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꿈의 해석 / 5장 발제 / 2019. 8. 14. / 진달래

 

5. -재료와 꿈-출처

 

연구가들이 지적했지만 해명하지 못한 -기억의 세 가지 특성

(1) 꿈은 며칠 동안의 인상을 뚜렷이 선호한다.(로베르트 외 3)

(2) 꿈은 중요하고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부수적이고 눈에 띄지 않는 것을 기억하기 때문에, 깨어 있을 때의 기억과는 다른 원칙에 따라 재료를 선택한다.

(3) 꿈은 까마득한 어린 시절의 인상을 마음대로 구사할 수 있으며, 사소하고 깨어 있는 동안에는 오래 전에 잊었다고 생각한 유년 시절의 세세한 일까지 끄집어낸다.

연구가들은 꿈 재료의 선택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특색들을 외현적 꿈-내용에서 관찰했다.

 

1. 꿈에서 최근의 것과 사소한 것

-내용에 등장하는 요소들의 유래와 관련하여, 모든 꿈은 <전날의> 체험과 관계있다는 주장에서부터 논의를 시작해야만 한다. 모든 꿈은 <하룻밤을 채 넘기지 않은> 체험으로부터 자극 인자를 갖게 된다.

사고의 흐름이 꿈꾸기 전날의 체험에서 지난 일에 이르기만 하면 꿈은 인생의 어떤 시기든 상관없이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내용이 지엽적인 체험의 잔재를 받아들인다는 사실은 전위를 통한 <-왜곡>의 표현으로 설명될 수 있다. 심리적으로 중요한 실재의 꿈-출처에서 사소한 기억으로 이미 전위되어 있기 때문에, -분석이 실재의 꿈-출처를 낮의 삶에서 밝혀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존재하는 모든 꿈-출처를 꿈에서 하나로 통합시켜야 하는 일종의 강요가 꿈-작업에 존재한다. -자극 인자는 낮의 사고 활동을 통해 새롭게 최근의 것이 된 내적 과정일 수 있다.

-출처는 다음 중 하나일 수 있다.

(1) 꿈에서 직접 표현되는, 심리적으로 중요한 최근의 체험

(2) 꿈을 통해 하나로 통합되는 여러 개의 중요한 최근 체험

(3) 동시에 일어났지만 사소한 체험을 빌려 꿈-내용에서 대신 표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요한 최근의 체험들

(4) 꿈에서 <항상> 사소한 최근의 인상을 빌려 꿈-내용에서 대신 표현되는 중요한 내적 체험(회상, 사고 흐름)

 

원래 사소한 성분들이 전위를 통해 심리적으로 중요한 재료의 의미를 떠맡게 되면, 그때부터는 사소한 것이 아니다. 실제로 사소하게 머물러 있는 것은 꿈에서 재현될 수 없다. 사소한 꿈-자극 인자라는 것은 없으며 따라서 단순한 꿈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꿈은 결코 사소한 것과 관계하지 않는다.

 

2. -출처로서 유아적인 것

외현적 꿈-내용에서 분석을 통해 비로소 밝혀 낼 수 있는 꿈-사고로 주의를 돌리면, 놀랍게도 전혀 예측하지 못한 내용의 꿈에서도 어린 시절의 체험이 관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꿈을 자극하고 꿈을 통해 성취되는 소원조차 어린 시절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놀랍게도 <꿈속에서 어린이는 그 충동과 더불어 계속 살아 있다>.

-출처와 소원 자극 인자를 쉽게 증명할 수 있기 때문에 처음에 해석이 완전한 듯 보이는 꿈에서도 유년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중요한 사고의 흐름이 있다는 사실을 분석 경험을 통해 주목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특성에 꿈의 근본적 조건이 있지 않을까 하는 문제를 제기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생각을 보편화시킬 수 있으면, 모든 꿈의 외현적 내용은 최근의 체험에, 잠재적 내용은 먼 옛날의 체험에 결부시킬 수 있을 것이다.(p270)

꿈은 자주 다의적으로 보인다. 꿈 하나에 소원 성취가 여러 개 나란히 결합해 있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한 의미나 소원 성취가 다른 것을 은폐하고 있어 맨 밑에서 유년 시절 최초의 소원 성취에 부딪히게 될 수도 있다.

 

3. 신체적 꿈-출처

세르너와 폴켈트는 신체 자극을 통해 다채로운 꿈-형상을 만들어내는 정신활동을 규정하고자 시도했다. 즉 꿈의 본질이 정신적인 것과 심적 활동에 있다고 보았다.

꿈에는 신체 기관과 그 기능의 상징적 표현이 포함되어 있으며, 심리적 꿈-출처에 신체적 재료를 추가해도 꿈의 본질은 변화하지 않는다. 활성화된 재료를 통해 어떻게 표현되든지 간에 변함없이 꿈은 소원 성취이다.

 

4. 전형적인 꿈들

(1) 벌거벗고 당황하는 꿈

노출-꿈이 보여 주는 것은 어린 시절에 간직했던 낙원처럼 보인다. 유년시절 초기에 받은 인상들이 내용과 상관없이 그 자체로 재현되기를 바라며 되풀이 되는 경우 소원 성취라 추측했다.

노출-꿈의 핵심을 이루는 것은 자기 자신의 모습과 흐트러진 옷차림이다. 또한 노출-꿈에서는 억압이 표현된다. 꿈의 불쾌한 감정은 자신이 거부했는데도 노출 장면의 내용이 표상으로 떠오른 것에 대한 두 번째 심리적 체계의 반응이다.

 

(2) 소중한 사람이 죽는 꿈

소중한 사람이 죽는 꿈에서 전형적인 것은 꿈 꾸는 사람이 죽음을 몹시 비통해 하며 잠자는 동안 격렬하게 울음을 터뜨리는 꿈이다. 그것은 관계된 사람이 죽었으면 하는 소원을 의미한다.(p304)

아이들의 행위를 살펴보면 아이들은 철저히 이기적이다.

어른이 되어 정신신경증을 앓게 되는 어린이들의 정신생활에 부모가 중대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정신신경증 환자들이 정상적인 다른 인간들과 극명하게 구분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부모를 향한 그들의 애정 어린 소원이나 적대적 소원은 대부분 어린이들의 정신 안에서도 일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을 뒷받침해 주는 재료로써 전설이 오이디푸스 왕 전설이다.

꿈은 전부 철저하게 이기적이다. 은폐되어 있긴 하지만 이기적 자아가 모든 꿈에 등장한다. 꿈에서 성취되는 소원은 한결같이 이 자아의 소원이다.

 

(3) 시험 꿈

시험 꿈을 꾸는 것은 심한 불안이 부당한 것으로 증명되었고 결과를 통해 반박되었던 기회를 과거에서 찾는 것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