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한국11장 북한의 대중 관계 조선인민군은 소련군의 전술과 중국 공산 세력의 전투 방식을 혼합했다. 무엇보다 북한의 공산주의자는 북한적이다. 중국에서 대부분을 배웠지만, 소련으로부터는 원하는 것만 받아들였으며 반드시 해야 하는 것만 했다. 북한은 중국을 모방하는 것은 어느 정도 용인했지만, 그 밖의 나라를 모방하는 것은 철저히 반대했다(507). 미국의 중대한 실수는 첫째, 북한에서는 중국의 영향이 소련의 영향보다 컸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었다. 둘째, 혁명적 호혜주의의 관계는 북한과 중국을 결부시켰다. 셋째, 그런 관계는 매우 강고해 현재의 관점에서 중국이 한국전쟁에 개입하지 않았을 이유를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북한은 김일성의 신화를 온전히 보전하기 위해 중국과의 관계를 숨기려..
2장 토템적 분류의 논리 1장 구체화의 과학에서 오늘날의 과학과 원주민의 신화적 사고의 구조적 특성들에 대해 살펴봤던 내용을 정리하며 2장을 시작합니다.“잡다하게 여겨지는 것은 내용에 있어서이고 형식에 관한 한 그 단편들 사이에는 유사성이 있다. 이는 손재주의 예에서 정의한 바이다. 즉 유사성이란 그 단편의 형식 속에 일정량의 내용을 포함한다는 점이며 내용의 양은 모든 단편에서 거의 같다. 신화에 있어 유의미한 이미지는, 손재주꾼의 재료와 마찬가지로 이중의 기준에 의해서 정의되는 요소이다. 그것들은 하나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단어처럼 이미 사용되었던 것이다.”(93-94)“둘째, 신화에 쓰이는 이미지도, 손재주꾼의 재료도 순수한 ‘생성과정’에서 생긴 것은 아니다. 새로운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관찰할 땐 그..
2부 한국10장 소련과 북한 루즈벨트가 구상한 국제협력주의는 1949년 강력한 반격의 흐름이 등장하면서 막을 내리게 됐다. 그 구상은 사반세기가 지난 뒤 리처드 닉슨이라는 역설적 존재가 소생시켰다. 소련에 대한 루즈벨트의 계획이 성공했을지는 의심스럽다. 미국이 정치 무대를 장악할 수 있었겠지만 루즈벨트가 소련을 다루기는 대단히 어려웠을 것이다(473). 소련은 주요 자본주의 국가들과 전후 초기에 형성한 변증법적 대립 관계에서 상호 개방의 경로를 거부했다. 서구 유럽에서 국제협력주의적 개방 체제에 위협을 느낀 것은 소련이었으나 동아시아, 특히 한국에서 반공 진영을 공고히하려고 먼저 움직인 것은 미국이었다. 북한과 만주에 대해 소련은 확정된 정책이 없이 화전농법과 비슷한 전략을 추구했다. 47년 미국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lvbI/btsGVSfIjze/oWMTMMlcVXdN1cgtkHB3XK/img.jpg)
9장 북한의 체제남한이 미국의 ‘복제된 자유주의’의 형식주의라 평하면서, 북한에 대해서도 동유럽의 ‘인민 민주주의’의 일종으로 이해하려 했고 ‘스탈린주의의 이식이자 “응축된 형태’”(429)로 보면서 북한이 가진 정통성과 민족주의 이념을 거부되어왔다 하고 있습니다. 북한을 소련의 위성국으로 보는 시선이 일반적인 가운데, 로버트 C. 터커는 북한이 동유럽의 동독 유형과 일치하는 “강요된 유형”(430)으로서 자생적이지 않다고 평가하였으며, 북한의 정치와 “김일성주의”가 ‘스탈린주의의 동양적 경향의 끔찍한 과잉’(430)이라는 견해가 일반적인 것으로 보입니다.하지만 북한에서는 한국전쟁 이후 스탈린주의 특징인 ‘모든 인민 계급을 상대로 한 집단적 폭력이나 전형적인 대규모 “숙청”이 일어났다는 증거가 없다’(4..
1장 구체의 과학#추상적 관념어저자는 개념을 표현하는 ‘추상적 관념어’가 문명화된 사회와 미개를 구분하는 기준처럼 제시되는 풍조가 연구인들에게도 퍼져 있었고, 원주민은 쓸모와 관심에 따라 명칭과 의미를 부여하기에 개념어가 부족하고 지적으로 빈곤하다는 주장에 대해 반박하고 있습니다.“추상적 언어의 사용은 그것이 지적 능력의 수준을 나타내는 것이라기보다는 그 민족사회 속의 특정 집단이 지니고 있는 관심의 차이에서 온다.”(51)원주민들도 사고의 방식에서 지적 활용과 관찰 방식은 닮은 데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우리의 그것보다 훨씬 조화로운’(52) 지적 욕구와 객관적 사고들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원주민의 사회에도 지식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식은 자연을 식별하거나, 식물, 동물에 대한 방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gC3yC/btsGJecx58z/yg5IKS02eeKj0cFTeVto50/img.jpg)
7장 남한 체제에 대한 저항“2차 세계대전 직후 국가기구가 무너지면서 모든 곳에서 정치적 공간이 생겨났다. 좌익은 중앙에서 주변부까지, 서울에서 가장 작은 향촌까지 모든 행정 단위에서 자신들의 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하향식 관료주의화는 자발적이고 활발한 정치활동의 폭을 축소시켰다. 치안 유지 기관은 기능을 회복하자 곧장 서울 인민위원회를 폐지하면서 우선 중앙에서 권력을 공고히 한 뒤 곧이어 국가기구의 하부에 있는 좌익을 척결하기 시작했다. …… 좌절감에 기반한 봉기는 앞을 내다보지 못하고 1945년의 무너진 희망으로 되돌아갔다. 봉기는 철저히 탄압되었고, 참가한 대중은 도피할 곳을 찾았지만 아무 데도 발견할 수 없었다. 그 결과 1946년 좌익은 참패했고 우익은 활력을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j1KIa/btsGJNypUOC/2tHhuugOjS5gx9ns0PG3f0/img.jpg)
2부 한국 8장 유격대 투쟁 1947년 10월 여순반란이 일어났다. 그 이전 남한에는 유격대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48년 여름 정보기관은 유격대가 조직화하고 있다는 여러(399)보고를 받았다. 대부분의 활동은 산간 은신처에 생활용품, 특히 식량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활동의 중심은 전남이었는데 네 구역으로 나눠 한 구역마다 4~5개 부대를 배치했다. 4개 병단마다 100명의 무장 인원이 있었고 1000명 정도의 비무장 인원이 그들을 지원했다. 무기가 부족해 대부분 몽둥이나 창을 가지고 다녔다. 충청도의 유격대는 영동군에 집중되어 있었다. 소백산맥은 그들의 북방 한계선이었으며 남쪽으로는 지리산까지 뻗어 있었는데 나중에 가장 유명한 유격대의 보루가 됐다. 또 다른 훈련 거점은 충남 서산군의 산악 지..
- Total
- Today
- Yesterday
- 옥중수고이전
- 루이알튀세르
- 브루스커밍스
- 야생의사고
- 이데올로기
- 생산관계
- 딘애치슨
- 이탈리아공산당
- virtù
- 생산양식
- 루이 알튀세르
- 옥중수고
- 검은 소
- 레비스트로스
- 무엇을할것인가
- 의식과사회
- 한국전쟁의기원
- 안토니오그람시
- 스피노자
- 공화국
- 로마사논고
- 그람시
- 신학정치론
- 집단심리
- 마키아벨리
- 프롤레타리아 독재
- 헤게모니
- 알튀세르
- 계급투쟁
- 개인심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