여 자기 자신이려고 하지 않는 경우 - 약함의 절망 110p 1. 지상적인 것 또는 지상적인 어떤 것에 대한 절망 112p 2. 영원적인 것에 대한 절망 또는 자기 자신에 대한 절망 131p β . 절망하여 자기 자신이려고 하는 절망 -반항 142p 요약자신이 절망 상태에 있음을 알고 있는 절망의 유형은 크게α 절망하여 자기 자신이려고 하지 않는 경우(약함의 절망)와β 절망하여 자기 자신이려고 하는 경우(반항)로 나뉜다.α 절망하여 자기 자신이려고 하지 않는 경우는 지상적인 것에 대한 절망과, 영원적인 것에 대한 절망으로 나뉜다.그러나 지상적인 것에 대한 절망은 결국 영원적인 것..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세미나 발제문: 『죽음에 이르는 병』제2편, B부. 죄의 계속됨서론키르케고르는 제2편 B부에서 절망이 죄라는 실존적 주장을 더욱 심화하여, 죄가 일회적 사건이나 우연적 실수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실존적 상태임을 강조한다. 그는 진정한 죄가 도덕적 실패가 아닌 실존적 상태, 즉 하나님 앞에서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을 의도적으로 거부하는 것임을 밝힌다.(a) 죄의 실존적 본질키르케고르는 죄가 하나님 앞에서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의식적인 거부임을 강조한다:“자아가 하나님 앞에서 자기 자신이 되기를 원하지 않는 것, 그것이 죄다.” (That the self does not will to be itself before God, that is sin.)이러한 근본적 거부는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브루스커밍스
- 마키아벨리
- 계급투쟁
- 검은 소
- 레비스트로스
- 스피노자
- 이데올로기
- 야생의사고
- 생산양식
- 안토니오그람시
- 로마사논고
- 옥중수고
- 생산관계
- 이탈리아공산당
- 개인심리
- 옥중수고이전
- 알튀세르
- 그람시
- 루이알튀세르
- 집단심리
- 헤게모니
- virtù
- 신학정치론
- 딘애치슨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루이 알튀세르
- 무엇을할것인가
- 한국전쟁의기원
- 의식과사회
- 공화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