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어려움: 현장 연구 윤리에 관하여 『The Moral Fix: On the ethics of Fieldwork』, John Van Maanen, 1983 발제: 태정 저자 소개John Van Maanen은 1943년생 미국 MIT 슬로안 경영대학원의 명예교수로 조직이론가임. 주로 조직 행동과 이론을 다루며 민족지 방법을 활용해 경찰, 어부, 디즈니랜드, 런던 형사 등 다양한 직업군을 대상으로 그들의 업무 세계에 대한 장기적인 참여연구를 진행Academic group: Work and Organizaqtion StudiesAcademic Area: Behavioral and Policy Sciences주요 출판물Career Anchors Reimagined: Finding Direction and..
The sociologist as Partisan: The myth of a value-free sociology(라는 책의 2장 )Alvin Gouldner 1961년, 한 학술 모임에서 (이 책의 1장에 다시 실려 있음),나는 당시 사회학자들의 지배적인 직업적 이데올로기로 보였던 것을 비판했다.그것은 바로 "가치중립적(value-free)" 사회과학의 원칙을 옹호하는 경향이었다.그러나, 6년이 지난 지금(1967년),나는 또 다른 불편한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내 주장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지만,동시에 내 비판이 너무 강력해서 오히려 문제를 야기한 것은 아닌가 고민하게 되었다.나는 두 가지 상반된 감정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다.나를 지지해준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표하고 싶다.하지만, 이 논쟁은 단순한..
헤겔은 이 부분에서 형식주의(?)를 다루고자 한다. 헤겔은 앞 부분에서 주로 다루었던 경험주의와 이 형식주의를 비교하며 무한성에 대해 고찰한다. 혼합동요안정경험적 억견잡다한 것단순한 것→→절대적 개념무한성 헤겔은 무한성의 “본질은 자기 자신의 무매개적 반대, 부정적으로 절대적인 것, 형식의 추상”이라고 한다. 무한성순수한 동일성순수 비동일성순수한 이념성순수한 실재성무한한 것절대적으로 유한한 것무규정성절대적 규정성 순수이성잡다한 존재/유한성, 다수성에 대한 부정으로서의 무한성긍정적으로는 순수한 통일로서의 무한성(?) 이론이성양자의 존립긍정적 관련대립 존속→다수성 존속이념적 이성실천이성양자의 파괴태(소멸)부정적 관련대립 부정→통일 존속실제적 이성 헤겔이 지적하는 선험적 형식주의의 한계는 말과 행동이 일치하..
핵심 용어 정의경험주의 (Empiricism): 경험을 지식의 근원으로 보는 철학 사상. 감각적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을 중시하며, 추상적인 사변이나 선천적인 지식을 배제하려는 경향이 있다.선험주의 (A Priorism): 경험에 앞서 인식할 수 있는 지식이나 원리가 존재한다고 보는 철학 사상. 칸트와 피히테의 철학이 대표적이다.무한 (Infinity): 끝이 없는 것, 경계가 없는 것. 헤겔에게 무한은 단순히 끝이 없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과의 끊임없는 대립과 변화를 통해 정의되는 개념이다.이론 이성 (Theoretical Reason): 객관적 세계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이성. 사물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고, 논리적인 판단을 내리는 데 사용된다.실천 이성 (Practical Reason): 도덕적인..
주요 사건 타임라인주의 (Attention) 관련 사건:자발적 주의의 발생:어린아이가 처음에는 재미없어하던 읽기에 인위적인 동기를 부여하여 자발적 주의를 발달시킴.어린아이가 피아노 연주와 독일어 학습에 자발적 주의를 기울이게 되는 사례. 이때 동기는 엄마를 기쁘게 하려는 공감적 감정에서 비롯됨.주의 집중을 돕는 방법:읽거나 강연을 들을 때 스스로 소리 내어 읽거나 듣는 것이 주의 집중을 깊게 함.교사는 새로운 내용을 학습자의 기존 지식 기반(Apperceptionsmasse)에 연결해야 함.주의가 결과인가, 원동력인가?:주의를 뇌세포의 활동 결과로 보는 견해와, 감정이 뇌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보는 견해의 대립.주의가 물리적 법칙에 의해 결정되는지, 아니면 자유의지를 포함하는 영적인 힘에 의한 ..

「자연법」자연법에 대한 학적 취급방식들, 실천철학에서 자연법의 지위와 실증법학과의 관계에 대하여&Ⅰ pp. 63 – 85 정리자연법은 단순한 경험적 법칙이 아니라, 철학적으로 깊이 연구해야 하는 개념임경험과 철학은 다르며, 철학적 사고 없이는 법과 도덕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음칸트의 철학을 비판하며, 자연법이 현실과 연결된 개념이어야 한다고 주장법과 도덕은 시대에 따라 발전해야 하며, 철학을 통해 그 원리를 탐구해야함 자연법에 대한 학적 취급방식들, 실천철학에서 자연법의 지위와 실증법학과의 관계에 대하여 Philosophy and its parts: 철학과 학문의 분리 전통적으로 자연법, 역학, 물리학 등은 철학의 한 부분이었으나 ‘철학적인 것’이 형이상학에만 국한되면서 이러한 학문들은 철학으로부터 ..
정치적 민족지(정치문화기술지)에서 ‘정치적인 것’『The Political in Political Ethnography』, Timothy Pachirat, 2009발제: 태정더보기저자 소개Thimothy Pachirat는 Thai-American. 현재 메사추세츠 애머스트 대학 비교정치학과 교수로, 어렸을 때부터 오레건주 소, 양, 알팔파를 키우는 목장에서 일하면서 폭력의 문제에 관심이 많아 산업화된 폭력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 받음. 대표작은 2011년 출판된 『Every Twelve Seconds:Industrialized Slaughter and the Politics of Sight』로 네브래스카의 산업화된 도축장에서 6개월 가까이 일하며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권력과 폭력에 대해 고..
헤겔은 자연법을 비롯한 학문들이 철학에서 분리되어 경험적 관찰에만 의존하게 된 현실을 비판하며, 진정한 과학으로서의 학문은 절대적 이념(Idea)과의 연관성을 회복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또한, 경험주의적 접근과 형식주의적 접근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 둘을 종합하여 절대적 이념을 구현하는 과학의 필요성을 역설합니다.주요 주제:과학과 철학의 관계: 헤겔은 자연법을 비롯한 여러 과학들이 본질적으로 철학적 학문이었으나, 철학에서 분리되어 경험적 관찰에만 의존하게 되었다고 비판합니다. 그는 철학의 요소가 형이상학에만 할당되고 과학은 독립성을 유지하려 하면서, 결국 과학이 진정한 과학임을 포기하고 경험적 관찰의 수집에 만족하게 되었다고 지적합니다."자연법 과학은, 기계학, 물리학과 같은 다른 과학들처럼, 본질적으로..
- Total
- Today
- Yesterday
- 집단심리
- 마키아벨리
- 헤게모니
- 알튀세르
- 옥중수고이전
- 야생의사고
- virtù
- 한국전쟁의기원
- 로마사논고
- 브루스커밍스
- 레비스트로스
- 검은 소
- 의식과사회
- 이탈리아공산당
- 신학정치론
- 스피노자
- 안토니오그람시
- 무엇을할것인가
- 생산관계
- 그람시
- 공화국
- 계급투쟁
- 루이알튀세르
- 이데올로기
- 루이 알튀세르
- 딘애치슨
- 개인심리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생산양식
- 옥중수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