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꿈의 해석 강의자료 / 19.08.14. / 화니짱

1) 꿈의 의미 : 꿈은 무의식에 이르는 왕도다. / 무의식의 실체는 억압이며 금지된 소망이다. 따라서 꿈은 무의식적인 소원성취다. 무의식적인 것은 은폐되어야하기 때문에 꿈은 망각과 연결된다.

2) 꿈의 내용 : 꿈은 외연적 내용과 감추어진 내용이 다르다. 소원성취의 근원에는 유아기적 성욕이 있다. 성인의 억압된 것의 근원도 유아기와 관계있다.

3) 타협 : 꿈은 증상과 같이 일종의 타협이다. 상충되는 욕망들이 충돌 할 때 적절하게 타협시켜서 잠을 잘 수 있게 한다.

4) 외형적 내용과 잠재된 사고 : 잠재적 꿈의 사고가 드러나는 것을 살피는 과정은 마치 무의식이 의식을 뚫고 나타나는 것과 유사하다. 그래서 꿈의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것은 무의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외형적 내용은 빈약하고 비논리적이다.

5) 꿈의 메커니즘의 특징 : 압축, 전위, 묘사가능성, 이중공정

1차 정신기관 모델 : 꿈의 (숨겨진) 사고와 꿈의 (드러난) 내용은 같은 하나의 내용을 두 가지 다른 언어로 묘사하는 것과 같다.

압축 : 여러 무의식적 사고와 표상의 내용들을 혼합하여, 의식에 드러나는 단 하나의 표상으로 나타내는 무의식적 작동법칙 ex) 모든 이미지들이 식물학 연구 논문이라는 하나의 대상으로 모아져 있다. 이것이 압축의 과정.

전위<위치이동> : 압축과 전위는 같이 움직인다. 외형상으로 연결이 없는 표상들이 연결이 되는 경우가 전위이다. 전위는 하찮아 보이는 지엽적 요소들에 결부되어 있는 유아기 기억의 존재를 알 수 있게 해줌. 전위는 대립되는 두 힘(기억과 저항)간의 타협의 산물로 목적은 검열을 피하는 것이다. *라캉은 압축을 은유로, 전위를 환유<어떤 하나의 사물 또는 사실을 표현하기 위해 그것과 관련이 깊은 다른 사물을 이용하는 방법>로 불렀다.

6) 꿈의 진행과정

1단계 : 의식되기 이전의 낮의 잔재가 무의식으로 옮겨진다.

2단계 : 무의식 내에서 고유한 꿈작업이 이루어짐.

3단계 : 가공된 꿈재료가 지각(이미지)으로 퇴행

4단계 : (꿈의 일부분이나 전체가) 망각 (저항 때문에 망각되며, 저항은 꿈 해석의 단초)

7) 무의식의 작용 과정과 법칙

일차과정 : 지각 / 무의식의 세계 / 압축과 전위에 따라 한 표상에서 또 다른 표상으로 에너지가 자유롭게 흐르는 것, 이 때 만족의 경험에 연관된 표상들에 에너지 집중(쾌락원리)

이차과정 : 사유 / 전의식과 의식 체계 / 현실과 교섭하면서 욕망을 실현하는 과정(현실원리) / 자아의 구성에 의해 일차과정을 억제한다.

망각 : 꿈의 본질은 무의식적인 충족. 의식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전위와 압축을 거치고, 동시에 깨어났을 때 망각이 필요. 이러한 망각은 무의식적인 억압과 관련된다.

농담 : 농담은 전위적 과정 속에서 무의미를 의미로 만들거나 숨은 의도를 드러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