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론은 그 자체에 변형성이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사회적·정치적 변화를 이루는 데 이론이 아닌 무엇인가가 발생해야 하는데, 그게 꼭 이론의 실천과 같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모든 실천에는 이론이 전제되어 있다. 우리는 모두 그런 사회 변화의 행위를 하고 있는 일반인 철학자들로서, 세상에 대한 비전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관해 미리 전제한 채 행위하는 자들이다.(323) 우리는 잘 살기 위해, 또 우리가 사는 사회 세계를 어떤 방향으로 변화시킬지 알기 위해 규범이 필요하지만, 때로는 규범이 우리에게 폭력을 가하기도 하고, 규범의 규제를 받는다. 이러한 규범의 이중적 진리 때문에 혼란이 있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폭력에 반대하는 것은 규범의 이름으로 일어나야 한다고 말할 것이기 때문이다.(32..
젠더허물기 9장 성차의 끝 170115 아루미 발제 그보다 페미니즘은 자신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해 더 분명하게 만들고 갈등을 일으키는 해석들과 타협하기 시작하려고 노력하면서 비평적 관심을 바로 자신의 전제와 관련되도록 함으로써 전진해나가는 운동이다. 민주적 기획으로서의 페미니즘은 기본적으로 우리가 무언가에 모두 다 동의할 수 있다는 전제를 박탈당하거나, 아니면 그와 똑같이 우리가 가장 소중히 여기는 가치가 논쟁 중에 있으며 그런 가치는 정치적 경합을 벌이는 영역에 남게 되리라는 생각을 수용해야 한다. 이는 마치 내가 페미니즘은 그 무엇으로도 확립될 수 없고 스스로에 대한 반성으로 가는 길에 방향을 잃을 것이며, 이런 자기반성의 순간을 넘어 세계에 대한 적극적 참여의 길로 나갈 수 없으리라고 말하는 것..
1. 일시 : 1월 15일 (일) 밤7시2. 장소 : 숙대 미얌미얌서울 용산구 청파로47길 17-5 1층 3. 진도 및 발제담당자 9장 아루미 10장 샘11장 기레민 4. 다음 선정 도서 및 모임일정 안내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6524122다음 도서 미리 구입해주세요. 15일 모임 이후 2주간 모임 쉽니다. 다음 모임 홍보활동을 하고 2월2일 만날 예정입니다. 아래 일정을 스케쥴표에 저장해주세요.2월2일 (목) 저녁7시 / 숙대 미암미암2월 9일 (목) 저녁7시 / 숙대 미암미암2월15일 (수) 저녁7시 / 숙대 미암미암
젠더허물기 / 8장 몸의 고백 / 주디스버틀러 / 2017.1.8.(일) /닥홍 이 글에서는 어떤 특정한 행위, 고백의 행위를 중심으로 언어, 몸 그리고 정신분석학의 관계에 대해 숙고해보고자 한다. 푸코는 다른 사람의 영혼을 돌보고 보살피는 특정 계급의 사람들, 다른 사람들을 윤리적으로 교화하여 그들의 양심을 알아내고 인도하는 직업을 가진 특정 계급의 사람들의 등장을 사목 권력patroral power이라 명했다. 사목 권력은 영혼의 관리가 발생하는 권력의 형태이다. 푸코는 초기에 고백에 의해 나타난 억압 가설을 제시했다. 그러나 후기에 고백이 어떻게 영원한 언어화로 구성되지를 생각하며 인간이 자기 자신에 대한 애착을 인간을 넘어선 어떤 것, 신에 대한 애착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라고 하며 언어화는 자기희생..
7장 근친애 금기의 난제 근친애 문제는 기억, 사건, 욕망과 관련 있다. 근친애는 기억에 선행하는 사건인가, 사후에 사건으로 상정된 기억인가? 아니면 기억의 형식을 취하는 소망인가? (245) 어떤 사람들은 근친애가 치료 과정에서 유도된 기억이라고 주장하거나, 거짓 기억으로 변환된 소망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또 이와 달리, 외상으로서 근친애는 기억되거나 이야기될 만한 사건의 형태를 취할 수 없다는 주장도 있다. 이처럼 근친애적 외상은 어린아이의 몸에 대한 야만적 강제 행위, 아이의 욕망을 이용한 선정적 자극, 아이의 경험이나 문제가 되는 유년기를 겪은 성인의 기억에서 근본적으로 재현이 불가능한 것 등으로 다양하게 형상화된다. (246)이 지점에서 논쟁은 분분해진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근친애 ..
6장 인정을 향한 갈망 화니짱벤저민의 이론이 이뤄낸 성과 중 하나는 상호주관성이 대상관계와 같지 않으며, 상호주관성은 대상관계에다가 외부의 대타자라는 개념을 더한 것이라는 주장인데, 여기서 외부의 대타자란 상호 보완 관계에 있는 심리적 대상의 구성을 초월하는 것이다. 대상에 대한 관계가 대타자에 대한 관계와 같은 것은 아니지만, 대타자에 대한 관계는 대상에 대한 관계를 이해할 틀을 제공한다. 주체는 대상에 대한 특정한 심리 관계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그런 심리 관계에 의해 또 그런 심리 관계를 통한 주체가 형성되기도 한다. 게다가 이런 여러 형성은 암묵적으로 인정을 향한 투쟁의 구조로 되어 있고, 그 구조 안에서 대타자는 자신이 심리적으로 재현하는 대상과 분리되기도 하고 분리되지 않기도 한다. 이런 인..
- Total
- Today
- Yesterday
- 레비스트로스
- 헤게모니
- 마키아벨리
- 계급투쟁
- 로마사논고
- 옥중수고
- 이탈리아공산당
- 공화국
- 브루스커밍스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집단심리
- virtù
- 안토니오그람시
- 야생의사고
- 그람시
- 이데올로기
- 검은 소
- 생산양식
- 개인심리
- 한국전쟁의기원
- 알튀세르
- 의식과사회
- 생산관계
- 신학정치론
- 무엇을할것인가
- 딘애치슨
- 루이 알튀세르
- 옥중수고이전
- 스피노자
- 루이알튀세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