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 자신이 절망 상태에 있음을 알고 있는 절망. 그래서 여기에서는 사람은 자신이 자아(어떤 영원적인 것)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식한다. 그리고 절망하여 자기 자신이려고 하지 않든가 또는 자기 자신이려고 한다. 자신의 절망을 의식하고 있는 사람이 과연 절망에 대한 참된 관념을 가지고 있는가 가지고 있지 않은가를 구별해야 한다(p.106). 의식적인 절망에는 한편으로 절망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참된 관념이,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 자신의 상태에 대한 명료성이 요구된다(p.107). 현실의 인생은 단순히 절망을 의식하고 있지 않은 무의식적인 절망과 자신의 절망을 완전히 의식하고 있는 의식적인 절망이라는 추상적인 대립 사이에 움직이고 있는 것 같은 그런 단순한 것은 아니다(p.107). 한순간에는 자신이 절망해..
16 Apr 2025 인무연 사회심리학 연구모임 – 요약 및 발제: 콩빠쇠렌 오뷔에 키르케고르 지음, 죽음에 이르는 병, 박병덕 옮김, 육문사 2015, 91-105쪽 Die Krankheit zum TodeEine christliche psychologische Entwicklung zur Erbauung und Erweckung von Anti-Climacus (Anti-Wechseljahre)Herausgegeben von S. KierkegaardKopenhagen :1849 THE SICKNESS UNTO DEATHBy S. KierkegaardD. Verzweiflung gesehen unter der Bestimmung: Bewußtsein Seite 40a) Die Verzwei..

64쪽 : 무의식의 주체 Wo Es War, Soll Ich Werden(그것이 있던 곳에, 내가 있어야 한다.) vs 주체성의 포기(기독교적 내려놓음 / 자본주의적 에고이즘) - > 자아와 주체는 다르다. 65쪽 : 악마에게는 그를 변명해 줄 만한 **어떤 불분명함(obscurity)**도 없으며, 따라서 그의 절망은 가장 완전한 형태다.그의 절망은 가장 극단적인 상태이다.절망의 최소치는, 인간적 관점에서 표현하자면, 일종의 무지의 상태이다. 즉 어떤 순진한 상태 속에서 절망하고 있음에도 그 사실조차 모르는 것이다.죄 없는 자는 자신이 절망 중이라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다.따라서 무의식이 최대치일 때 절망은 최소치이며,반대로 절망의 본질을 가장 깊이 인식한 자의 저항(defiance) 속에서 절망은 최대..
β. 필연성의 절망은 가능성의 결핍에 존재한다.인간적 실존이 가능성이 결핍되는 데까지 끌려가는 경우 그것이 절망 상태이다(p.86) 결정적인 것은 신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신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믿는 의지가 있는지 없는지가 그때 문제가 된다(p.86). 누군가가 절망하려고 할 때는, “가능성을 만들어라! 가능성을 만들어라!” 하고 외칠 것이다. 신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것만이 구원이 된다. 즉 신앙이 문제이다(p.87). 자신이 어떻게 구원받을 수 있을까 하는 것을 신에게 전부 맡겨버린다. 그는 오직 신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믿고 있다. 사람들은 한 번도 자기의 오성을 동원하여 구원을 발견하려고 노력하는 일조차 없이 구원은 불가능하다고 비명을 지른다. 신앙인은 ..
3장 절망의 모든 형태b. 가능성과 필연성의 규정하에 볼 수 있는 절망 자아는 실로 자유롭게 자기 자신이 되어야 한다. 자아에는 무한성과 유한성이 귀속된 것처럼 가능성과 필연성이 귀속되어 있다. 아무런 가능성도 가지지 못한 자아는 절망해 있다. 아무런 필연성도 가지지 못한 자아도 역시 절망해있다.(81)α. 가능성의 절망은 필연성의 결핍에 존재한다.무한성이 유한성에 의해 제한되는 것처럼 가능성은 필연성에 의해 견제된다. (자아가) 그 자신일때에는 그것은 필연적이고 그 자신이 될 수 있는 것일 때에는 그것은 가능성이다. 가능성이 필연성을 포기하고 아무런 필연적인 것을 가지지 않을 경우 이것이 가능성의 절망이다. 자아는 추상적인 가능성이 된다. - 자아는 가능성 속에서 발버둥 쳐 피곤해질 뿐 그 장소에서 밖..
Ⅲ. 절망의 모든 형태절망의 형태들은 종합으로서의 자기(자아)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반성함으로써 추상적으로 도달될 수 있다. 자기(자아)는 무한성과 유한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 종합은 하나의 관계이다. 그리고 이것은 파생적이기는 하지만, 자기 자신과 관계하는 관계이고 자유이다. 자기는 자유이다. 그런데 자유는 가능성과 필연성의 범주들의 변증법적 양상이다. 그렇지만 절망은 의식의 범주 안에서 고찰되지 않으면 안 된다. 절망이 의식되어 있는가 되어 있지 않은가 하는 것이 절망과 절망 사이의 질적 차이를 나타낸다. 그렇다 하더라도 모든 절망은 개념적으로 본다면 의식되고 있다.A. 절망을 의식하거나 의식하지 않거나를 문제 삼지 않고 고찰되는 경우의 절망, 따라서 여기서는 종합의 모든 계기(유한성과 무한성..
6. Processing Fieldnotes: Coding and MemoingRevisit the fieldwork note and memoscoherent and focused analyses172–199 (missing 192-199)1/ READ2/ Analytical coding= line-by-line categorization of notes- Open Coding- Focused CodingReading → Coding and reviewing → Code memos → integrative memosfrom how Grounded theory approach – as a tool for qualitative data “analytic categories directly from the ..
- Total
- Today
- Yesterday
- 딘애치슨
- 스피노자
- 프롤레타리아 독재
- 계급투쟁
- 레비스트로스
- 개인심리
- 이데올로기
- 이탈리아공산당
- 헤게모니
- 무엇을할것인가
- 야생의사고
- 검은 소
- 루이알튀세르
- 루이 알튀세르
- 로마사논고
- 공화국
- 옥중수고이전
- 생산양식
- virtù
- 한국전쟁의기원
- 옥중수고
- 신학정치론
- 집단심리
- 그람시
- 생산관계
- 브루스커밍스
- 의식과사회
- 안토니오그람시
- 마키아벨리
- 알튀세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