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무대 위에 나타나는 정신 이상에 걸린 등장인물들
I.J
▪극의 목적- 관객의 마음속에 공포와 연민을 불러일으켜 감정을 정화시키는데 있고 여겨짐. (137p)
▷ 극은 우리의 정서적인 삶의 영역에서 쾌락과 즐거움의 원천을 드러내는데 그 목적이 있음
- 울분을 풀어냄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지워 버리는 과정
- 그 즐거움이 감정 해소 과정에서 수반되어 나타나는 성적 흥분과 일치함
▪관객이 극에서 즐거움을 얻는 것은 환상에 기초하며 다음과 같은 사실에 의해 현실적 고통 경감됨
무대 위에서 행위를 하고 고통을 겪는 것은 그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이라는 사실
극에서 이루어지는 행위가 그의 개인적인 안전에 아무런 위해도 가하지 못한다는 사실
→ 관객은 억압되었던 충동에 양심의 가책 없이 자유로울 수 있으며 울분을 풀어낼 수 있음
▪극 이외의 다른 형식들에도 즐거움의 향유를 위한 전제 조건은 같음
서정시-다양한 종류의 강렬한 감정이 분출될 수 있는 통로 제공- 즐거움의 향유라는 목적 충실히 이룸
서사시- 승리의 순간에 위대한 영웅적 인물이 누리는 그 즐거움을 독자도 같이 누릴 수 있게 해줌
▪다른 문학 형식과 극의 차이점
- 극은 감정의 가능성을 더욱 깊이 탐구하며 불행의 전조에도 즐거움의 형태를 부여
- 갈등을 겪는 주인공을 묘사하고 나아가 패배로 괴로워하는 주인공을 피학적 만족 속에서 그리고 있다는 점
→ 고통은 극의 주제이면 그 고통을 통해 극은 관객들에게 쾌락을 약속한다. (140p)
▪ 극이라는 예술 형식의 전제 조건
- 관객에게 고통을 불러일으키지 않아야 한다는 것, 만족을 줄 수 있는 가능한 방법을 통하여 관객의 마음속에 일어나는 공감적 고통을 보상할 수 있어야 한다. (고통- 정신적 고통에 국한)
▪ 투쟁대상, 고통의 양상에 따른 극의 종류- <종교>극, <사회>극,<성격>극, <심리>극, <정신 병리학적>극
- <심리>극: 고통을 유발하는 갈등이 주인공의 마음속에 일어나며 거의 동등한 두 의식적 충동 간의 갈등
- <정신 병리학적> 극: 고통의 근원이 하나의 의식적인 충동과 또 하나의 억압된 충동 사이의 갈등
이 극의 즐거움의 전제 조건은 관객 자신이 신경증 환자여야 함
▪ 『햄릿』 (정신 병리학적 극-현대극 가운데 최초의 것)
정상이었던 사람이 자신이 해야 하는 어떤 일의 독특한 성격상 신경증 환자로 변모하는 과정, 억압되었던 충동이 서서히 고개를 들어 움직이는 과정을 주제로 삼고 있음
햄릿의 세 가지 특징
1. 주인공이 원래부터 정신병 환자는 아님
2. 주인공 내면의 억압된 추동은 우리 모두에게서 억압되어 있는 추동들 증 하나이며 이 충동의 억압은 우리 인격 형성의 가장 본질적 부분이다.
→ 관객들이 주인공 속에서 자신을 발견하는 일이 쉬워짐
3. 의식 속에 떠오르려고 애쓰는 충동은 우리가 분명히 인식하려 해도 뭐라고 정확히 이름 붙일 수 없다. → 관객들에게도 이 과정은 회피된 감정 속에 이루어지며 어느 정도의 저항심↓
▪다른 정신병적 등장인물들이 무대에서 공헌하지 못하는 이유→ 위 세 가지 전제조건을 무시하였기 때문
예) 바르 H. Bahr 「또 다른 여인」
-여주인공은 우리가 될 수 없음, 극에서 찾아낼 것이 없음 미리 결정된 사랑의 조건에 대한 반발심
▪대중들의 신경증적 불안정, 관객의 반발심을 피하고 사전 쾌락을 제공할 수 있는 극작가의 능력
- 무대 위에 등장하는 비정상적인 인물들에게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즐거움의 한계를 설정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도 이성을 잃지 않는 사람은 잃어버릴 이성을 가질 수 없다. (144p) ▪우리가 신경증 환자의 갈등을 인식하게 되면 우리는 그를 더 이상 병든 사람으로 기억하지 않게 된다. 우리에게 똑같은 병을 앓게 하는 것이 극작가의 일인 듯 보인다. 우리로 하여금 병으로 고통받는 사람과 함께 그 병의 진행 상태를 따라가도록 할 때 극작가의 일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작가와 몽상
▪문학을 창작하는 특별한 사람들의 소재, 감동 주는 방법이 무얼까? (149p)
- 문학을 창작하는 사람 & 평범한 사람- 문학 창조와 관련된 유사점 탐구
▪ 문학적 성향의 최초의 흔적- 어린아이들의 ‘놀이’에서 찾음
▪ 창조적인 작가를 놀이를 하는 아이와 동일
몽상적 세계를 창조하고 있고 그 세계를 진지하게 여김
현실과 자신의 몽상적 세계를 선명하게 구분하면서도 창조 행위에 엄청난 양의 감정을 쏟음
-예) 언어 속 놀이와 창조 유사성 Spiel(놀이)- Lustspiel(희극), Trauerspiel(비극), Schauspieler(배우)
▪ 현실과 유희 사이에 존재하는 또 다른 유사성- 유머
- 현재의 일들을 어린아이들의 놀이와 동일시함으로써 삶의 중압감에서 빠져나와 유머라는 고급 스러운 쾌락을 얻게 됨
▪ 아이<놀이> → 성인<몽상>
- 성인이 되면 아이의 놀이를 다른 대상으로 바꾸는 대체 작업, 대용물을 찾음; <몽상>
성인의 몽상은 관찰하기 어려움 (수치스럽게 생각, 숨겨야만 하는 욕망이 많기 때문)
▪ 몽상을 움직이는 욕망- 방향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뉨
1. 자신의 격을 높이려는 야망과 관련된 욕망
2. 성적 욕망(예) 젊은 여인들을 지배하는 욕망)
→ 은폐하려는 강한 동기들이 몽상의 후미진 구석에 존재함
▪ 몽상과 시간의 관련성
- 몽상은 세 개의 각기 다른 시간 사이(과거, 현재, 미래)라는 세 시간대를 꿰뚫고 있음
현재의 계기를 이용해 과거에 바탕을 두고 출발해 미래의 그림을 그림 (예: 부모를 잃은 가난한 젊은이)
▪몽상과 꿈의 관계(동일하게 봄)
우리 자신에게 억압되고 무의식 속으로 밀려나야 했던 욕망들이 밤에도 낮처럼 움직임
몽상과 마찬가지로 밤에 꾸는 꿈 역시 욕망의 완성
▪문학 창조자와 <대낮에 꿈꾸는 자> 비교할 수 있을까?
자유스럽게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작가
이야기꾼들의 창조 속 특징 |
대낮에 꿈꾸는 자 |
모든 이야기들은 흥미의 중심에 주인공이 있고 이 주인공을 위해 작가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독자들의 공감을 얻어 내려고 하며 주인공을 보호하려고 함 <그곳에서는 아무 일도 그대에게 일어날 수 없다. > |
낮에 구는 모든 꿈 속의 영웅인 <자아 폐하>를 모든 소설의 주인공들과 동일시 할 수 있음 |
자아 예찬식 소설 모든 여자들이 남자주인공을 사랑 선인과 악인이 서명하게 나뉘어짐 |
-낮에 꾸는 꾸의 한 요소 -선인들이 주인공의 동조자, 악인은 영웅이 된 자아의 적, 경쟁자 |
현재의 강한 체험은 대부분 작가에게 어린 시절의 기억에 포함되어 있는 이전의 기억을 다시 일깨우는데 이렇게 환기된 어린 시절의 기억에서 풀려 나온 욕망은 마침내 문학 창조 속에서 충족을 얻게 됨
문학 창조는 백일몽과 마찬가지로 그 옛날 어린 시절 유희의 연장인 동시에 대체물
이미 완전히 준비되어 있는 소재들을 다시 취하는 작가
같은 모델에 기초한 소설도 선택, 변형과정에서 작가 자신의 개인적 성향을 드러낼 수 있는 여지 주어짐
모델이 되는 소재들은 인류의 한 유년기에 고유한 환상적 욕망들이 변형을 거쳐 남게 된 유산들과 상통하고 있음
▪ 우리의 몽상들과 달리 작가의 작업에서 우리가 쾌락을 느끼게 되는 이유
수많은 장벽과 거부감을 넘어서서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기교 존재
▪ 문학 창조자들이 제공하는 쾌락- 사전 쾌락(육체의 움직임이 수반되지 않는 쾌락)의 속성 지님
▪ 문학 작품이 고유하게 갖고 있는 쾌락- 우리의 영혼 속에 자리 잡고 있는 긴장들이 해소됨으로써 발생
▪ 충족되지 못한 욕망은 몽상을 움직이는 힘이고 모든 욕망은 욕망의 완결이며 동시에 만족을 주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보정이다. |
'세미나 발제문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술, 문학, 정신분석 /세 상자의 모티프 ~ 덧없음/ 20.12.02 / K (0) | 2020.12.01 |
---|---|
예술, 문학, 정신분석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유년의 기억 /20.11.25/콩빠 (0) | 2020.11.25 |
빌헬름 옌젠의 「그라디바」에 나타난 망상과 꿈 / 20.11.18 / K (0) | 2020.11.18 |
프로이트, ‘여자 동성애가 되는 심리’, [늑대인간], 2020. 11. 11 원더휴먼 (0) | 2020.11.11 |
늑대인간 요약정리(줄발제) /화니짱 (0) | 2020.11.0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생산양식
- 안토니오그람시
- 개인심리
- 루이 알튀세르
- 생산관계
- 검은 소
- 헤게모니
- 이데올로기
- 집단심리
- 무엇을할것인가
- 야생의사고
- 의식과사회
- 로마사논고
- 알튀세르
- 한국전쟁의기원
- 계급투쟁
- 마키아벨리
- 레비스트로스
- 스피노자
- 루이알튀세르
- 옥중수고
- virtù
- 프롤레타리아 독재
- 그람시
- 신학정치론
- 옥중수고이전
- 딘애치슨
- 이탈리아공산당
- 공화국
- 브루스커밍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