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many cases do I need ? On science and the logic of case selection in field-based research얼마나 많은 사례가 필요한가?현장 기반 연구에서 사례 선택의 연구와 논리에 대해 저자 소개 마리오 루이스 스몰Mario Luis Small 2009년에 출판된 글로, 저자는 현 컬럼비아 대학 교수 https://www.mariosmall.com/biohttps://www.mariosmall.com/papers거의 모든 페이퍼가 홈페이지에 있음.연구 주제 : 개인 네트워크, 사회 불균형, 도시 빈곤 등 + 필드 방법론 “더 단단한 질적 연구를 위한 안내서 Qualitative Literacy: A Guide to Evaluating Ethno..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Bcg4e/btsLRJr4BnI/pzJGeaVyECc97i27Hslsa0/img.png)
Michael Burawoy의 "Revisits: An Outline of a Theory of Reflexive Ethnography"[초록] 이 논문은 민족지학자가 이전 연구 장소를 다시 방문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집중 재방문(focused revisit)"이라는 기술을 탐구한다. 사회학에서는 드문 접근법이지만, 인류학에서는 흔히 사용된다. 초기 연구와 후속 연구 간의 차이는 주로 다음 네 가지 요인에 기인할 수 있다.관찰자와 참가자 간 관계의 변화민족지학자가 현장에 적용한 이론의 차이연구 현장 내부에서의 변화연구 현장 외부의 요인집중 재방문은 일반적으로 이 네 가지 중 하나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네 가지 설명의 한계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이 네 ..
「스피노자와 정치」II부. 스피노자. 반오웰 3장_ 스피노자, 루소, 맑스: 정치적인 것의 자율성에서 정치의 타율성으로 pp. 230-246 발제: 태정원제: Le politique, la politique: De Rousseau à Marx, de Marx à Spinoza. 정치적인 것, 정치: 루소에서 맑스로, 맑스에서 스피노자로>3장에서 발리바르는 루소에서 맑스로, 그리고 맑스에서 스피노자로 이어지는 궤적을 분석하면서 정치적인 것(Le politique)과 정치(la politique)의 개념을 구분한다. “‘맑스 이전’과 ‘맑스 이후’ 사이의 대조가 스피노자를 포함하는 정치적 전통에 대한 우리의 독해의 부재하는 중심을 구성하지 않는지 질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p.230“『사회계약』 첫 부분..
2025년 1월 15일 발제 전주 ‘인간무늬연마소’ 사회심리학 연구모임주제: 윌리엄 제임스 지음, 정양은 옮김 심리학의 원리 I, 제10장 자기 의식: 순수자아 – 순수자기 또는 개인통일성의 내적원리 펴낸 곳 아카넷 2022, 568-608쪽영어책으로는 10장의 두 소절 What Self is Loved in ‘self-Love’ 그리고 The Pure Ego. (Pdf Page197-210) [발제 : 콩빠] 요약 인용 및 발표 I. 텍스트인용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0장 자기 의식: 순수자아 – 순수자기 또는 개인통일성의 내적원리자기애(自己愛)에서는 어떤 자기가 사랑되는가? (What self is loved in Self-love?) 순수 자아 (The Pure Ego)개인정체감 (..
Making the Theoretical Case: Case Studies and Generalizations in Social Science - John Walton이 글은 사례 연구의 이론적 토대와 방법론적 함의를 논의합니다. 사례 연구가 특수성을 넘어 일반화 가능한 지식을 생성하는 과정, 즉 특정 사례를 통해 보편적 사회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춥니다. 저자는 기존의 사례 연구 접근 방식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론과 사례 연구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새로운 이론을 형성하는 과정을 제시하며, 캘리포니아 오웬즈 밸리의 물 분쟁 사례를 통해 이러한 주장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합니다. 결론적으로, 사례 연구는 단순한 기술이 아닌, 이론 구성의 중요한 도구임을 강조합니다.사례 (Case)표현: CaseWa..
2부 스피노자, 반오웰2장 스피노자에서 개체성과 관개체성 이 글에서 발리바르는 스피노자의 『윤리학』을 두고, 알렉상드르 마트롱의 『스피노자 철학에서 개인과 공동체』, 질베르 시몽동의 『형태, 형태화, 퍼텐셜, 준안정성이라는 개념에 따라 해명해 본 심리적·집합적 개체화』를 언급하며 설명한다. 이 발제문에서는 마트롱과 시몽동으로 표기한다. 발리바르는 “스피노자의 철학은 사상사의 이원론으로 환원되지 않는다”고 본다(p. 209) (개체론과 유기체론 / 외적으로 인식된 사회적 관계와 내적으로 인식된 사회적 관계) 이 환원불가능성은 스피노자 철학의 결과들 중 하나이다. 그리고 그의 유한양태이론 및 유한양태들의 자연적 생산이론의 기초가 되기도 한다. 『윤리학』 3부에서 “간(間)인간적인[인간 상호 간의] 정념적 ..
20250108_발제_10장_자기의식_심리학의원리1_발제(빛이/비치) 제 10장 자기 의식 ■ 경험적 자기 또는 나 - 경험적 자기는 나(me)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싶어지는 모든 것이다. p.525- 우리의 명성, 자식, 내가 손수 이룬 업적 p.526- 같은 대상도 때로는 자신의 부분으로 취급되고… 때로는 자신과는 전혀 관계 없는 것처럼 취급되기도 한다. p.526- 한 사람의 자기는 그의 것이라 부를 수 있는 모든 것의 총체 - 정신 능력 뿐 아니라 의복, 집, 처자식, 선조와 친구들, 명성과 업적, 토지와 가축, 요트와 은행 예금 등. p.526- 자기는 세 부분으로 구분할 것이며 자기는 , 구성 성분들이 일으키는 , 구성 성분들이 촉발하는 과 관계되고 있다. p.527 1. 자기의 구성 성분..
- Total
- Today
- Yesterday
- 헤게모니
- 검은 소
- 의식과사회
- 스피노자
- 이데올로기
- 생산양식
- 이탈리아공산당
- 레비스트로스
- 집단심리
- 브루스커밍스
- 루이 알튀세르
- 개인심리
- 야생의사고
- 계급투쟁
- 한국전쟁의기원
- 안토니오그람시
- 무엇을할것인가
- 생산관계
- 마키아벨리
- 로마사논고
- 공화국
- 신학정치론
- 알튀세르
- 옥중수고
- 옥중수고이전
- 루이알튀세르
- 그람시
- 프롤레타리아 독재
- virtù
- 딘애치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