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자의 초상 / 테리 이글턴 /18.09.19 라캉의 견해 중에서 우리를 가장 혼란스럽게 하는 것은, (우리의 욕망이 언제나 타자의 욕망이란 사실을 받아들인다 할지라도) 우리는 타자가 우리에게 무엇을 요구하는지 확신할 수 없다는 점이다. '나한테 무엇을 원하는가, 어떤 나를 기대하는가?'라는 물음이 라캉이 우리 존재를 파헤쳐 욕망에 이르게 하는 끈질긴 물음이다. 환자가 완치되었다는 것은 이 답 없는 물음을 포기했다는 이야기고, 자신의 욕망이 전적으로 자신에 기반한 것임을 인정하며, 외부 세계가 자기 존재를 확인하게 하려는 무익한 시도를 끝내고 자기 존재의 전적인 우연성을 끌어안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성자 같은 분위기도 풍기는데, 정신분석이 그렇게 장황하고 불확실한 데는 이 사실이 한..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 르네 지라르 / 김치수, 송의경 옮김 /18.09.19 해제 p23 : 한 개인이 무엇을 욕망화한다는 것은 그 개인이 지금의 자기 자신으로 만족하지 못해 자기 자신을 초월하고자 하는 것인데, 이때 초월은 자기가 욕망하게 되는 대상을 소유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이다. 대상 주체돈기호테는 주체가 되고 이상적인 방랑의 기사는 대상이 된다. 그러나 돈키호테는 그 이상적인 방랑의 기사가 되기 위하여 아마디스라는 전설의 기사를 모방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돈키호테는 직접 이상적인 기사도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아마디스를 모방함으로써 거기에 도달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상적인 기사도에 도달하고자 하는 돈키호테의 욕망은 아마디스라는 중개자에 의해 간접화되고 있으며, 주체와 대상 사이에..
인정투쟁 / 악셀 호네트 / 문성훈 이현재 옮김 / 18.09.19/ 2부 인정투쟁 이념의 체계적 현대화 - 사회적 인정관계의 구조 4장. 인정과 사회화 - 미드에 의한 헤겔 이념의 자연주의적 변형p148 : 미드의 출발점은 주체가 자신의 행위를 통해 상대방을 자극함으로써 일으킨 상대방의 반작용 자체를 자신 속에서 불러일으킬 때에만, 주체는 자신의 행위가 갖는 상호주관적인 의미에 대한 지식을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149) 타인이 일으킨 반응 행위를 스스로 자신 속에서 불러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미드는 새로운 형태의 인간적 의사소통 행위가 발생할 수 있는 진화론적 전제라고 보았다. p 150 : 미드가 근원적으로 자기관계에 대한 체험을 특징짓기 위해 사용하는 ‘목적격 나’라는 개념이 용어상..
싯타르타 / 헤르만 헤세 / 차경아(리디북스) p139 : 저는 오히려 모든 가르침과 모든 스승들을 떠나기 위해서, 그리하여 오로지 나 혼자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그렇지 못하면 죽으려고 떠나는 것입니다. p142 : 제가 만약 당신의 제자가 된다면, 저의 자아가 오로지 겉으로만, 허위로만 안식에 도달하고 구원받을 것이 두렵습니다. 그렇게 되면 저는 가르침을, 세존에 대한 모방을, 세존을 향한 사랑을, 세존의 교단을 저의 자아로 만들 테니까 말입니다! p498 : “그러나 모든 것을 들은 것은 아니지요. 우리 귀를 기울여봅시다. 더 많은 것이 들릴 것입니다.” p503 : 이제 그는 완전히 듣는 사람이었다. 완전히 듣는 일에 심취하여, 완전히 비우고, 완전히 빨아들였다. 그는 이제 듣는 일을 끝까지 ..
언어의 성사 / 조르조 아감벤 / 정문영 옮김 / 2012년 9월20일 p121 : 맹세는 선언도 아니고 약속도 아닌 다른 것, 푸코 식으로 말하자면 ‘진실 말하기’로서, 그것을 소리 내어 말하는 주체와의 관계만을 그것의 수행적 효력의 유일한 규준으로 가지는 말이다. (...) 진실 말하기에서 주체는 자신이 하는 확언의 진실성과 수행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스스로를 구성하고 그러한 것으로서 자신을 살아 움직이게 한다. p131 : 따라서 우리는 몸짓과 말 사이에는 심원한 관계가 존재하며, 그것들을 함께 묶어주는 엄격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rem manu capere'(손으로 물체를 잡다)와 'nomen verbis capere'(말로 이름을 삼다), 이 둘은 이렇듯 완전한 포획 행위의 두 개..
인정투쟁 / 악셀 호네트 / 문성훈 이현재 옮김 / 18.09.12/ 1부 인정투쟁 이념의 역사적 출현 - 헤겔의 근원적 이념 p33 : 헤겔이 일생동안 몰두한 정치철학적 과제는 개인의 자율성이라는 칸트의 이념에서 단순한 당위적 요청의 성격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헤겔이 당시 지니고 있던 생각은,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를 실천적, 정치적으로 관철하려는 사회 내적 동력이 바로 자신의 정체성을 상호적으로 인정받기 위한 주체들의 투쟁에서 비롯한다는 것이었다. 여기서 자신의 정체성을 상호주관적으로 인정받으려는 개인들의 요구는 본래부터 사회적 삶에 내재하는 도덕적 긴장의 원천이 된다. 또한 이러한 인정에 대한 요구는 사회적 진보의 제도화된 수준을 넘어서 단계적으로 반복되는 투쟁이라는 부정의 방식(34)을..
구별짓기-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 삐에르 부르디외 / 옮긴이 후기 / 18.09.05(OT) p976 : 부르디외의 사회학적 입장을 한 마디로 명명하면 ‘발생론적 구조주의’라고 할 수 있고, 그것은 우선적으로 데카르트적 존재론의 이중성(주체와 객체, 육체와 정신)을 거부하면서 객관주의와 주관주의, 구조적 필연성과 개인의 행위 사이의 허구적 모순을 극복하려 한다. 그 결과 사회적 실천이론은 구조주의와 구성주의적 접근을 다 품을 수 있다. 부르디외 사회학의 두 번째 가정은 사회구조와 정신구조 사이에, 사회세계의 객관적 구분들과 행위자가 사회세계에 적용하는 시각과 구분의 원리 사이에는 호응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p977 : 인식적 통합의 조작자인 상징체계는 단순히 인식의 도구가 아니라 지배의 도구이기도 하..
스펙타클의 사회 / 기 드보르 / 옮긴이의 글 / 18.09.05(OT) p215 : 삶의 표상이 삶을 대신한 곳에 스펙타클이 있다. 21살의 젊은 청년 드보르는 직관적으로 인간 소외를 낳는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로 스펙타클의 구조를 인식한다. (217) 그가 이론과 실천의 기수로서 활동하는 1950-60년대는 사회의 변혁을 문자 그대로 믿었던 거대 서사의 시대이기도하다. 실제로 마오쩌둥의 중국에서 이뤄낸 혁명, 카스트로와 게바라 등에 의한 라틴아메리카에서의 혁혁한 전과는 새로운 세계와 새로운 삶을 꿈꾸는 많은 유럽인들의 정신을 고양시키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특히 68년 5월 혁명은 자기 자신과 타자에 대한 인간 행동에 있어 시대에 뒤진 옛 잔재들이 붕(218)괴되기 시작하며, 인류사에서 처음으로 개인들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로마사논고
- 계급투쟁
- 헤게모니
- 루이 알튀세르
- 무엇을할것인가
- virtù
- 안토니오그람시
- 알튀세르
- 생산양식
- 옥중수고이전
- 레비스트로스
- 스피노자
- 딘애치슨
- 프롤레타리아 독재
- 의식과사회
- 옥중수고
- 공화국
- 한국전쟁의기원
- 이탈리아공산당
- 검은 소
- 이데올로기
- 루이알튀세르
- 개인심리
- 생산관계
- 집단심리
- 신학정치론
- 브루스커밍스
- 그람시
- 야생의사고
- 마키아벨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