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저작 목록]
1954 <정신병과 심리학>, 박혜영 옮김, 문학동네, 2002 - 절판
*푸코는 나중에 자기의 첫 저서가 <광기의 역사>라고 말한다. 하지만 <정신병과 인격> 혹은 <정신병과 심리학>에서의 주장을 철회한 건 아니고, '습작' 정도로 여긴 모양이다.
1961 <광기의 역사>, 이규현 옮김, 나남, 2003
*원제는 <광기와 비이성 : 고전주의 시대 광기의 역사>이다.
1963 <임상의학의 탄생 : 의학적 시선의 고고학>, 홍성민 옮김, 이매진, 2006
1966 <말과 사물 : 인간과학의 고고학>, 이광래 옮김, 민음사, 1986
1969 <지식의 고고학>, 이정우 옮김, 민음사, 2000
1971 <담론의 질서 :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의 개강 연설>, 이정우 옮김, 서강대출판부, 1998
1973 <나 피에르 리비에르 : 내 어머니와 누이와 남동생을 죽인>, 심세광 옮김, 앨피, 2008
1973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김현 옮김, 고려대출판부, 2010
1975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오생근 옮김, 나남, 2003
*원래의 부제는 '감옥의 탄생'이다.
1976 <성의 역사1 : 앎의 의지>, 이규현 옮김, 나남, 2004
1978 <알렉시나 B.라고 불리는 에르퀼린 바르뱅> : 번역본 없음
1984 <성의 역사2 : 쾌락의 활용>, 신응영, 문경자 옮김, 나남, 2004
1984 <성의 역사3 : 자기에의 배려>, 이영목 옮김, 나남, 2004
1984(유작) <성의 역사4 : 육욕의 고백> : 프랑스 출간, 2018
2001 <말과 글1 : 1954-1975> : 번역본 없음
2001 <말과 글2 : 1976-1988> : 번역본 없음
2008 <칸트의 인간학에 관하여>, 김광철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12
*칸트의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을 푸코가 번역하면서 쓴 서설이다. 푸코의 박사학위 부논문이었다.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 목록1
1970~1971 <지식의 의지에 관한 강의> : 양창렬 옮김, 난장, 2017.
1971~1972 <Theories et institutions penales>(형벌의 제도와 이론) : 프랑스에서도 미출간
1972~1973 <La societe punitive>(처벌의 사회) : 프랑스에서도 미출간
1973~1974 <정신의학의 권력> , 오르트망 옮김, 난장, 2016
1974~1975 <비정상인들>, 박정자 옮김, 동문선, 2001 - 절판
1975~1976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박정자 옮김, 동문선, 1998
1977~1978 <안전, 영토, 인구>, 오트르망(심세광, 전혜리, 조성은) 옮김, 난장, 2011
1978~1979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오트르망(심세광, 전혜리, 조성은) 옮김,난장, 2012
1979~1980 <Du gouvernement des viviants>(생명존재의 통치에 관하여) - 프랑스에서도 미출간
1980~1981 <Subjectivite et verite>(주체성과 진실) - 프랑스에서도 미출간
1981~1982 <주체의 해석학>, 심세광 옮김, 동문선, 2007
1982~1983 <자기와 타인에 대한 통치1> : 번역본 없음
1983~1984 <자기와 타인에 대한 통치2 : 진실의 용기> : 번역본 없음
[기타 강의집 ]
동녁 출판사의 '미공개 선집' 시리즈
1. <비판이란 무엇인가? 자기 수양>, 오르트망 옮김, 동녘, 2016년
2. <담론과 진실 파레시아>, 오르트망 옮김, 동녘, 2017년
3. <자기 해석학의 기원>, 오르트망 옮김, 동녘, 2018년 출간 예정
4. <자기 자신에 대한 진실 말하기>, 오르트망 옮김, 동녘, 2018년 출간 예정
그 밖의 강의집
1. <문학의 고고학>, 허경 옮김, 인간사랑, 2015년
[대담집 및 기타]
<푸코의 맑스>, 이승철 옮김, 갈무리, 2004
<자기의 테크놀로지>, 이희원 옮김, 동문선, 2002 - 절판
*푸코의 강연, 인터뷰와 다른 학자들의 연구 내용이 함께 실려 있다.
<촘스키와 푸코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이종인 옮김, 시대의 창, 2010
*1장에 실린 촘스키와 푸코의 대담은 1971년에 있었고, 이 책의 나머지 장들은 촘스키와 푸코의 강연, 인터뷰 등이다
<마네의 회화>, 오르트망 옮김, 그린비, 2016
* 마리본 세종 엮음, 책 제목과 같은 푸코의 글 외에 푸코를 연구하는 학자들의 글들이 함께 실려있음.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덴마크 9월18일(월) 첫째날 / 프레네학교 (0) | 2017.09.19 |
---|---|
광기와 습관 (0) | 2017.09.07 |
사랑과 윤리의 과잉에 대하여 (0) | 2017.08.30 |
그때 그 사람 (0) | 2017.08.03 |
연꽃 절정 (0) | 2017.07.1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안토니오그람시
- 의식과사회
- 생산양식
- 무엇을할것인가
- virtù
- 레비스트로스
- 개인심리
- 로마사논고
- 계급투쟁
- 알튀세르
- 야생의사고
- 브루스커밍스
- 헤게모니
- 딘애치슨
- 마키아벨리
- 옥중수고이전
- 이탈리아공산당
- 생산관계
- 이데올로기
- 루이 알튀세르
- 루이알튀세르
- 신학정치론
- 집단심리
- 검은 소
- 그람시
- 스피노자
- 프롤레타리아 독재
- 공화국
- 한국전쟁의기원
- 옥중수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