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6장 국가의 기초; 개인의 자연권과 시민권, 그리고 최고권력의 권리 모범적인 국가에서 이러한 사상의 자유와 누구나 생각한 것을 말할 자유의 한계가 어떤 것인지 질문할 때가 되었다(p. 255). 각자의 자연권은 건전한 이성에 의해서가 아니라, 본인의 욕망과 능력에 의해 결정된다(p. 256). 왜냐하면 모든 사람이 이성의규칙 및 법칙에 따라 행동하도록 자연적으로 결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자연의 권리와 확정된 질서 … 는 아무도 욕구하지 않고 누구도 할 수 없는 것만을 금지한다. 안전하고 유익한 삶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필연적으로 하나의 단체 안에 통합되어야 한다는 것이 우리에게 아주 명백해질 것이다(p. 258). 오로지 이성의 지령에 의해서만 인도되도록 … 하는 가장 업격한 서역으로써..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제 13장 성서는 매우 단순한 교리들만을 가르치며, 오직 순종만을 고취한다는 것, 그리고 신의 본질에 관하여 그것은 오직 사람들이 행동에 관한 명확한 규준에 의해 본받을 수 있는 것만을 가르친다는 것이 밝혀진다. 이번 장에서는 성서와 철학을 분리해낸다. 그동안에 나는 스피노자가 예언자나 예언에 현혹되지 않고 제대로 성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연을 탐구하듯 이성을 이용해서 한다고 이해했다. 어쩌면 불완전한 이해였는지를 따지기 위해서 앞장을 충분히 검토할만한 여유는 되지 않아 과제로 남겨놔야 할 것 같다. 어쨌든 이전에 감정 혹은 정서와 이성의 대립 구도를 유지했다면 이번 장에 들어서는 성서와 철학을, 그리고 순종과 지적인 인식의 대립 구도를 ‘새로’ 만들어낸다. 성서는 심원한 사변 또는 철학적 논증을 포..
「신학정치론」 10장, 11장, 12장 pp.253-297 스피노자는 『신학정치론』 10-12장에서 성서 해석의 방법론, 종교적 권위, 그리고 성서의 본질적 의미에 대해 탐구한다.8장에서는 성서 저자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9장에서는 성서의 수정 가능성에 대해 다루며, 당시의 전통적 성서 해석 방식을 비판했다. 스피노자는 성서를 신성불가침한 텍스트로 보는 대신, 역사적 문서로 접근하며,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해석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이러한 논지는 10장에서도 이어지며, 성서 저자가 속한 시대적 배경과 언어를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이어 11장에서는 사도들의 권위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하며, 그들의 사명이 보편적 도덕을 가르치는 데 있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12장에서는 성서의 본질과 해석의 자유에..
시간 관계 (time relation)정신은 시간적 존재이다. 365p제임스는 무의식을 의식의 외부가 아니라 의식의 연속적인 흐름의 일부로 본다. 그래서 8장의 시작을 우리는 완전하게 무의식일 수 있는가? 의 질문으로부터 출발한다.우리는 실제 외부 시간을 통과하면서 살아갈 것이며, 그 시간은 우리를 연구하는 심리학자는 알고 있지만 우리는 그 시간을 느끼지 못하며, 내부에 있는 어떤 신호로부터 그 시간을 추정하지도 못한다. 367p데카르트 학파는 이 지점에서 영혼의 본질이 사고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우리가 영혼이나 영혼의 본질에 관한 어떤 주의나 주장을 갖고 있지 않다면 우리가 사고 없이 무의식적으로 보이는 것을 ' 정신도 신체와 마찬가지로 수면을 취한다'라고 인정해도 무방 할 것이라고 말한다. 로크는 ..
제9장 사고(思考)의 흐름 (THE STREAM OF THOUGHT) 409-446쪽 이제부터 우리는 정신에 관한 연구를 내부로부터 시작할 것이다. 홀로 떨어진 단독적인 단순 감각을 갖고 있는 사람은 없다. 의식이란 출생한 날부터 풍부하고 다양한 대상들과 맺은 여러 관계들에 대한 의식이며, 우리가 단순 감각이라 부르는 것도 아주 고도로 훈련된 변별적 주의를 집중해야 얻을 수 있는 결과들이다. 가장 단순한 것이 감각이므로 심리학에서 감각이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도 이와 같은 잘못된 가정 중 하나이다.첫 시작에서 심리학이 정당하게 가정할 수 있는 것은 사고 자체에 관한 사실들이며 그 사실들이 우선적으로 거론되어 분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심리학자로서 우리에게 주어진 첫 번째 사실은 어떤 종류의 사고든..
- Total
- Today
- Yesterday
- 야생의사고
- 개인심리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신학정치론
- 생산양식
- 루이 알튀세르
- 마키아벨리
- 이탈리아공산당
- 로마사논고
- 계급투쟁
- 레비스트로스
- 검은 소
- 옥중수고
- virtù
- 알튀세르
- 집단심리
- 옥중수고이전
- 브루스커밍스
- 스피노자
- 무엇을할것인가
- 생산관계
- 한국전쟁의기원
- 그람시
- 헤게모니
- 이데올로기
- 공화국
- 루이알튀세르
- 안토니오그람시
- 딘애치슨
- 의식과사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