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미술사 / 곰브리치 / 그리스 / 화니짱 / 19.08.24 p78 : 호메로스의 서사시에 나오는 두 영웅인 아킬레스와 아이아스가 막사 안에서 장기를 두고 있는 장면이다.(도판48) 화가들은 무엇보다도 위대한 발견, 즉 원근법에 의한 단축법을 발견했던 것이다. (82) 그리스 미술의 대혁명은 인류 역사상 가장 화려했던 시대와 때를 같이 한다. 이 시기는 바로 그리스 도시 국가의 시민들이 신들에 관한 오랜 전통과 전설에 의문을 제기하고 편견 없이 사물의 본질을 탐구하기 시작했던 때이다. 이 시기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같은 의미의 과학과 철학에 대해서 인류가 처음으로 눈을 뜬 때이며, 연극이 디오니소스를 찬양하는 축제의 단계로부터 벗어나 처음으로 발전된 때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시기의 미술가..
그라우트의 서양 음악사 7판(상) / 1부. 1장 고대음악 중 / 화니짱 / 19.08.24 p32 : 리라는 태양, 예언, 교육, 예술 그 중에서도 특히 음악과 시의 신인 아폴로와 관련되었다. 리라를 배우는 것은 아테네 교육의 핵심이었다. 남녀 모두가 리라를 연주했는데, 리라는 춤이나 노래,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오디세이』같은 서사시 낭독에 대한 반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결혼식을 위한 음악이나 오락을 위한 연주로 사용되었다. p34 : 그리스인에게 음악과 시는 거의 동일한 것이었다. 플라톤 그의 『공화국』에서 멜로스를 가사, 리듬, 하르모니아(음고들 간의 관계)의 혼합이라고 정의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정치학』에서 시의 요소를 선율, 리듬, 언어라고 열거했고, 산문이든지 운문이든지 음악을..
Ⅵ. 꿈-작업 꿈에 대한 새로운 관점, 잠재적인 것과 꿈의 외현적 내용의 연관성이 중요하다. 꿈이라는 것은 함축적인 시구가 될 수 있다. 1. 압축 작업 꿈-사고(바탕) → 압축 → 꿈-내용(드러나는 것) (1) 식물학 연구 논문에 관한 꿈 (2) 아름다운 꿈 (3) 풍뎅이 꿈 압축과정에 따른 꿈-내용의 중복 결정(이르마의 꿈 사례), 집합 인물과 혼합 인물(M박사와 의사 R) 말과 명칭을 선택할 때 드러나는 꿈의 압축 작업(노렉달한, 마이스톨뮈츠, 투텔라인 등) 2. 전위 작업 꿈-내용에서 중요한 구성 성분으로 두드러지는 요소들이 꿈-사고에서 결코 같은 역할을 하지 않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3. 꿈의 묘사 수단 Page 373 꿈-작업에서 꿈-사고들은 물 위를 떠다니는 얼음처럼 이리저리 비틀리고 부..
꿈의해석 / 프로이트 / 6장 꿈작업 5절 / 화니짱 / 19.08.21 5. 꿈에서 상징을 통한 묘사 – 그 밖의 전형적인 꿈들 p421(각주) : 아무리 보아도 배후에서 성적인 것을 찾을 수 없다는 내용이었다. 우리는 이 이의를 계기로 꿈에 나타나는 계단, 층계, 사다리에 주목했으며, 그 결과 층계가 확실한 성교 상징이라는 것을 곧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의 토대를 찾아내기는 어렵지 않다. 리듬에 맞춰 점점 숨이 가빠지면서 높이 올라간 다음, 빠르게 몇 번 뛰어 다시 아래에 이를 수 있다. 성교의 리듬은 그렇게 층계를 오르는 것으로 재현된다. p425 : 여행 짐이야말로 꿈꾸는 당사자의 명백한 생식기 상징으로 자주 증명된다. 그러나 3이라는 숫자가 남성 생식기의 상징이라는 것은 여러 방면으로 확인된 ..
꿈의 해석 / 5장 발제 / 2019. 8. 14. / 진달래 5장. 꿈-재료와 꿈-출처 연구가들이 지적했지만 해명하지 못한 ‘꿈-기억의 세 가지 특성’ (1) 꿈은 며칠 동안의 인상을 뚜렷이 선호한다.(로베르트 외 3인) (2) 꿈은 중요하고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부수적이고 눈에 띄지 않는 것을 기억하기 때문에, 깨어 있을 때의 기억과는 다른 원칙에 따라 재료를 선택한다. (3) 꿈은 까마득한 어린 시절의 인상을 마음대로 구사할 수 있으며, 사소하고 깨어 있는 동안에는 오래 전에 잊었다고 생각한 유년 시절의 세세한 일까지 끄집어낸다. 연구가들은 꿈 재료의 선택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특색들을 외현적 꿈-내용에서 관찰했다. 1. 꿈에서 최근의 것과 사소한 것 꿈-내용에 등장하는 요소들의 유래와 관련하여, 모..
꿈의 해석 / 역자해설 / 19.08.14 / 화니짱 p750 : 프로이트는 병적 관념에서 거꾸로 기억을 더듬어 추적할 수 있는 심리적 고리 속에 꿈을 배열할 수 있다는 인식에 이르렀고, 꿈을 증상처럼 다루어 근간을 이루는 심리적 내용, 즉 무의식적 요소를 자유 연상 법칙에 의해 추적하게 되었다. (751) 꿈을 해석하는 데는 꿈이 어떤 식으로든 다른 사물의 기호나 대체물, 증후의 성격을 지니며 배후에 숨어 있는 진술 또한 연상의 고리를 통해 역추적하여 얻어 낼 수 있다는 전제 조건이 수반된다. 이렇게 가정하면 대체하는 것과 대체되는 것, 기억에 남아 있는 꿈과 연상을 통해 찾아낸 다음 깨어 있는 동안의 삶의 언어로 번역해 낸 꿈-사고의 분리가 불가피해진다. 프로이트는 전자를 외현적 꿈-내용, 후자를 잠..
꿈의 해석 강의자료 / 19.08.14. / 화니짱 1) 꿈의 의미 : 꿈은 무의식에 이르는 왕도다. / 무의식의 실체는 억압이며 금지된 소망이다. 따라서 꿈은 무의식적인 소원성취다. 무의식적인 것은 은폐되어야하기 때문에 꿈은 망각과 연결된다. 2) 꿈의 내용 : 꿈은 외연적 내용과 감추어진 내용이 다르다. 소원성취의 근원에는 유아기적 성욕이 있다. 성인의 억압된 것의 근원도 유아기와 관계있다. 3) 타협 : 꿈은 증상과 같이 일종의 타협이다. 상충되는 욕망들이 충돌 할 때 적절하게 타협시켜서 잠을 잘 수 있게 한다. 4) 외형적 내용과 잠재된 사고 : 잠재적 꿈의 사고가 드러나는 것을 살피는 과정은 마치 무의식이 의식을 뚫고 나타나는 것과 유사하다. 그래서 꿈의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것은 무의식을 분석하..
3장. 플라톤의 사상 20세기 저명한 철학자 알프레드 화이트헤드는 유럽의 철학전통이 가지고 있는 가장 확실한 특징은 그것이 플라톤 철학에 대한 일련의 각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플라톤의 첫번째 가르침은 철학이란 계시종교와는 달리 서로의 생각을 비교하고 대화를 통해 실천하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p183) 역사상 가장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어 온 플라톤 철학이론 가운데 하나는 틀림없이 이데아 이론일 것이다. 영원한 초자연적 실체들이었고 이들을 볼 수 있는 곳으로 우리를 인도하는 것이 바로 철학적 사고의 과제였다. 플라톤은 아울러 이 개념들이 사물의 모형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개념의 초라한 모방에 지나지 않는 경험을 통해 우리가 인식하는 사물들의 직접적인 존재 근거가 된다고 생각했다. (p184)..
- Total
- Today
- Yesterday
- 레비스트로스
- 옥중수고
- 야생의사고
- 공화국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루이 알튀세르
- 그람시
- 무엇을할것인가
- 집단심리
- 브루스커밍스
- 옥중수고이전
- 이데올로기
- 안토니오그람시
- 딘애치슨
- 스피노자
- 루이알튀세르
- 헤게모니
- 검은 소
- 의식과사회
- 생산관계
- 신학정치론
- 개인심리
- 한국전쟁의기원
- 로마사논고
- 이탈리아공산당
- virtù
- 계급투쟁
- 생산양식
- 알튀세르
- 마키아벨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