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의 기원 (찰스 다윈, 장대익 옮김) 발제 열음 2021, 11, 26 (금) 1~2장 pp45~114 1장 사육과 재배 하에서 발생하는 변이 가변성의 원인 p47 사육하고 재배하는 동식물은 같은 종이나 변종에 속하는 개체들 간의 상호 차이가 자연 상태에 있는 같은 종이나 변종의 개체들보다 훨씬 더 크다. 이는 일정한 생활 조건에 노출되었던 자연 상태의 부모 종과는 달리 각기 조금씩 다른 환경에서 길러지기 때문이다. 눈에 띌 정도로 많은 변이가 발생하려면 유기체가 여러 세대 동안 새로운 생활 조건에 노출되어야만 하며, 일단 변이가 생기기 시작하면 대개 수 세대 동안 계속된다. p48 변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 어느 시점(배 발생 단계의 초기인지 후기인지 아니면 수정되는 순간인지 등)에 영향력을 ..
p35 박물학자로서 영국 해군 ‘비글 호’에 승선해 남아메리카를 탐험했을 때, 나는 그곳에 사는 생물의 분포 및 과거에 서식했던 생물들과 현존하는 생물들의 지질학적 관련성에 대한 여러 사실을 보고 크게 감명받았다. 나는 내가 알게 된 이 사실들이 종의 기원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는 데 어느 정도 실마리를 제공하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귀국한 이후 1837년, 나는 이 의문과 조금이라도 관련되어 보이는 온갖 종류의 사실들을 차곡차곡 수집해 차근차근 검토하면 뭔가 감을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p37 종의 기원과 관련해, 유기체들 상호 간의 유연 관계(affinity)나 발생학적인 관련성, 지리적 분포, 지질학적 천이(geological succession) 및 그 밖의 여러 사항을 고려해 보면, 박물학..
[사피엔스와 바이러스의 공생 - 야마모토 타로, 한승동 옮김] 8% : 그린란드에서의 유행을 끝으로, 지구상에서 홍역이 인구동태에 영향을 줄 만큼 대규모로 유행한 사례는 없다. 항공기의 발달 등으로 세계가 좁아지면서 지구에 사는 모든 사람이 홍역에 대해 집단으로서의 면연력을 획득한 결과라고 설명할 수 밖에 없다. 인간은 야생동물을 길들여서 노동력과 자원을 획득했지만 동시에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기생충, 세균,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결과를 맞이했다. 9% : 인류 최초의 문명이 발흥했을 무렵, 홍역은 개 또는 소에 기원을 둔 바이러스가 종을 초월해 감염되고 적용한 결과 인간의 질병이 됐다. 인간이 야생동물을 가축화하고, 가축화된 동물과 접촉하면서 이 병에 감염될 기회도 점점 늘어났다. 수십만 명의 인구 ..
- Total
- Today
- Yesterday
- 로마사논고
- 이탈리아공산당
- 마키아벨리
- 그람시
- 브루스커밍스
- 무엇을할것인가
- 계급투쟁
- 안토니오그람시
- 검은 소
- 공화국
- 생산양식
- 한국전쟁의기원
- 의식과사회
- 개인심리
- 신학정치론
- 딘애치슨
- 루이 알튀세르
- 이데올로기
- 옥중수고이전
- 스피노자
- 루이알튀세르
- 알튀세르
- 옥중수고
- 레비스트로스
- 집단심리
- 야생의사고
- virtù
- 헤게모니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생산관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