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은 자연법을 비롯한 학문들이 철학에서 분리되어 경험적 관찰에만 의존하게 된 현실을 비판하며, 진정한 과학으로서의 학문은 절대적 이념(Idea)과의 연관성을 회복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또한, 경험주의적 접근과 형식주의적 접근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 둘을 종합하여 절대적 이념을 구현하는 과학의 필요성을 역설합니다.주요 주제:과학과 철학의 관계: 헤겔은 자연법을 비롯한 여러 과학들이 본질적으로 철학적 학문이었으나, 철학에서 분리되어 경험적 관찰에만 의존하게 되었다고 비판합니다. 그는 철학의 요소가 형이상학에만 할당되고 과학은 독립성을 유지하려 하면서, 결국 과학이 진정한 과학임을 포기하고 경험적 관찰의 수집에 만족하게 되었다고 지적합니다."자연법 과학은, 기계학, 물리학과 같은 다른 과학들처럼, 본질적으로..
심리학 원리 제 11장 주의력에 대한 브리핑 문서개요:이 문서는 "심리학 원리" 제 11장 "주의력"에서 제시된 핵심적인 내용과 아이디어를 분석하고 요약합니다. 이 장에서는 주의력의 본질, 종류, 작용 메커니즘,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한 심도 깊은 고찰을 제공합니다. 특히 경험주의 심리학에서 주의력 개념이 간과된 이유, 주의력과 경험의 상호작용, 다양한 형태의 주의력, 주의력의 생리학적 기반, 주의력 훈련의 교육적 함의 등이 주요 논점으로 다뤄집니다. 이 브리핑은 원문의 주요 구절을 인용하여 핵심 아이디어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독자가 주의력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주요 테마 및 핵심 아이디어:1. 경험주의 심리학의 주의력 간과:영국 경험주의 학파는 마음이 '경험'의 수동적 산물이라..
제 11장 주의(注意)내가 경험하는 것은 내가 주의할 것을 동의한 항목들뿐이다. 내가 주의하는 항목들만 나의 정신을 만들고 선택적 관심이 없다면 경험은 완전히 혼돈 자체일 것이다. (724)누구나 주의가 무엇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의식이 초점화되고 집중되는 것이 주의의 본질이다. 이때 주된 대상이 의식 초점에 나타나고 나머지 대상들은 일시 억제된다. (728)-> 인간은 끊임없이 선택적 주의를 한다. 수많은 감각들이 모두 내 경험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내가 주의를 기울인 것들이 나의 경험이 된다. 그 외 나머지 대상들은 의식 초점에서 억제된다. 한번에 우리는 몇 개 사물에 주의할 수 있는가?만약 한꺼번에 몇 개 관념인 사물에 주의할 수 있는가라는 본래의 과제가 전혀 연결이 없는 개념 체계나 과정이 ..
심문(interrogation)의 순간:아카이브에서의 페미니스트 민족지학 수행하기Jo Reger초록(Abstract)이 장에서 나는 음악을 중심으로 구성된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공동체의 아카이브를 기반으로 페미니스트 민족지학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들을 다룬다. 이를 통해, 소수자 사회운동 공동체에 대한 아카이브 연구에서 핵심적인 질문들과 씨름한다. 나는 이러한 질문들을 심문의 순간(moment of interrogation)으로 제기하며, 개인적인 경험과 아카이브 연구에 대한 문헌을 활용하여 아카이브 연구를 고려하거나 수행하는 사회운동 연구자들을 위한 틀을 구축한다.이러한 심문은 연구 과정에서 서로 다른 순간들에 적용될 수 있는 세 가지 넓은 영역을 다룬다. 첫째, 사회운동 아카이브의 기원 이야기는 ..
Field Work and the Protection of Human Subjects Troy Duster, David Matza and David Wellman 현장 연구와 인간 피험자의 보호The American Sociologist 1979년 8월, Vol. 14:136-142"인간 피험자의 보호"라는 개념은 "법치(law of the land)"만큼이나 중립적이고 미덕 있는 표현처럼 들린다. 그러나 법이 특정 집단을 다른 집단보다 더 우대하듯(이는 사회 및 정치 분석가들이 지적한 바 있다), 동의서(consent form) 또한 마찬가지다. 이 논점은 법을 폐지하자는 것이 아니라 개정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마찬가지로 사전 동의를 폐지하자는 것이 아니라 그 사용 조건에 대한 판단 범위를 확대해..
근대 자연법론 비판과 절대적 인륜성의 체계 – 김준수p13 : 실천철학에서 자연법의 지위와 실증법학의 관계에 대하여>는 해겔의 여러 저서들 가운데 법철학적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 최초의 저작이다. (14) 논문은 도입부 외에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홉스를 필두로 한 근대의 경험주의적 자연법 사상 비판2) 칸트와 피히테의 형식주의적 이성법 사상 비판3) 위 이론들의 토대가 되는 근대 시민사회가 분열과 대립의 원리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단지 형식적이고 추상적(15)인 법관계만을 산출할 수 있을 뿐이라고 진단하고 이에 대하여 현실과 이념, 다수성과 단일성, 개인과 전체가 분화 속에서 통일을 이루는 절대적 인륜성의 이념을 제시4) 법에 관한 학문이 실정법에 고착된 실증법학이 되어서는 안 되며 ..
자기 변이 (The mutation of the self)자기 변이는 다음과 같은 주된 두 개 범주로 나누어진다.기억 변용현재의 신체적 자기와 정신적 자기의 변용 기억 변용은 기억 상실과 잘못된 기억이다. 이 경우 모두 나(me)가 변한다. (656) 잘못된 기억은 우리 대부분에게 결코 드문 일이 아니며 잘못된 기억이 나타날 때에는 언제나 나(me)에 관한 의식이 왜곡된다. (658) 기억 변용을 넘어 현재 자기에 있는 비정상적 변용에 이르러 우리는 더욱 심각한 장애에 빠지게 된다. - 정신 이상적 망상 - 교대 자기 : (665) 교대성격(alternating personality)의 단순한 국면은 기억 상실, 이중 성격, 다중인격 - 영매 또는 홀림 : (689) 영매(mediumship)나 신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Whose Side Are We On?』 Howard S. Becker, 1967 발제: 태정 가치중립의 허구성, 편향(bias)는 피할 수 없다. To have a values ro not to have values: the question is always with us. → 가치를 반영해야하는가? 아니면 반영하지 말아야하는가? → 바꾸어 말하면 제목(‘누구의 편에 설 것인가?’)과 같음‘This dilemma, which seems so painful to so many, actually does not exist, for one of its horns is imaginary. For it to exist, one would have to assume, as some ..
- Total
- Today
- Yesterday
- 레비스트로스
- 이탈리아공산당
- 딘애치슨
- 옥중수고
- virtù
- 검은 소
- 개인심리
- 스피노자
- 계급투쟁
- 헤게모니
- 프롤레타리아 독재
- 한국전쟁의기원
- 브루스커밍스
- 의식과사회
- 이데올로기
- 로마사논고
- 안토니오그람시
- 알튀세르
- 그람시
- 루이 알튀세르
- 무엇을할것인가
- 집단심리
- 루이알튀세르
- 마키아벨리
- 옥중수고이전
- 생산관계
- 야생의사고
- 공화국
- 신학정치론
- 생산양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