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늑대인간 편집증 환자 슈레버 발제>

발제 : k

 

편집증 환자의 일반적인 모습 (서론에서 발췌)

- ‘신경증 환자들이 비밀로 감추는 것들을 비록 변형된 모습으로라도 내보이는 이상한 면을 가지고 있다. (107)

- ’또 편집증 환자는 내적인 저항을 없앨 수가 없기 때문에, 어쨌든 자기가 하고 싶은 말만 한다. (107)

 

2. 재판관 다니엘 파울 슈레버의 증상

*발병 시기에 대해서는 110-112쪽의 내용, 136쪽의 내용이 서로 다름.

 

1) 첫 번째 발병1884) : 1885년 말 무렵에는 완전히 회복됨.

- 주요 증상 : 심기증

 

2) 두 번째 발병 (1893) :

- 발병하기 전, 예전의 신경병이 재발하는 꿈을 꾸었음. (111)

- 10월 말경에 불면증으로 심하게 고통을 받으며 재발함. (112)

- 주요증상(112)

심기증에 해당하는 생각을 함 : 뇌가 물러졌다, 자기는 곧 죽을 것이다.

환각을 근거로 한 피해망상이 증상으로 나타남 : ‘자신이 죽어서 썩고 있다고 믿거나 페스트에 걸렸다고 믿었다.’

감각 과민증 : 빛과 소리에 매우 예민해짐 시각적, 청각적 환각이 점점 자주 일어나고 일반 감각도 혼란스러워짐. 환각이 감정과 생각을 지배함.

자신을 괴롭히고 다치게 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생각하여 그들에게 욕을 퍼부음

 

- 이러한 증상이 있다는 것을 미리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슈레버 박사를 전혀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았음. 업무에서 뿐아니라 다방면에서 박식하고 그 지식을 잘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

 

3) 법원 판결문에 드러난 슈레버 박사의 망상 체계

- ‘자기가 세상을 구원하여, 잃어버렸던 천국의 행복한 상태로 돌아가게 하는 사명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는 자기가 우선 여자로 변형되어야 그렇게 할 수 있다고 믿었다.’ (115)

- 의사의 분석

슈레버의 망상

슈레버의 망상의 의미

1. ‘나는 여자로 변형되어야 한다.’

- 거세를 자신에게 가해진 상처와 학대로 인식

2. ‘나는 세상을 구원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거세라는 시련이 주어진 원인이 자신이 구원자이기 때문이라고 생각

- 슈레버가 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 : 매우 기묘하고 내적 모순에 가득 차 있음. (121) 상위신, 하위신으로 신을 쪼개어 생각함. (124) 공경하는 태도와 반항하는 태도가 뒤섞여 나타남. (129)

 

- 발병 전 후 슈레버의 변화

발병 전

발병 후

성적으로 금욕주의자

신에 대해서는 회의론자

관능적인 것에 열광적

신을 믿음 (자기가 신의 아내라고 여김)

 

3. 슈레버 박사의 망상 분석

 

슈레버의 체계에서 망상의 두 가지 요소 (그가 여자로 변형되는 것과, 그가 신과 특별한 관계를 가진 것)는 그가 신에 대해 여자같은 태도를 취하는 것에 연관되어 있다. 이 두 가지 요소는 근본적으로 발생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 우리의 과제이다. (135)

 

1) 망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사람

- 슈레버의 망상에서 눈여겨 볼 인물은 담당의사 플렉지히이다. 슈레버는 첫 번째 발병기에는 플렉지히를 좋아하고 잘 따랐으나, 두 번째 발병부터는 플렉지히가 자신의 영혼-살해를 했다고 주장하며 적대시했다.

- ’망상 안에서 큰 힘과 영향력을 가지고 있고, 모든 음모의 실마리를 쥐고 있는 사람이 있다. ... 그 사람은 환자가 발병하기 전에 환자의 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던 사람이거나, 아니면 그를 대치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144)

- ’환자가 지금 박해자라고 미워하고 두려워하는 대상인 사람이, 전에는 사랑하고 존경하던 사람인 것이다. 환자의 망상이 주장하는 박해의 주 목적은 그의 감정이 변한 것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144)

 

2) 병을 일으킨 원인 : 동성애적인 리비도

- ’그 리비도의 대상은 아마 처음부터 그의 의사인 플렉지히였을 것이다. 이 리비도의 충동에 그가 대항하여 싸우려 한 것이 갈등을 일으키고, 그 갈등이 증상을 나타나게 했을 것이다.‘ (146)

 

3) 발병 과정

아버지와 형의 부재 여성성 지향 환상 애정의 대상: 플렉지히 (플렉지히의 모습에서 아버지와 형의 모습 발견) 이 환상에 대한 강한 반발이 일어나면서 발병 [피해망상]

 

4) 플렉지히에 대한 피해망상 : 박해자는 플렉지히에서 신으로 대체되기도 하며, 각각 상위 플렉지히‘, ’하위 플렉지히‘, ’상위 신‘, ’하위 신으로 나뉜다. 이와 같이 분해를 반복하는 것은 문제의 그 사람이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154)

 

5) 여자다움의 환상 : 성애적 사랑으로까지 발전한 아버지와 형에 대한 갈망에서 비롯된 것 (155)

 

6) ’여자가 슈레버에게 가지는 의미

 

슈레버와 신과 가지는 특별한 관계

여성성

신은 슈레버의 아버지를 상징함

*신과 의사였던 아버지의 공통점 : 존경을 받음, 죽은 사람을 다룸, 기적을 행함

해 역시 아버지를 나타내는 승화된 상징의 하나임. (159)

신과의 갈등은 결국 아버지와 그 사이의 유아적 갈등임. (161)

아버지와의 유아적 갈등에서 느낀 거세 위협이 여자로 변형되고자 하는 소망으로 가득 찬 환상을 제공함.

슈레버에게는 아이가 없었는데, 박사는 자신이 여자였다면 아이를 가지는 일을 더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으리라 환상을 가짐. (164) - 아이가 없는 사실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줌

 

 

4. 편집증의 기제

1) 편집증의 특징 : 성적인 이유가 병의 원인으로 드러나지 않으나, 사회에서 발병자가 가지는 이웃과의 감성적 관계가 그 발생 기원에 있어서 성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의심해 볼 수 있음.

- 슈레버의 경우 동성애적 소망 환상을 쫓아 버리기 위해 바로 이런 종류의 피해망상으로 대응했다‘(168)

 

2) 동성애와 성적 발달 단계의 관련성

자기애 단계 : 자신의 몸을 사랑-대상으로 삼음(주로 성기)

대상-사랑 단계 :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을 대상으로 선택

동성애적인 대상 선정 : 외부의 대상 중에서 비슷한 성기를 가진 대상을 선택함

이성애적 성으로의 발달

*나누어 볼 이야기

- 위의 발달단계는 동성애에 대한 편견, 동성애는 낮은 수준의 발달단계라는 생각을 조장하지는 않는가?

- 169쪽 상단의 문단에 동의하는가. ‘우정과 동지애, 또 단결심과 모든 인류를 사랑하는 것에 성적인 요소를 더해 주는 것이다.’

 

* 강한 리비도가 다른 출구를 찾지 못하고 사회적 본능이 성적인 경향을 띠게 될 위험(169)

리비도를 뒤로 흐르게 하는 것(퇴행)이면 이런 결과가 나타날 수 있음 좌절

리비도가 전체적으로 너무 강해져서 이미 열려 있는 길로 가기에는 너무 강하게 된 경우

 

3) 편집증에서 나타나는 동성애 명제 부정 <(남자)는 그 남자를 사랑한다>

피해망상(동사 부정) : 위의 명제를 받아들일 수 없어 나(남자)는 남자를 미워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를 합리화하기 위해 가 나를 미워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나를 미워하는박해자는 한때 사랑의 대상이었던 사람이다.

색정광(목적어 부정) : ’나는 그 여자를 사랑한다왜냐하면 그 여자가 나를 사랑하니까.

질투망상(주어부정) : 그 남자를 사랑하는 것은 내가 아니라 그 여자이다. 라고 주장하며 배우자를 의심한다.

명제 전체 부정 : 나는 오직 나만을 사랑한다. - 자아를 성적으로 과대 평가함.(173)

 

4) 편집증 증상에서 두드러지는 특징

투사 : 내부의 인식이 억압되고 그 내용이 왜곡되어 외부의 인식으로 의식 세계에 나타남 (외부로 탓 돌리기!) (175)

억압 : 병적인 현상은 보통 억압으로부터 발생함

- 억압의 3단계 : 고착 후압박 억압실패 (175-177)

세상-재난 증상 : 이 세상은 조잡하게 임시 변통으로 만들어졌으며 곧 멸망할 것이다.

- 원인 : 환자는 외부 세계와 사람들을 향하던 리비도 집중을 거두어 들였고, 모든 것이 그에게는 무관심하고 무관한 것으로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179)

- 편집증 환자는 자신의 망상으로 세계를 다시 건설한다. (180)

과대망상 : 편집증에서는 대상에서 거두어들인 리비도를 특별하게 쓴다. 결국 자아를 과장하는 데 리비도를 쓰면서 과대망상 현상이 나타난다. (182) 이를 통해 편집증 환자들은 자기애 단계에 고착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182)

 

5) 편집증 연구의 의미

- ’우리가 병적인 정신 작용을 정신분석적으로 연구해서 얻으려 하는 것은 본능의 이론에 관계되는 문제에 대한 결론이다. (184)

- ‘신경증은 주로 자아와 성적 본능 사이의 갈등으로부터 일어나며, 신경증이 취하는 형태는 리비도, 그리고 자아가 발달하는 과정의 흔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189)

 

5. 편집증과 종교의 관련성

- ’융은 인류가 신화를 만들어 내는 힘은 사라지지 않았고, 바로 지금도 신경증에서 먼 과거에 그랬던 것과 같은 정신적 산물을 만들어 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193)

- 슈레버가 를 자신의 아버지와 동일시하여 자신이 해의 아들이라는 신화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사고 방식은 원시시대의 토테미즘, 종교의 기원이 되기도 하였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