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알폰소 링기스가 이 과제에 왜 집중했는지에 대한 심오한 이유가 있다. 링기스의 『긴급한』이라는 책은 현상학을 참조해 개선된 칸트 윤리학의 주목할만한 성과이다. 링기스의 성과는 현상학 그 자체의 성과라 할 수 있는데, 수년 간의 연구와 엠마뉴엘 레비나스를 참조하여 발전하었으며, 현상학의 증조할아버지라 부를 만한 후설 현상학으로부터는 매우 달라졌다. 특히, 링기스는 생태학적 윤리를 심도있게 생각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가 사용하는 강력한 예시들은 대부분 생태학적 행동과 관련된 윤리학적 딜레마를 그리고 있다. 이 책의 후반부에서 (2부: "하이포오브젝트의 시대"에 포함된), 나는 링기스로부터 영향받은 윤리학적 관점이 왜 생태학적 행동에 핵심적인지에 대해서 깊이있게 다룰 것이다. 특히, "위선"이라는 이름이 붙은 장에서 링기스의 생각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다룰 것이다.
728x9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무엇을할것인가
- 프롤레타리아 독재
- 검은 소
- 개인심리
- 의식과사회
- 야생의사고
- virtù
- 마키아벨리
- 생산관계
- 한국전쟁의기원
- 신학정치론
- 그람시
- 옥중수고이전
- 생산양식
- 딘애치슨
- 알튀세르
- 공화국
- 계급투쟁
- 옥중수고
- 루이 알튀세르
- 이데올로기
- 안토니오그람시
- 브루스커밍스
- 로마사논고
- 이탈리아공산당
- 레비스트로스
- 스피노자
- 집단심리
- 루이알튀세르
- 헤게모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