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0205. 성의 역사1. 4장 발제. 풍경 제4장. 성생활의 장치 관건은, 입이 가벼운 보석의 주제를 역사로 옮겨 적는 일이다. 말하는 성의 상징은 우리 사회를 나타내는 많은 상징 중에서도 주도적인 것이다. 어떤 메커니즘에 어느 날 성이 사로 잡힌 것이다. 이 메커니즘은 성으로 하여금 쾌락과 무의지적인 것 , 동의와 심문이 서로 섞이는 상호작용 속에서 자기와 타인의 진실을 말하게 만든다. 말하자면 우리는 우리의 성에 대한 엄청난 호기심에 시달리고, 성을 검토하는 데 집요하고, 성의 말을 듣고 성에 관해 말하는 것을 듣는 데 지칠 줄 모르고, 성의 무거운 입을 강제로 열게 할 수 있는 온갖 마법의 반지를 재빨리 만들어 냈다. 그래서 우리의 현재의 모습에 관한 물음을 성과 자연 즉 생물학의 대상이거..

성의 역사1 지난 세미나 복습 ♠반종교개혁과 트리엔트 공의회 교회생활의 세속적 타락, 종교적인 의무의 불성실한 이행, 각종 미신행위와 그로 인한 폐해 등이 1517년 마르틴 루터에 의한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을 촉진했다. 이에 대해 가톨릭 교회가 교회 자체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가톨릭 개혁운동을 추진한다. 이 운동이 일반적으로 반종교개혁이라 불리는 것은 19세기 사학자 랑케와 고타인이 종교개혁에 대한 반동이라는 의미에서 그렇게(Gegenreformation) 불렀기 때문이다. 사실상 가톨릭 개혁운동은 종교개혁의 반동이라기보다 이미 그 이전에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수도회에서 일어났다. 1517년경에 이미 로마의 수도회 오라토리오회에서 불붙기 시작하고, 타락한 성직자들에게 모범을 보이기 위해 극단적 청빈생..
성의 역사 1. 지식의 의지 / 1∽2장 발제 / 2020. 1. 15. / 진달래 제1장. 우리, 빅토리아 여왕 시대풍의 사람들 17세기 초까지만 해도 사람들이 자신의 성생활을 어느 정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스러운 것, 추잡한 것의 코드가 19세기에 비해 느슨했다. 그러다가 빅토리아 여왕 시대 부르주아지의 단조로운 어둠이 닥쳐오게 된다. 부부중심의 가족이 성생활을 독점하고 성생활을 철저하게 생식기능의 관점으로 바라본다. 우리는 성의 역사를 억압 증대의 역사로 해석해야 할 오랜 두 세기로부터 아주 조금밖에 벗어나지 못했다는 말이 여전히 들려온다. 근대에 이르러 성이 억압되었다는 담론은 계속되고 있다. 내가 제기하려는 물음은 ‘왜 우리가 억압받는가’가 아니라 ‘왜 우리가 우리의 가까운 ..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 / 천병희 옮김제1권 국가 공동체의 본질제1장 공동체로서의 국가 모든 국가는 분명 일종의 공동체이며, 모든 공동체는 어떤 좋음을 실현하기 위해 구성된다. 무릇 인간 행위의 궁극적 목적은 좋음(agathon)이라고 생각되는 바를 실현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모든 공동체가 어떤 좋음을 추구하는 것이라면, 모든 공동체 중에서도 으뜸가며 다른 공동체를 모두 포괄하는 공동체야 말로 분명 으뜸가는 좋음을 가장 훌륭하게 추구할 것인데, 이것이 이른바 국가 또는 국가 공동체다.(p. 15) 제2장 국가는 본성상 존재하기 마련이다타고난 치자와 피치자도 자기 보존을 위해 결합해야 한다. 지성(dianoia)에 의해 앞을 내다볼 수 있는 자는 타고난 치자(治者)이자 주인이지만, 남이 계획한 ..
7장. 육화된 은유로서의 환상 1. 표상에 선행하는 표상자 p250 : 무의식적(251) 환상으로 체험되지 않는 충동이나 충동적 활동 혹은 반응은 없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백일몽(즉 환상)처럼 꿈은 퇴행적 특성을 갖고 있다. 자극은 퇴행적 경로를 거쳐 간다. 즉 그것은 운동 말단(운동기관)이 아 니라 감각 말단(감각기관)을 향해 움직인다. “우리는 꿈에서 표상이 그것(표상)이 처음 생겨나는 곳인 감각적 이미지로 되돌아가는 것을 퇴행이라고 부른다.” 심지어 프로이트는 환영과 시각적 기억이 특히 무의식적 사고를 끌어당겨 그것(무의식적 사고)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사실을 강조하면서 감각 영역 전체가 꿈에서, 그리고 이를 넘어서 환상에서 가동되고 있다는 것을 결코 잊지 않았다. p253 : 분석가가 아이..
Ⅷ 고대 말기의 전통 철학과 신학 트라야누스에서 콘스탄티누스에 이르는 시대 AD1~4세기는 한편으로는 모든 민족이 동일한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며 정치적으로 안정된 평화의 시대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과거의 문화 전통을 습득하고 해석하며 발전시키는 데 주력할 뿐 새로운 것을 발견하지는 못했던 시대이다. 이러한 시기에 이성을 중시하는 전통철학을 반대 하는 일종의 종교사상이 등장, 이후 혼합주의라 불리는 이 종교사상은 다양한 형태의 신비주의와 계시종교사상들을 무분별하게 수용하는 경향을 띠었다. 이제 다신주의에 실망한 영혼들에게 독특한 종교적 성향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사람들이 의식했던 것은 세계의 보편적인 영혼이었고, 신비주의였으며, 다른 성격의 믿음이었다. 1.그리스도교 1.1 첫 200년 동안의 그리..
8장. 클라인과 프로이트/라캉 p352 : 억압은 어느 정도 통합을 이룬 자아가 자신이 지각하고 싶지 않은 자아의 어떤 부분 또는 충동이나 어떤 표상을 자신의 의식적 지각으로부터 삭제하는 행위를 말한다. (353) 우울적 위치로 접어들면 아이는 좋은 가슴과 박해하는 가슴으로의 망상적 분열이 줄어들고 그것들을 서로 근접시키며, 그리하여 양가감정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말하자면 좋기만 한 것과 나쁘기만 한 것으로 세상이 분열되어 있는 것이(354) 아니라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동시에 공존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 이는 아이가 엄마를 부분대상이 아니라 하나의 전체대상으로 지각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점차 엄마를 신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엄마가 다시 돌아와 자신을 돌보아 줄 것이라는 믿음과 신뢰가 있을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개인심리
- virtù
- 무엇을할것인가
- 의식과사회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옥중수고이전
- 이탈리아공산당
- 레비스트로스
- 생산양식
- 루이 알튀세르
- 계급투쟁
- 안토니오그람시
- 마키아벨리
- 루이알튀세르
- 로마사논고
- 야생의사고
- 옥중수고
- 스피노자
- 신학정치론
- 브루스커밍스
- 집단심리
- 공화국
- 알튀세르
- 이데올로기
- 한국전쟁의기원
- 딘애치슨
- 생산관계
- 검은 소
- 그람시
- 헤게모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