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rBjpr/btrLg86swoC/OKrzA5xWxkhVcpQmMaPQk0/img.png)
루이 알튀세르, 「무엇을 할 것인가? - 그람시를 읽는 두 가지 방식」 2장. 안토니오 그람시의 절대적 경험주의 上(pp.52-82) “‘경험주의(empiricism)' 자체에 경험적 인식을 절대적으로 여긴다는 의미가 담겨있음에도, 그 앞에 ’절대적‘이라고 덧붙여 표현한 이유는 무엇일까?” 라는 생각에서부터 발제를 시작합니다. 경험주의는 인식에 있어 이성보다 경험의 우위를, 우리의 판단과 신념의 근거는 경험에 있음을 주장합니다. 2장. 안토니오 그람시의 절대적 경험주의 ‘절대적 경험주의’라는 개념은 우리의 인식이 ‘이론’의 단순한 ‘적용’에 의해 개념화 하는 ‘매우 심각한 위험’을 피하게 해줍니다.(54) 우리는 앞서 그람시를 읽으면서 보르디가를 중심으로 하는 초기 이탈리아 공산당 지도부 일부 세력의 도..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 「안토니오 그람시 옥중수고 이전」 부록 - 그람시 & 톨리아티(1926년 1월, 리용) 들어가며... “노동계급의 전위가 결집되어 있는 공산당을 볼셰비키적 당으로 변형시키는 것”(379)을 근본 과업으로 간주한다는 말에서 리용테제의 핵심은 노동자 운동의 발전과 혁명적 계급투쟁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922년 러시아 내전에서 볼셰비키의 승리 이후, 혁명의 관점은 급진적 투쟁을 통한 노동 혁명과 노동자와 농민 간의 동맹을 구축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의 노동자 운동 과정에서 있었던 ‘근본적 결함’을 염두에 두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먼저 노동계급 운동은 각 나라마다 다르게 시작했더라도, 자본주의에 맞서는 프롤..
- Total
- Today
- Yesterday
- 이데올로기
- 알튀세르
- 계급투쟁
- 로마사논고
- 공화국
- 옥중수고이전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루이 알튀세르
- 옥중수고
- 루이알튀세르
- virtù
- 마키아벨리
- 헤게모니
- 집단심리
- 한국전쟁의기원
- 스피노자
- 무엇을할것인가
- 검은 소
- 레비스트로스
- 브루스커밍스
- 개인심리
- 의식과사회
- 야생의사고
- 생산양식
- 생산관계
- 그람시
- 신학정치론
- 딘애치슨
- 이탈리아공산당
- 안토니오그람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