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인간무늬연마소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인간무늬연마소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317)
    • 튜빙겐 업무관련 (2)
      • 박사 수업 및 논문 관련 (2)
    • 프로그램 안내 (78)
      • 인무연 공지사항 (78)
    • 세미나 발제문 (1035)
      • 철학 (227)
      • 심리학 (190)
      • 인류학 (67)
      • 역사 (65)
      • 맑시즘 (61)
      • 과학 (20)
      • 경성콤 (18)
      • 사회학 (4)
      • 미셸 푸코 (206)
      • 한나 아렌트 (57)
      • 랑시에르 & 포스트모던 (29)
      • 헤겔 & 가라타니 고진 (35)
      • 페미니즘&Queer (27)
      • 공동체 (18)
      • 종교학 (6)
      • 신적폭력 (3)
    • 프로그램 아카이브 (82)
      • 영어인문학 (58)
      • 아카이브; 발췌록 (6)
      • 아카이브; 사진 (18)
    • 자유게시판 (120)
      • 단행본 원고 (21)
      • 우정의 전당 (3)
      • Critique (7)
      • 좋아하셈 (56)
      • 유학준비 (5)
  • 방명록

세미나 발제문/한나 아렌트 (57)
한나 아렌트 / 혁명론 3장 / 2017.10.15. / 화니짱

혁명론 / 한나 아렌트 / 화니짱 발제 / 전사연 아렌트 세미나 / 2017.10.18.(수) 카페 카프카 3장 행복의 추구 폭력은 필연성을 위해 행사되기 때문에, 우리는 이것을 정당화하고 미화한다. 필연성과 폭력이 모든 혁명적 사건들의 두드러진 특징일 정도로 세 단어가 밀접한 연결성을 띤다고 아렌트는 주장한다.(205) 그러나 그녀에 의하면, 증오는 결코 혁명을 초래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증오는 자유의 확립, 즉 자유가 나타날 수 있는 공간을 보장하는 정치체의 형성이라는 혁명의 핵심이념을 실현하는 것을 고사하고 이를 수용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218)미국의 건국은 ‘공적 자유에 대한 정념’이나 ‘공적 행복의 추구’가 미래 세대를 위한 자유로운 유희를 수용할 새로운 정치 공간을 당연히 형성, 구축해야만..

세미나 발제문/한나 아렌트 2017. 10. 15. 17:12
이전 1 ··· 5 6 7 8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인무연(인간무늬연마소) 2019년 1월 프로그⋯
  • [전사연 세미나 시즌3] 관종사회에서 개인으로⋯
  • 푸코를 읽다 세미나원 모집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인무연 인스타그램
  • 노들장애학궁리소
  • 문탁네트워크
  • 한승훈
  • 건강의집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 임태훈
  • 철학오피스
TAG
  • 계급투쟁
  • 딘애치슨
  • 검은 소
  • 한국전쟁의기원
  • 옥중수고
  • 알튀세르
  • 레비스트로스
  • 신학정치론
  • 생산양식
  • 그람시
  • 헤게모니
  • 의식과사회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이탈리아공산당
  • 집단심리
  • 스피노자
  • 개인심리
  • 옥중수고이전
  • 로마사논고
  • 야생의사고
  • 생산관계
  • 공화국
  • 안토니오그람시
  • virtù
  • 브루스커밍스
  • 이데올로기
  • 무엇을할것인가
  • 마키아벨리
  • 루이 알튀세르
  • 루이알튀세르
more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250x250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