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의지에 관한 강의 / 미셸푸코 / 5강 1971년 1월 27일 / 2017.11.05.(일) / 닥홍 희랍 사회에서 진리와 연결되는 기능을 맡은 담론. 사법 담론, 시학 담론│헬레니즘 문명의 문턱에 있는 후기 자료 검토│일리아스와의 대조: 호메로스의 준-사법 논쟁. 네 가지 대결 체계│재판관의 최고권과 야만적 최고권│호메로스적 판결 또는 유명한 ‘아킬레우스의 방패’ 장면 서론 - 궤변술을 명제학과 회고적으로 대립시킴으로써 형식적으로 정의하기. - 궤변술 너머로 거슬러가서 궤변술이 어떻게 구성됐는지 살펴보기. - 진리와 제도적으로 연결됐던 담론 유형들을 분석, 진리가 어떻게 희랍 사회에서 그것의 출현 장소, 그것의 강제된 기능 분배 형식을 찾았는지 분석. 사법 담론과 시학 담론이 연구대상. I. 최..
지식의 의지에 관한 강의4강아리스토텔레스는 궤변을 철학 게임의 바깥에 제쳐둔다. 궤변은 철학 담론의 외부에 놓인다. 그것은 실재하지 않는다. 궤변에 실재성을 부여하려 했던 몇몇 역사가들의 작업도 아리스토텔레스식 배제를 전제하고 있다. “그들(소피스트들) 역시 어떻게 보면 참된 담론, 존재를 이야기하는 담론, 존재 안에 있는 담론의 영역에 속한다. 그들은 철학의 한계 너머에서 생명도 육신도 없이 배회하는 그림자들이 아니다.”소피스트와 철학자가 합류하는 공통 공간을 수립하지 않고, 그 거리를 있는 그대로 놔두고, 즉 배제 상황을 염두에 두며 소피스트 담론의 존재 양식과 기능 양식을 분석할 수는 없을까. 요컨대 궤변은 어떤 조건에서 존재했고, 또 사라졌을까. 참된 추론 또는 거짓 추론과, 오류 논변 사이의 대..
미셸 푸코, 『지식의 의지에 관한 강의』, 3강 발제 알료샤 소피스트들 : 그들의 등장과 배제 / 진리와의 관계에서 본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사. 철학 담론은 시학 담론과 지위가 같을 수 없다 / 아리스토텔레스가 수세기 동안 통용될 철학의 역사적 존재 방식을 설정하다 / 소피스트들을 배제함으로써 가능해진 철학의 존재 / 소피스트라는 인물. 궤변이라는 기술 / 궤변술은 단어의 물질성을 변조한다 / 소피스트 배제에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맡은 상이한 역할 푸코는 자신의 연구에 두 가지 모델을 가지고 출발했다. (철학 전통을 특징짓는 듯한) 모델에서 지식의 의지는 자신이 전개할 사전(事前)의 인식 안에서 시차(時差)이자 내적 유예로 파악된다. 다른 모델에서 인식 활동은 그 자체로 인식에 속하지 않는 과정의 ..
지식의 의지에 관한 강의 / 미셸푸코 / 2강 1970년 12월 16일 / 2017.10.29.(일) / 닥홍 인식과 진리의 함축 관계 해체를 분석하기 위하여│욕망, 진리, 인식이 하나의 이론적 구조를 이루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체계에서 진리가 점하는 모호한 우위. 스피노자, 칸트, 니체가 이 체계성을 뒤집으려 하다│쾨니히스베르크의 ‘늙은 중국인’에게서 해방되기, 하지만 스피노자를 죽이기│니체가 진리와 인식의 귀속 관계를 걷어내다 지난주 아리스토텔레스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지식에 대한 본성적 욕망이 쓸모없는 감각에서 얻는 즐거움으로 표현됐음을 알게 됐다. 1/ 욕망의 뿌리에는 욕망이 표면화되어 작용하기 전에도, 인식이 있다. 인식은 인식에 관한 욕망의 전제조건이다. 욕망은 인식을 지연시켜 인식의 진정한 본성..
1강 후반부(35~44쪽)『형이상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인식에 대한 욕망’이 인간의 본성에 이미 자리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 욕망은 ‘감각’과 ‘신체’의 차원에서 출발하지만, 그것은 이미 항상 ‘관조’를 최종 목적으로 한다. 달리 말해 욕망의 운동, 즉 감각에서 출발해 평온하고 비신체적인 인식으로 향하는 운동에는 ‘지혜’에 도달하려는 의지가 전제되어 있다. 욕망은 인식에 앞서지도 않고 그 바깥에 있지도 않다.이러한 논리 전개를 통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식과 관련된 다음 테마들을 배제한다. 첫째, 비극적 지식의 테마. 희랍 비극에서 지식은 예언, 수수께끼, 소문의 형식으로 주어진다. 주인공은 이를 이해하면서도 이해하지 못하고, 이를 듣고 안심하면서 불안해한다. 주인공이 지식을 좇는 것이 아니라, 지식이 ..
전사연 170920 (수) / 혁명론 - 한나 아렌트 / 2장 / 마스터한 2장 사회의 문제 프랑스 혁명 이전의 혁명 개념에서 역사과정의 필연성은 순환적이고, 합법칙적이며, 필연적인 천체 운동이라는 천문학적 은유를 통해 이해되어 왔다. 그런데 “신체의 필요에 찌든” 가난한 자들이 프랑스 혁명의 무대에 뛰어들자, 여기에 생물학적 이미지가 도입되었다. 이런 유기체적, 사회적 역사 이론은 대체로 민족, 인민, 사회라는 다수를 초자연적이고 거역할 수 없는 ‘일반의지’에 의해 촉진되는 초자연적 물체의 이미지로 인식하는 것이었다. 빈곤은 사람들을 신체의 절대 명령, 필연성의 절대 명령에 굴복하게 한다. 아렌트는 이런 원리에 따라 진행된 혁명은 테러와 파멸로 이어졌으며, 구체제의 권력이 무기력해지는 동시에, 새로운 ..
전사연 170913 (수) / 혁명론 - 한나 아렌트 / 서론 - 1장 / 마스터한 서론: 전쟁과 혁명 20세기의 흐름을 결정해 온 것이 전쟁과 혁명이었다. 19세기의 이데올로기들은 세계의 실재들과의 접점을 잃었지만, 전쟁과 혁명은 여전히 핵심적인 정치적 쟁점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20세기 이후 혁명과 전쟁을 이데올로기적으로 정당화하던 교의들은 힘을 잃었지만 자유(freedom)와 전제정의 대립만이 존재하게 되었다. 자유는 혁명의 중요한 목적이자 동기였지만, 지금까지의 혁명 이론에서는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아렌트 당시에 자유는 전쟁과 폭력의 정당한 사용에 대한 논의에 포함되었다. 그런데 전쟁과 혁명은 상호 연관되어 있다. 그런데 핵무기와 같은 파괴 무기의 발달로 전쟁은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야생의사고
- 레비스트로스
- 로마사논고
- 개인심리
- 마키아벨리
- 이탈리아공산당
- 딘애치슨
- virtù
- 검은 소
- 한국전쟁의기원
- 스피노자
- 브루스커밍스
- 알튀세르
- 생산양식
- 옥중수고
- 신학정치론
- 계급투쟁
- 헤게모니
- 안토니오그람시
- 의식과사회
- 생산관계
- 루이 알튀세르
- 무엇을할것인가
- 루이알튀세르
- 공화국
- 그람시
- 옥중수고이전
- 이데올로기
- 집단심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