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시 : 5월 22일(일) 저녁 7시 00분 2. 장소 : 숙대 근처 카페 달다02-6338-7044서울 용산구 청파로47길 26http://blog.naver.com/bjh1809/220254485705 숙대입구역 혹은 남영역에서 도보로 5~10분 거리입니다. (아래는 지도 링크)http://map.naver.com/local/siteview.nhn?code=31336852 3. 발제 : [주체의 해석학] - 1986.01.27 전후반 화니짱- 1986.02.03 전후반 샘
3강 / 1982년 1월 20일 강의 전반부 자기 배려 조건과 양상의 변화 이번 장에서는 기원 후 1∼2세기의 자기 배려 양상을 살핀다. 철학 사조로 따졌을 때 로마 스토아주의의 개화에서 기독교 보급 직전(초기 그리스도교 사상가들의 출현 직전)까지에 해당하는 이 시기는 자기 배려의 역사에서 진정한 황금기였다. 개념, 실천, 제도 수준 모두에서 자기 배려가 널리 확산된 시기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 시기 자기 배려의 특징은 무엇일까? 우선 ≪알키비아데스≫에서 확인한바, 곧 기원전 5세기에 자기 배려의 존재 이유와 형식을 결정했던 조건세 가지를 떠올려 보자. 첫째, 자기 배려가 적용되어야 하는 장(場)은 특정되어 있었다. ≪알키비아데스≫에서 자기를 돌보아야 할 자들은 권력을 행사할 예정인 젊은 ‘귀족층’으로 ..
1982년 1월6일 강의 후반부 화니짱 영성이 요구하는 사항들의 분쟁적 현존: 데카르트 이전의 과학과 신학 / 고전철학과 근대철학: 마르크시즘과 정신분석학 진실 접근과 주체 존재 자체의 변형요청 사이의 연결고리는 갑작스럽게 절단된 게 아닙니다. (64) 오래전부터 분리가 진행되었고 어떤 부분은 위의 두 요소들 사이에 위치하게 됩니다. 그 부분은 신학으로부터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 신학은 기독교에 입각해 보편적 신앙을 기초하는 합리적 성찰을 자기 자신에게 부과하고 동시에 보편적 인식 주체의 원리를 기초합니다. 여기서 인식주체는 신에게서 자신의 모델, 최상의 완벽성을 발견하고, 그와 동시에 창조자와 그 모델을 발견합니다. 모든 것을 다 아는 신과 신앙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주체의 일치는 서구의..
주체의 해석학/ 1982.1.13. 강의 전반부 / 푸코 / 2016.05.08.(일) /닥홍 소크라테스의 자기 배려 정언 명령의 탄생 맥락 : 훌륭한 가문 젊은이들의 정치적 능력; 아테네 학교 교육 및 성교육의 한계; 무지한 사실에 대한 무지 자기배려라는 표현이 나타난 것은 소위 소크라테스의 대화라고 불리는 대화편에서 지극히 일상적 정치 사회적 맥락입니다. 알키비아데스의 경우 그들의 태생적 신분, 귀족 사회에의 소속, 부 그리고 그들에게 애초부터 부여된 권위가 그들로 하여금 적절하게 통치할 수 있는 능력을 동시에 부여하는지를 아는 일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타인을 통치해야 함에 따라 자기 배려가 문제시 된다. 이것이 이 맥락의 첫 번째 요소입니다. 두 번째는 교육의 문제입니다. 집단적 규율에 근거한 ..
늦어서 죄송합니다~~
1982년 1월 6일 강의. 전반부 발제 화니짱. 전반적 문제 틀의 환기: 주체성과 진실 지난해 나는 주제성과 역사 간의 관계를 주제로 역사적 성찰을 해보려고 했습니다. ( - 프랑스어 판으로도 미출간) 그리고 이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특정한 예와 굴절 표면으로서 고대의 성적 행동과 쾌락의 체제의 문제, 즉 기원후 1,2세기에 규정된 아프로디지아(aphrodisia)의 체제를 선택했었습니다. 올해는 이 구체적 예인 아프로디지아, 성적 행동들의 체제와 관련된 특수한 기제로부터 벗어나 거기로부터 ‘주체와 진실’이라는 문제의 보다 일반적인 용어들을 추출해 보고자 합니다. 더 정확히 말해서 내가 주체성/진실 관계들에 관련된 문제를 설정하려고 시도한 역사적 차원을 소거하거나 취소하려는 의도는 결코 없지만 이 문제..
출처 : 최초의복제인간 티스토리 블로그 http://etranger.tistory.com/175 저작 목록 1954 , 개졍판 번역 : , 박혜영 옮김, 문학동네, 2002 - 절판 *푸코는 나중에 자기의 첫 저서가 라고 말한다. 하지만 혹은 에서의 주장을 철회한 건 아니고, '습작' 정도로 여긴 모양이다. 1961 , 이규현 옮김, 나남, 2003 *원제는 이다. 1963 , 홍성민 옮김, 이매진, 2006 1966 , 이광래 옮김, 민음사, 1986 1969 , 이정우 옮김, 민음사, 2000 1971 , 이정우 옮김, 서강대출판부, 1998 1973 , 심세광 옮김, 앨피, 2008 1973 , 김현 옮김, 고려대출판부, 2010 1975 , 오생근 옮김, 나남, 2003 *원래의 부제는 '감옥의 ..
강의개요. 올해 강의는 자기 해석학 테마의 형성에 할애되었다. 이 실천들은 그리스어로는 epimeleia heautiym 라틴어로는 cura sui라 불리는 바의 영역에 속한다. ‘자기 자신을 돌보기’, ‘자신을 배려하기’의 원칙은 자기 인식의 빛에 가려진 것처럼 우리에게 보여지는 것 같다. 하지만 자기 자신을 인식해야 하는 규칙은 자기 배려의 테마에 일정하게 연관되어 있었다는 것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고대 문화 전반에 걸쳐 ‘자기 배려’에 부여된 중요성과, 또 자기 배려가 자기 인식과 연결되었다는 증거를 발견하는 것은 쉬운 일다. 첫째로 소크라테스에게서 그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변명’에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을 재판관들에게 자기 배려의 스승으로 소개한다. 소크라테스는 동료 시민들이 ‘자기 ..
- Total
- Today
- Yesterday
- 한국전쟁의기원
- 집단심리
- 검은 소
- 의식과사회
- 루이 알튀세르
- 신학정치론
- 공화국
- 루이알튀세르
- 이데올로기
- 마키아벨리
- 레비스트로스
- 이탈리아공산당
- 생산양식
- 로마사논고
- 야생의사고
- virtù
- 스피노자
- 헤게모니
- 브루스커밍스
- 옥중수고
- 계급투쟁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안토니오그람시
- 알튀세르
- 개인심리
- 그람시
- 옥중수고이전
- 무엇을할것인가
- 생산관계
- 딘애치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