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타클의 사회 / 기 드보르 / 옮긴이의 글 / 18.09.05(OT) p215 : 삶의 표상이 삶을 대신한 곳에 스펙타클이 있다. 21살의 젊은 청년 드보르는 직관적으로 인간 소외를 낳는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로 스펙타클의 구조를 인식한다. (217) 그가 이론과 실천의 기수로서 활동하는 1950-60년대는 사회의 변혁을 문자 그대로 믿었던 거대 서사의 시대이기도하다. 실제로 마오쩌둥의 중국에서 이뤄낸 혁명, 카스트로와 게바라 등에 의한 라틴아메리카에서의 혁혁한 전과는 새로운 세계와 새로운 삶을 꿈꾸는 많은 유럽인들의 정신을 고양시키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특히 68년 5월 혁명은 자기 자신과 타자에 대한 인간 행동에 있어 시대에 뒤진 옛 잔재들이 붕(218)괴되기 시작하며, 인류사에서 처음으로 개인들이..
시뮬라시옹 / 장 보드리야르 / 옮긴이 해제 / 18.09.05(OT) p253 : 모더니즘의 기원은 데카르트의 합리주의에서부터 시작한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치적으로는 자유경제의 원리가 되었다. 그러나 이 모더니즘의 근저에는 기독교주의가 지탱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모더니즘의 절대적 이데올로기는 바로 진보에 대한 믿음이다. 기독교주의와 헬레니즘의 인간주의 기반 위에서 이상적 절대를 향한 끝없는 나아감, 이것이 바로 모더니즘의 실체이다. (254)인간의 행복을 짓밟는 모든 사회적, 제도적, 물리적 질곡으로부터 인간을 해방하기. 즉 새로움이 인간적 이상인 절대를 압도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모든 새로운 것은 좋은 것이다. 그러나 바로 여기에 모더니즘의 기본적인 논리적 모순이 도사리고 있다. ..
포스트모던적 조건 /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 옮긴이의 말 / 18.09.05(OT) p5 : 리오타르에게 있어 선진 사회는 정보 사회 혹은 후기 산업 사회를 의미하며, 바로 이런 사회가 포스트모던적 사회를 지칭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의 주제는 고전적, 모던적 사회에서 정립된 지식 개념이 포스트모던적 사회에서는 어떻게 변화되고 있고 또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리오타르에 따르면 포스트모던이란 19세기말부터 과학, 문학, 예술의 게임 규칙에 영향을 준 변형 이후의 문화 상황, 의식 상태 혹은 삶의 형식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던적 사회는 바로 이런 상태, 상황, 형식이 지배하는 사회, 이질성과 다양성이 강조되고 미래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한 사회, 영웅이 사(6)라지고 구체적인 ‘나와 ..
인정투쟁 / 악셀 호네트 / 옮긴이의 말 / 18.09.05(OT) p11 : 악셀 호네트는 베를린 대학을 거쳐 위르겐 하버마스로부터 프랑크푸르트 대학 철학과 교수직을 물려받음으로써 1세대인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2세대인 하버마스의 뒤를 이은 3세대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대표자로 주목받고 있다. 악셀 호네트는 1969년(만20세)부터 본 대학과 보훔 대학에서 학업을 시작하였다.(12) 호네트는 레닌주의나 마오주의를 표방하던 주루의 노선과는 달리 이른바 비정통적 마르크스주의로 불리던 서구 마르크스주의에 경고되어 있었다. 대개 그의 관심은 루카치, 블로흐, 코르쉬 등이었으며, 당시 한생운동의 적으로 규정된 하버마스의 이론과도 이미 친숙해 있었다. 특히 하버마스는 곧잘 ‘좌파 파시즘’이라는 용어를 사용했기 때..
무지한 스승 / 4장 / 랑시에르 / 18.08.22 / 핫썸머세미나 p145 : 그러나 가능한 사회라는 것은 없다. 오로지 지금 있는 사회만 있다. 우리는 몽상에 잠겨 있었다. -> 3장 결론부에 대한 반전. 무게의 법칙p148 : 지능은 물질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다. 지능은 다만 개인들 속에 있는 것이지 그들의 모음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고 결론지어야 한다. 우리는 이성적 개인들이 각자의 생각을 서로 의미화하기 위해 언어적 물질성의 층들을 가로지르는 것을 보았다. 이 교류는 지능의 모임을 모든 결집의 법칙인 물질 법칙에 종속시키는 역관계의 기초 위에서만 가능하다. 거기에 바보 만들기의 물질적 중심축이 있다. 비물질적 지능들을 물질 법칙에 따를 때에만 묶일 수 있다. p151 : 우리는 이미 의지와 지..
- Total
- Today
- Yesterday
- 안토니오그람시
- 딘애치슨
- 이데올로기
- virtù
- 의식과사회
- 개인심리
- 한국전쟁의기원
- 루이 알튀세르
- 검은 소
- 무엇을할것인가
- 신학정치론
- 생산양식
- 이탈리아공산당
- 알튀세르
- 계급투쟁
- 그람시
- 생산관계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옥중수고
- 브루스커밍스
- 루이알튀세르
- 공화국
- 헤게모니
- 옥중수고이전
- 마키아벨리
- 야생의사고
- 로마사논고
- 집단심리
- 스피노자
- 레비스트로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